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의례문화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Ceremonial Bojagi used in Yeongjo Jeongsun Wanghu's Royal Wedding in Living Culture Perspective (영조·정순왕후 가례에 사용된 보자기의 상징성과 생활문화적 의미에 관한 고찰)

  • Kim, Hyo-Joo;Ju, Young-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8
    • /
    • pp.353-365
    • /
    • 2018
  • This study is on the usage of bojagi recorded in Yeongjo Jeongsun Wanghu garye dogam uigw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ighteenth century marked a period of entrench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royal wedding was a tool to propagate Neo-Confucian values to the people. The bojagi used at King Yeongjo and Queen Jeongsun's wedding were made of simple red silk produced domestically to avoid extravagance. Uasge of costly flower-patterned silk from China was restricted to comply with the rules of the Kukhon jeongrye, which codified the royal marriage ceremony and the Sangbang jeongrye, which regulated royal attire. This modesty also shows King Yeongjo's determination to abandon lavishness.

Influences of Protestantism on som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of Hmong Ethnic People in Lao Cai Province of Vietnam (베트남 라오까이 지역 흐몽족의 전통적 문화가치관에 미친 개신교의 영향)

  • NGUYEN, Van Hieu;DO, Quang Son
    • SUVANNABHUMI
    • /
    • v.1 no.2
    • /
    • pp.43-71
    • /
    • 2009
  • 베트남 소수민족 공동체 중 Hmong족은 중요한 구성원이라고 여겨져 왔다. 타지에서 베트남으로 이민 와서 다른 민족들과 함께 오랫동안 살아 왔지만 Hmong족은 자기의 민족문화 특색을 잘 지켜왔다. 그런데 지난 몇 년 동안 전통적인 종교와 달리 새로운 종교를 믿게 되는 방향으로 Hmong족의 심령의 종교는 많이 변하고 있다. 그 중에 특히 주목받은 것은 개신교의 유입이다. 개신교는 직접적, 간접적 선교 방법으로 Lao Cai에 있는 Hmong족 공동체에 자연스럽게 유입되었다. Lao Cai의 많은 지방에서 사람들이 개신교를 믿게 되었고 그 중에는 가족이나 종족 환경에서 강제적 선교도 일어났다. 개신교는 Hmong족의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Hmong족의 전통 종교, 신앙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 글에서는 Hmong족이 살고 있는 Lao Cai 지방을 선택하여 고찰하며 Hmong족의 전통문화가치에 대한 개신교의 영향 및 원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Hmong사람들은 전통신앙을 버리고 개신교를 믿게 되는 원인을 살펴보자. 주 원인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가 있다고 본다. -경제와 관련된 원인 -성별 불평등과 관련된 원인 -학문 수준과 정보 습득 희망과 관련된 원인 -전통문화, 심리와 민속의식과 관련된 원인 그리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각도에서 전통문화 가치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첫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 둘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풍속습관 및 전통 신앙에 영향을 준 점이다.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은 여러 방면에서 보인다. 전통적인 가치와 개신교의 새로운 규정 사이의 충돌도 있고 가족 안에서 부부의 위치상 충돌도 있다. 또한 Hmong사람들에게 전통 종족의 역할, 위치를 약화시키는 영향도 주었고 산골 마을에서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과 믿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 일어난 새로운 충돌도 있다 개신교와 개신교의 교리는 역시 풍속습관과 전통신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첫째는 예수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고 조상 숭배나 "집에 있는 귀신 숭배"같은 것보다 강력한 것이다. 그래서 Hmong사람의 신앙, 종교는 원시적 다신교부터 일신교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이 Hmong족의 전통 민속축제를 점차 멀리한다. 어떤 경우에는 그 사람들이 자기 민족의 전통문화 환경을 떠나 버리는 일도 있었다. 셋째는 개신교의 교리가 Hmong족의 풍속 규정을 바꾸게 하였고 Hmong사람들이 새로운 종교의 교리를 집행시켰다. 넷째는 인간 인생 주기에 관한 풍속습관 및 민속의례들은 의례 대상보다 의례 주제를 중심으로 삼는 것으로 점차 변화했다. 대체로 개신교가 Hmong족 공동체에 유입하여 이 민족의 전통문화 가치는 변화했다. Hmong족 공동체에 오래 존재해 왔던 낙후한 습관을 개선하는 점에서 개신교는 적극적 역할을 했다. 현재 문제점은 어떻게 전통문화가치를 유지하고 새로운 종교와 같이 존재할 수 있느냐라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다음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 PDF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Baekjesooryukjae of Buyeo (부여 백제수륙재의 전통과 역사)

