• 제목/요약/키워드: 절치관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정중구개부의 미니 임플랜트 식립과 관련된 절치관의 해부학적 연구 (Anatomic study of the incisive canal in relation to midpalatal placement of mini-implant)

  • 김성진;임성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6-158
    • /
    • 2009
  • 정중구개봉합부에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식립하고자 할 때 절치관의 해부학적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피하여 식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절치관의 해부학적 위치를 절치유두나 치관의 교두첨 등의 임상적 지표를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는 해부학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성인 남녀 25명의 진단 모형과 전산화 단층촬영(CT) 자료를 통해 절치관의 해부학적 형태, 절치유두와 절치관의 전후방적인 위치의 관련성 및 치관 교두첨의 전후방 위치에 따른 절치관 후방 정중구개봉합부의 골두께를 계측하였다. 계측 결과 중절치 사이 설측 치간유두에서 절치공 후연까지 구개면상의 거리는 치간유두-절치유두 후연 길이의 약 1.7배에 해당하였으며 절치유두 후연에서 절치공 후연까지의 구개면상의 거리는 평균 6.15 ${\pm}$ 1.75 mm였다. 절치공 후연의 전후방적 위치는 교두첨을 기준으로 평가 시 제1소구치의 설측교두보다 약간 전방에 해당하였으며, 이 부위 직후방에서는 골표면에 수직으로 식립하는 것보다 교합평면에 수직으로 식립할 때 골두께가 더 두꺼웠다. 또한 절치관의 폭경이 구개에서 4.03 ${\pm}$ 0.64 mm인 것을 고려할 때 절치관의 측방에 식립코자 하는 경우 정중에서 3 mm 이상 측방에 식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정중구개부에 식립할 때 본 연구 결과를 절치공의 위치를 짐작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절치관 낭종

  • 김한평;박창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8권9호통권136호
    • /
    • pp.690-690
    • /
    • 1980
  • PDF

변형된 치관부 파절편 재부착술식을 이용한 치관치근파절의 치료 (Treatment of crown-root fracture with a modified crown fragment reattachment technique)

  • 송창원;송민주;신수정;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95-400
    • /
    • 2010
  • 치관부 파절편 재부착술식은 접착치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치관파절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하지만 치관치근파절된 치아에 있어서 기존의 치관부 파절편 재부착술식으로는 치은연하 영역의 수복 및 생물학적 폭경의 유지가 어려워 부가적인 치관연장술 또는 치아 정출술 등이 요구되게 된다. 하지만 이번 증례보고는 치수노출을 동반한 치관-치근파절을 치료함에 있어서 이러한 부가적인 술식 없이 변형된 치관부 파절편 재부착술식만을 이용하여 처치한 사례이다. 환자는 근관치료 후 post 삽입 및 재부착 술식을 시행 받았으며 이때 치관 파절편의 변형을 통해 생물학적 폭경을 위한 공간 유지 및 적절한 접착을 위한 영역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후 한차례의 재파절이 발생하였지만 재차 재부착 후 2년간의 follow up을 통해 치주부착상실 없이 치관 파절편이 잘 유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NFI-C 결손 생쥐의 상아모세포 분화과정에서 DSPP와 BSP mRNA의 발현 (EXPRESSION OF DSPP AND BSP MRNAS DURING ODONTOBLAST DIFFERENTIATION IN THE NFI-C (-/-) MICE)

  • 정현구;이상호;이난영;김흥중;박주철;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62-669
    • /
    • 2005
  • NFI-C는 정상적으로 상아모세포, 골모세포에 존재하며, NFI-C가 결손된 경우 치근상아질을 형성하는 상아모세포의 분화에 이상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NFI-C (-/-) 생쥐에서 치관 및 치근의 상아질을 형성하는 상아모세포의 표현형을 상아모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DSPP와 골모세포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BSP 유전자를 이용한 in-situ hybridization을 통하여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FI-C (-/-) 생쥐의 구치에서 치관 상아질은 정상적으로 형성되었으나 치근 상아질은 형성되지 않았다. 2. NFI-C (-/-) 생쥐의 하악 절치의 순측 상아질은 비교적 많이 형성되었으나, 설측의 상아질은 형성되지 않았다. 3. NFI-C (-/-) 생쥐의 하악 절치의 상아모세포는 형태가 변화되었으며, 형성된 상아질 내에 세포가 함입되는 양상을 보였다. 4. NFI-C (-/-) 생쥐의 구치에서 치관부위의 상아모세포에서는 DSPP가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치근부위의 상아모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NFI-C (-/-) 생쥐에서 절치의 순측 상아모세포에서는 DSPP가 약하게 발현되었다. 5. 정상 생쥐에서 절치의 상아모세포에서는 BSP가 발현되지 않았으나 NFI-C (-/-) 생쥐에서는 BSP가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NFI-C가 결손된 경우 상아모세포가 골모세포로 분화되는 표현형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상악 절치부-토크에 의한 치아 이동과 응력 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effect of maxillary incisor torque)

