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 복식색채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회화에 표현된 한국전통 복색(服色)의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

  • 이미경;김혜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2-43
    • /
    • 2001
  • 색상특성은 각 계열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 으로 고명도.저채도 중심으로 황색계열과 청색계열 은 고명도 위주의 분포특성을 보였다. 이어 반하여 적색계열은 비교적 색조의 영역이 넓었으며 고채도 의 분포특성이 두드러졌다. 자색계열은 저명도.중 채도, 녹색계열은 고명도.저채도 중심이었다. 남.녀복의 색조유형으로서 여복에서는 white보다는 tone 중심의 색조특성이 나타났으며. 남복에서는 white를 제외한 tint의 색조유형이 많았다. 이는 당시대인의 백색지향 의식을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음양오행론의 배색원리에 의해 검토한 결과 여복 은 상생이 남복보다 낮게 집계되었으며, 반대로 파버 비렌의 색채조화의 배색원리에 의한 검토 철과는 남 복보다 여복의 적용수치가 높았다. 이것은 감각적인 색채조화 보다는 의례적인 성향이 좀 더 징한 남복이 서구의 색채조화의 척도에 적합하지 않은 결과로 추측된다. 전통복의 배색특성은 남녀가 매우 다른 양상을 보 이고 있었다. 여복의 기본 복식구조인 저고리/치마 는 백/청색계열, 백/황색계열과의 배색이 중심으로서 면적대비 및 명도대비에 의한 조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에 저고리의 배색은 유채색과 백색계열 의 배색으로 채도대비의 성향이 강했다. 남복은 황/백색계열. 백/청색계열로 명도의 차가 크지 않았다. 포/띠의 의복 구성에 있어서는 흑색 또 는 적.자색 등의 세조대(細條帶)로 인해 채도대비, 면적대비, 명도대비의 배색효과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한 한국인의 색사용의 특정은 복식의 전면에 등장하는 백색지향과 음양오 행설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백색위주의 색사용은 인공미가 배제된 자연미의 추구에 기인한 것으로 토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들을 담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 으로 한국전통 복식의 배색특성을 주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회화자료를 근거한 것으로 풍속화의 변색 및 탈색에 의해 당시대의 정확한 색채규명이 어려우며, 실물작품이 아닌 도판을 통한 측 색으로 색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연구의 한계 점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lor Sensation and Symbolism of Tibet Costume (티베트 복식의 색채 감성과 의미 탐색)

  • Wang, Cong;Kim, Jisu;Na, Youngj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1 no.3
    • /
    • pp.115-128
    • /
    • 2018
  • Tibetans who live in the Tibetan highlands, the Roof of the World, have their own unique lifestyle wherein they conform to its long history, natural environment, and their own form of clothing culture. In their costumes, the use of colors, patterns and designs express religious meaning and represent the hopes and heart of life, which respects na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lors used in Tibetan costumes and examine the meaning of these color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Tibetan culture through a consideration of the symbolism of the colors of ethnic costumes. By examining the literature and conducting case studies, colors of Tibetan costumes were analyzed through the I.R.I HUE-TONE system. We analyzed 96 photographs of the costumes photographed during the Tibet ceremony costume, photographs seen at the Qinghai Tibet Culture Museum and photographs from the Internet museum.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costumes is connected to the five colors of JangOsaek, which gives meaning to each color. Red, navy blue, yellow, white and green symbolize fire, the sky, earth, clouds or snow, and grasslands, respectively. Second, Tibetan costumes are characterized by bold color contrasts such as red and green, black and white, red and yellow, and yellow and purple to achieve an intense harmony of colors. Third, these fancy costumes express the unique aesthetics of the Tibetan people. The primary colors follow general emotions, but they can also include their own emotion.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 Ji, Yoon-Young;Lee,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Study on the Image of Blue in Apparel Design (복식에 표현된 청색 이미지의 고찰)

  • 강병희;김영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no.18
    • /
    • pp.87-9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images of blue based on expressive values communicated by color on symbolic aspects and the blue images expressed in modem apparel fashion. Images of blue are classified through the document studies as follows : The expressive values of blue are cold, receding, and sedative. Based on these values, affimative images of blue are classified infinite, lofty, peaceful, tranquil and contemplate. Negative images are classified sad, indecent, rebellious, and indignant. In apparel fashion, blue acted as a important image factor in classic, workwear, military and marine look. Blue green and purple blue in pale, greyish and light tones were showed as trend color. Meanwhile, purple blues in dark greyish, pale and greyish tones were more used for domestic womens wear.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stume Colors of Korea.China.Japan (한.중.일 전통 복식색채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Kim, Young-In;Lee, Je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6 no.8 s.108
    • /
    • pp.35-4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stume colors of Korea China Japan with quantitative methods. The rang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costume colors from 16th to 19th century. For this study 1333 color samples were collected by measuring with a spectrophotom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d, Yellow Red, Yellow and Purple Blue had been used in common for the traditional costume colors of Korea, China and Japan. Yellow of Korea, Purple Blue of China, Yellow Red of Japan showed the high frequency. Red, an asian preference color, had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Pale toned Yellow and Yellow Red, high saturated Red and low valued Purple Blue had been preferred for korean traditional costumes. The preferences of high saturated Red and low valued Purple Blue were based on the Five Element theory and the pale toned Yellow and Yellow Red were used with the preference of White and natural colors. In China the traditional costume colors had used with the Five Element theory also but they had preferred Purple Blue, deep & strong toned Red to Yellow Red and Yellow, Yellow Red, Purple and grayish colors had been frequently used in japanese traditional costumes. In the results of color distributions in $L^*a^*b^*$ color space,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costumes colors concentrated in some areas like Yellow, Yellow Red, Red and Purple Blue. Japanese costumes colors showed the even distribution with the diverse toned colors. Korean traditional costume colors corresponded with the Five Element theory rather than China and Japan. Japan had used the costume colors with the racial sensibility rather than conceptual color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Five-elements Color of Traditional Costume of Korean Basic Culture (한국 기층문화의 전통복식에 나타난 오방색 특성)

  • Kim, Ji-Young;Kim, Young-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7 no.6 s.115
    • /
    • pp.62-7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colors of the costumes in Korean basic culture in the aim of seeking Five-elements color found in Korean civilian's costume culture. The scope of Korean basic culture was 32 items specified as an import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the side of religion and art for the majority of the Korean people. Within these limits, the colors of the dress, accessories, instruments were extracted by comparing with the naked eye in NCS Color System.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as that Red was yellowish red and high chromatic and deep tone within 4area. Blue was purplish blue and high chromatic and deep tone within 4area, similarly Red. Yellow was pure yellow and high chromatic and bright tone within 3area. Red and Blue in Korean basic culture were more primary color and more high brightness than Korean traditional colors. Religion and art fer Korean civilian revealing the Korean basic culture reflected impending real-life of Korean civilian who intend to overcome their desperate reality at using Five-elements color in their cost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