  • Hong, Teahan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2
    • /
    • pp.107-129
    • /
    • 2016
  • This article is about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Baekjesooryukjae(Sooryukjae, one of the Buddhist ritual is called Baekjesooryukjae in Buyeo), which is conducted in Baekje Cultural Festival, the annual festival that is held in Buyeo. Buyeo was a place where various ritual books on Sooryukjae were published, and where Bumpae(Buddhist chants) were taught centering on Mooryang Temple. Based on this tradition, to comfort the lonely spirit of Baekje and pacify the three thousand court ladies, Sooryukjae started to be held 60 years ago. Baekjesooryukjae, unlike Sooryukjae of other regions, have the feature that it is held on the river. In Buyeo, where ritual books were published many times and where there was its own Buyeo education, Sooryukjae is assumed to have been handed down for a long time. Thanks to such historical tradition, Sooryukjae was held as a ritual of pacification in Baekje Cultural Festival. Baekjesooryukjae has unique characteristics. Baekjesooryukjae, which started with the proposal of the residents, shows off its status as the one and only water Sooryukjae that is currently existent, and it shows there are significa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hanging venues of 재차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재차. It is a Sooryukjae with 60 year-long tradition and locality, histor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 Ji, Yoon-Young;Lee,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떡살.다식판

  • Kim, Gyu-Seok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3 no.4
    • /
    • pp.447-452
    • /
    • 2010
  • 떡살과 다식판은 의례음식인 떡과 다식에 무늬를 박기 위해 사용되었다. 우리 민족은 음식에 아름다운 모양을 나타내기 위해 떡살을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조상에 대한 염원과 기원을 담아 사용하였다. 그래서 떡살과 다식판은 단순한 생활도구의 차원을 넘어서 민족의 정서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형태와 무늬는 조형적이며 상징성과 예술성이 뛰어나 소중한 우리 전통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전통적인 떡살과 다식판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 PDF

The Knowledge of Korean Ceremony Foods and Table Setting of Korea]1 American Housewives in the New York/New Jersey area (한국의례음식과 상차림에 관한 인식과 실행(재미 한인 주부를 중심으로))

  • 심영자;김정선;전희정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5 no.2
    • /
    • pp.146-157
    • /
    • 1999
  • The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ceremony foods was evaluated from 271 Korean American housewives residing in the New York and New Jersey metropolitan area.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collect information on 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ubject and their knowledge on ceremonial foods and table settings.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able settings for ceremonial foods are important and most of them knew and learned Korean ceremonial foods from either their own mothers or mother-in-laws. About three-quarters responded that traditional table settings need to be simplified and half of them stated that family education is the best way of proceeding knowledge on ceremonial foods. Most of them have knowledge of table settings for a child's birthday, a baby's first birthday, a baby's hundredth day after birth, New Year's and full moon days. However, few respondents were knowledgable about other ceremonial foods. Practically, they are more likely to simplify the table setting for Korean traditional ceremonies, such as child's birthday, 60th birthday, wedding, and memorial 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lan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immigrants in the U.S. so that they can make informed decisions in building cultural identities in the new environment.

  • PDF

Semiotic Approach to the Korean Wedding Ceremony : Myth of Romantic Love and Gender Role Ideology (결혼 의례의 기호학적 분석 : 낭만적 사랑의 신화와 성 역할 이데올로기)

  • Kim, Soo-Ah;Lee, So-Yeo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28
    • /
    • pp.43-76
    • /
    • 2005
  • This study focused on the wedding ceremony. It was considered as important social text containing cultural codes of Korean society related gender system. Using the concepts of 'Myths', introduced by Barthes, this study analysed every procedure of wedding ceremony prevailed contemporary Korea. Romantic Love, creation of the ideology system of Western bourgeois and peculiar Confucian ideas about gender structure in Korean patriarchy system are both important frames determined wedding culture in Korea society. Thus this study divided wedding ceremony into displaying sphere and non-displaying sphere. Then, displaying sphere was framed by myth of romantic love, but non-displaying sphere was framed by traditional Confucian ideas. And, the transformation of contemporary wedding ceremony has the nature of kitsch, related the radical change of Korean class structure, also it worked as myth reveled up the unequality of present gender system.