  • 윤현주;임용규;이동렬;조영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7-147
    • /
    • 2005
  • 본 연구는 상악 절치부에 active 토크가 가해졌을 경우, 교정력을 직접 받은 치아와 인접 치아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상악 치아 및 치조골의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고, stainless steel NiTi, TMA 세 종류의 각형 호선을 육면체 요소로 모델링하여 유한요소 모델을 완성하였다. 호선이 브라켓에 삽입되었을 때 브라켓에 발생하는 반력과 모멘트를 구하였고, 이것을 유한 요소 모델에 적용하여 각 치아의 변위와 응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브라켓에 발생하는 반력은 근원심 방향과, 협설 방향으로의 힘은 0에 가까우며, 중절치, 측절치, 견치의 브라켓 근심측에서는 정출력이 원심측에서는 압하력이 발생하였다. 힘과 모멘트의 크기는 측절치에서 최대였고 중절치. 견치 순으로 감소하였고,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중절치와 측절치는 치관 협측, 원심 경사 이동과 압하를 보였으며 견치는 치관 설측 원심 경사와 정출을 보였고. 제1소구치는 치관 설측 경사이동을 보였다. $019\times025SS$을 사용하여 상악 절치부에 토크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측절치에 과도한 힘이 집중되므로, 임상에서 토크를 조절 할 경우에는 NiTi나 TMA 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고 생각된다.

콘빔 CT를 이용한 한국인의 하악 절치관 평가 (Assessment of mandibular incisive canal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Korean population)

  • 조봉혜;정연화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12호
    • /
    • pp.967-97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andibular incisive canal (MIC) in Korean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7 subjects (60 males and 37 females) who underwent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anatomic features of MIC was assessed according to gender. Length, diameter and distance to inferior, lingual and buccal border were measured at the origin and the terminal. Also the distribution of MIC at each tooth position was evaluated. Results: Of 97 patients included, 75(77.3%) presented bilateral MIC and 13(13.4%) presented unilateral MIC. Of 194 hamimandibles, MIC was detected in 102(85%) sites in male and 61(82.4%) sites in female. Gender and sid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ectability. The length, diameter and distance to adjacent structures were bigger in male than in female except the distance to lingual border. MIC travelled anteriorly in a slightly downward and lingual direction and usually terminated between the first premolar and the canine. On cross-sectional view, MIC showed individually scattered distribution both buccolingually and superoinferiorly. Conclusion: MIC is well detected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onsidered that the length and the location of MIC has large variations between individuals, its localization using cone-beam CT is highly recommended before performing surgical procedures such as implant placement and bone harvesting.

치아돌출이 부착치은 폭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tal Protrusion on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 황현식;김종철;김정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5-142
    • /
    • 1998
  • 치아돌출정도가 부착치은 폭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치주상태가 양호한 성인 중 하악 전치부에 다소의 총생이 있는 37명을 대상으로 하악의 인상채득 후 석고모형을 제작한 다음 각 하악 절치의 상대적 및 절대적 돌출정도를 측정하고 임상치관 고경, 치주낭 깊이, 각화 및 부착치은 폭경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돌출측에 비하여 돌출측의 각화치은 및 부착치은 폭경이 작게 나타났다. 2. 돌출측의 임상치관 고경은 비돌출측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나 치주낭 깊이는 돌출측과 비돌출측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돌출측과 비돌출측간의 부착치은 폭경차이는 중절치보다 측절치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4. 절대적 돌출도보다 상대적 돌출도가 부착치은 폭경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 돌출도보다 임상치관고경이 부착치은 폭경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유치열과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상악 절치부 외상 (TRAUMATIC INJURIES TO THE UPPER INCISORS IN PRIMARY AND MIXED DENTITION)