  • PDF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based on Community Spac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전통마을 공동체 공간의 문화경관 해석)

  • Kim, Soo-Jin;Park, Jung-Lim;Sim, Wo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8 no.4
    • /
    • pp.14-27
    • /
    • 2010
  •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wisdom of our ancestors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and finding out cues to designate and utilize community space in planning residential area in villages by examining community space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from cultural landscape point of view. This study designated 18 Korean traditional villages which have been preserv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up to now, so deserve conservation from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viewpoint. This study divided community spaces in each village into social area and ritual area depending on their uses and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pilot study and main study. In addition, ritual areas were also divided into Confucian ritual area and ethnic ritual a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space location and users by understanding the location of community space factors in the 18 villages. As for the factor analysis of community spaces, community factors established after the modern age were examined from modern viewpoint, and factors which had been destroyed or lost their original functions were examined from retrospective viewpoint.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cultural landscape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were affected by social relationship among villagers. The community spaces of villagers were multiple-function space rather than a space which was exclusively used by a specific class. Though the occupation of these spaces was separated and differentiated depending on sexes and ages, villagers tried to understand and respect each other through tacit communication.

Cultural Landscape Analysis of Changbai Mountain as Sacrifice Space (제사공간으로서 장백산의 문화경관적 해석)

  • Xu, Zhong-Hua;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4 no.4
    • /
    • pp.89-97
    • /
    • 2016
  • This study looked at the sacrifice space building in the Changbai Mountain area to a specific era in terms of the cultural landscape. The scared of Changbai Mountain how changes in history came despite the regime and national change, interpretation of the reason was the scared main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placement of the regime in the Republic of China in the Qing period, ethnic diversity, underwent a cultural acceptance. So Changbai Mountain nature of sacrifice, the divine subject has formed the changes. Second, the Qing Royal sacrifice space Wangji Temple(望祭殿) have formed a unique cultural space and the sacrifice of authoritative content with only space.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a new folk beliefs were born between the defense in the face of the Han Chinese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Build Sacrifice space of Rulai Temple(如來寺) and Shanshenlaobatou Temple(山神老把頭廟). Third,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iest and the Changbai Mountain area Wangji Temple(望祭殿) is the power of space as vertical space. Rulai Temple(如來寺), Shanshenlaobatou Temple(山神老把頭廟) is located in the Changbai Mountain and horizontal space was obedient to the space. Fourth, the sacrifice ritual Wangji Temple(望祭殿) of the Qing Dynasty is the only ritual sacrifice of satisfaction. It is cut off depending on the abolition of imperial power. Currently, public ritual sacrifice is commonplace rituals and sacrifices of the Qing Dynasty is only formally underway. In conclusion, as it has been maintained for the sanctity historically Changbai Mountain. Changbai Mountain sacrifice space was changing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 replacement of the regime and culture of ethnic offerings from a single culture of the Qing Dynasty. Currently, to form a sacrifice space and culture overlap through a mutually acceptable.

혼례 음식에 담긴 소중한 의미(1)

  • Lee, Chun-Ja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2 no.3
    • /
    • pp.94-98
    • /
    • 2009
  • 혼례는 인류가 시작되면서부터 가장 중요한 의식으로 여겼고, 각 민족의 오랜 전통으로 계승되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혼인의례는 인간이 한생을 살면서 치르는 의례 중 가장 큰 의식으로 혼인대례(婚姻大禮)라고 한다. 혼례는 몇 십 년 동안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두 남녀가 합쳐 가정을 이루고, 자식을 낳아 인류의 번영을 이루는 것으로, 우리 인간에게 생애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자, 인간만이 행하는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혼례는 단순히 두 남녀의 결합이 아니라 집안과 집안의 만남, 서로 다른 가풍과 가풍의 만남, 그리고 남과 여라는 음(陰)과 양(陽)의 조화이다. 이렇듯 작게는 남녀 개개인에서 크게는 집안, 문화의 만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혼례이다. 따라서 혼례를 치를 때 갖추는 예는 단순한 형식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을 다해 배우자와 배우자 집안 어른들에게 올리는 정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혼례는 한 인간과 한 집안에서 가장 큰 경사인 셈이다. 새로 사람을 맞아 가족으로 받아 들이는 것만큼 중요하고 경사스러운 일도 없을 것이다. 신랑과 신부가 가족, 친지, 지인들이 모인 자리에서 서약을 맺고, 이들에게 따뜻한 축복을 받는다는 것은 일생 최대의 행복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