  • 정주현;이제호;김성오;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0-298
    • /
    • 2004
  • 현대인의 생활양식과 환경이 도시화 및 인공화되고 취미활동이 다양화됨에 따라 외상을 받을 수 있는 요인들이 증가하고 특히 어린이 활동량이 많아져 외상의 기회가 잦아지고 있다. 어린이에서 외상이 발생하는 경우, 어린이의 일상적인 활동 뿐 아니라, 사회성 및 정서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보호자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외상의 발생 빈도를 줄이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치열과 혼합치열기에 발생하는 치아 외상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특히 구강악안면부의 외상시 치아 외상을 가장 많이 받는 상악 유절치와 영구절치를 연구하기 위하여, 2002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유치열과 혼합치열기의 신환 8,799명중 상악 절치부 외상을 주소로 내원한 어린이 487명(남자 316명, 여자 171명 )의 상악 절치 955개(유절치 543개, 영구절치 412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절치부 외상이 호발하는 나이는 유절치에서 $1{\sim}3$세, 영구절치에서 7세였으며 남자대 여자의 비율은 1.85:1이었다. 2. 상악 절치부 외상은 유절치와 영구절치 모두 오후 시간에 많이 발생하였으며, 유절치는 외상 장소로 집이 가장 많았고(44.1%), 영구절치는 길에서 다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17.5%). 3. 외상의 원인으로 유절치와 영구절치 모두 넘어져 다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39.8%, 12.9%), 다음으로 부딪히는 경우가 많았다(22.2%, 6.0%). 유절치에서는 다음으로 떨어져 다치는 경우 교통사고, 폭력과 운동에 의한 외상 순이었으며, 영구절치에서는 폭력, 운동, 교통사고, 떨어져 다치는 순이었다. 4. 조사대상 어린이 1명당 유절치는 1.6개, 영구절치는 2.8개에 외상을 입었다. 5. 유절치와 영구절치 모두에서, 치관 파절 양상은 치수미노출 치관 파절이 많았고, 치주조직 외상 양상은 아탈구가 가장 많았다. 최근 어린이의 단체 생활이나 운동과 취미 활동에 참여하는 나이가 예전에 비하여 점차 낮아지고 있어, 이번 연구 결과와 같이, 외상이 발생하는 나이 역시 지속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나이에 따른 어린이의 외상을 받는 장소는 특별한 곳이 아닌, 집이나 학교와 같은 일상의 생활공간이기 때문에 단순한 주의만으로도 외상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산화단층영상에서 절치관 및 순측 치조골 폭경에 관한 연구 (The width of the incisive canal and labial alveolar bone of the incisive canal: an assessment on CT images)

  • 노양균;장현선;김병옥;김진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6권3호
    • /
    • pp.145-149
    • /
    • 2006
  • Purpose : To assess the width of the labial alveolar bone of the incisive canal and the width of the incisive canal on spiral computed tomographic images of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 Materials and Methods : Study materials included 38 CT scans taken for preoperative planning of implant placement. Axial cross-sectioned image entirely showing the incisive canal was selected and scanned with 600 DPI resolution. The width of the labial alveolar bone of the incisive canal at an orifice to the oral cavity, middle portion, and an orifice to the nasal cavity and the diameter of the incisive canal at the middle portion were determined by two specialist using Digora for Windows 2.1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2.0.1. Results : Wh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remained, the mean labial alveolar bone width were $6.81{\pm}1.41mm,\;6.46{\pm}1.33mm$, and $7.91{\pm}1.33mm$. Wh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ere missed the mean width were $5.42{\pm}2.20mm,\;6.23{\pm}2.29mm$, and $7.89{\pm}2.13mm$. Conclusions : The labial alveolar bone width at middle portion and an orifice to the nasal cavity were of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esenc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P>0.05). The width between oral cavity and nasal cavity, middle portion and to nasal cavity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 PDF

하악정중부에서 자가골 채취시 절치관의 해부학적인 변이에 대한 평가 (ASSESSMENT OF THE ANATOMIC VARIATION OF MANDIBULAR INCISIVE CANAL IN CHIN BONE HARVESTING)

  • 김지혁;김세호;권광준;김성민;박영욱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3호
    • /
    • pp.226-229
    • /
    • 2006
  • The interforaminal region is usually considered as a safe region in the chin bone graft without important vital anatomical structures to be damaged. But the accurate anatomy of the interforaminal region, with its potential clinical relationships, is controversial. Moreover some complications suggesting damage of incisive terminal branches after chin bone harvesting are reported such as sensory discomfort and pain etc. In order to verify incisive innervation of symphyseal area, we examined the cross-sectional CT scan images taken for preoperative planning of implant placement with chin bone graft and some parameters were measured; (1) visuality rating of incisive canal (2) vertical and horizontal diameter of canal (3) distance from lower border of the incisive canal to the lower border of the mandible (4) shortest distance from anterior border of the incisive canal to the anterior border of the mandible. We report the positive outcome that decrease the complications related with the damages of incisive branch during bone harvesting from the c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