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치성/후치성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Relativpronomen im Deutschen und deren Entsprechung im Koreanischen - Aus der sprachtypologischen Perspektive - (언어 유형학적 견지에서 본 독일어 관계 대명사와 한국어의 대응구조)

  • Park Jin-Gil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5
    • /
    • pp.53-65
    • /
    • 2002
  • 독일어의 관계대명사는, 선행사의 반복과 그에 결부된 일치 규정을 철저하게 따름으로써 가능한 한, 언어의 모호성을 배제하려 한다. 이에 반해 한국어에서는 그런 것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독일어의 관계대명사에 해당하는 부가어 문장이 항상 그의 관계어/선행사 앞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양측의 (모국어)화자는 심각한 언어간섭 현상에 빠지기 마련이다 그들의 차이가 서로에게 너무 큰 까닭이다. 이러한 대립적인 어려운 문제들은, 일면에서는 전치성과 후치성이란 언어 특성을 익히고, 다른 일면에서는 한국인이 번역에서 독일어의 관계대명사에 결부된 구조를 완전히 생략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독일어나 한국어처럼 상호 대립적으로 발달한 언어를 정복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문장 자체를 한 단어처럼 익히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서술을 위한 표현능력을 신장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이에 따른 문법을 따로 배워야 한다는 생각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언어습득장치는 모든 것을 언제나 문법적/체계적/분석적으로 수용하기 때문이다.

  • PDF

Sprachtypologische Fehleranalyse - Im Vergleich der deutschen und koreanischen Sprache - (독일어와 한국어를 비교한 언어 유형적 분석)

  • Park Jin-Gil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7
    • /
    • pp.1-24
    • /
    • 2003
  • 우리는 지금까지 독일어와 한국어 두 언어간의 오류분석을 논의해 왔다. 특히 언어유형학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오류유형과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독일어와 한국어가 서로 근본적으로 상반되는 언어현상과 더불어 약간의 공통성을 나타내며 일정한 유형을 나타낸다. 이는 두로 인간의 언어습득장치에 기인된 언어습득의 결정주의(Determinismus)에서 비롯될 것이다. 언어특성/문제의 체계성/규칙성 또는 일관성은 이를 반영한다. 거대한 언어자료 중에 극히 미미한 일부, 즉 언어최소량를 정복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연구 이용하는 경우에는 엄청난 효과와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 독일어와 한국어의 학습 및 오류분석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언어유형학적으로 드러난 언어특성, 즉 전치성(독일어/영어)과 후치성(한국어)이다. 이를 토대로 형성된 대립적인 면과 공통적인 문제를 체계화하는 것이 역시 오류분석 문제의 관건이다. 또한 독일어가 아직 후치성 언어(한국어(TXV))에서 출발해서 전치성 언어(영어(SVX))로 발전/변화해 가는 과정, 즉 중간단계인 TVX에 머물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그들의 대극성과 유사성을 연결하는 실마리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 일치(Kongruenz)/상관(Korrelation) 및 반복(Wiederholung) 현상, 그리고 격변화와 인칭변화 현상은 어순문제와 더불어 형태론적 문제를 통해 문법적인 확인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대부분 체계적/구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학습자는 흔히 같은 유형에서 반복적으로 오류를 범하기 마련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언어 유형학적 오류분석을 이해하고 또한 이를 통해 오류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학습이 필요하다. (3) 명사가 한정사구 안에서 성/수/격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 동사가 동사구에서 주어의 인칭/수에 따라 인칭변화 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현상이다. 이는 양면적인 수식구조에 대한 확인수단 및 원자가에 의한 강력한 형식위주 언어인 독일어와 전위적인 단일 수식구조와 부정형 동사를 특성으로 형성된 핵/최소문 언어간의 필연적인 적응관계 및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유형 역시 언어특성에 따라 도식화/공식화 할 수 있다. (4) 괄호현상, 즉 으뜸머리(Hauptkopf)가 버금머리(Nebenkopf)와 분리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언어현상이다. 한국어에는 머리의 이동이 없기 때문이다. 긴 구문에서 버금머리를 잊어버리거나 실수하는 것은 모든 괄호구문에서 예견되는 결과이다. 그러나 이는 정치성과 후치성 언어간의 전이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으뜸머리가 원래의 자리를 박차고 소속 구/문의 앞자리로 도약한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5) 전치 및 후치 수식이 유동적으로 작용하는 독일어는 전치 수식만으로 고정된 한국어보다 복잡하지만 균형적인 언어구조이다. 이러한 수식구조에서 한국인은 흔히 형태 및 어순에서, 그리고 번역에서 오류를 범하고 만다. (6)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아는 것을 제대로 이용하는 문제이다. 모국어/L2를 자유로이 말하고 쓸 때까지, 즉 언어습득에는 일체이 문법이나 도표/도식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는 17세기 서구의 이성주의 철학자들의 한결같은 경고이다. 오늘날 초고속 과학문명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한 언어 속에 들어있는 문법체계를 익혀 가는 것이 곧 언어습득 과정이지만, 이를 달성하는 가능성 내지 첩경은 실제적인 언어자료와 체험이지 결코 문법이나 추상적인 개념적 접근이 아님을 웅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핵심적인 문제는 모국어교육에서도 최대 장점인 대화를 통한 언어연습/대화 기회를 최대한 보장하는 데 있다. 또한 언어간섭 현상을 조장하는 분위기를 막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수법 개발이 외국어/L2 성공의 관건일 것이다. (7) 언어학습에서 오류를 극복하는 데는 일차적인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 대화적인 연습, 그리고 효과적인 언어자료 접촉, 즉 독서와 모방이 중요하다. 이차적이고 직접적인 것은 통사(Syntax) 및 형태론(Morphologie)를 익힐 수 있는 말/문을 끊임없이 익히는 일이다. 이것이 또한 언어최소량을 충족시켜 언어습득에 이르는 첩경이다. 자연 생태적인 모국어 학습 또는 조정 및 제도적인 언어학습에서도 실제상황에 어긋나는 문법적인 체계에 얽매이는 도식 및 도표 위주의 텟스트는 일시적인 기대일 뿐이다. 인간의 언어습득장치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문법적인 개념위주 접근은 상당한 설명이 필요해서 절박한 자료와 체험까지 앗아가기 마련이다. 더구나 이를 위해 수준을 무시하고 모국어로 일관하여 벙어리와 문맹을 자초하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일이다. 지식 정보화 시대 및 세계화 시대에는 무엇보다도 교육 및 언어정책이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다. 특히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학습능력과 학습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에게 말하고 쓰는 기본 능력을 보장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위한 작업의 하나가 바로 언어간의 오류분석일 것이다. 언어의 습득과 활용이 체계적이듯이 오류분석 역시 상당히 체계적이다. 그래서 인간의 언어습득과 언어습득장치를 두고 결정론(Determinismus)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언어습득의 3대 요소, 즉 언어습득장치를 구비한 인간으로 태어나고, 해당 언어를 통한 일관된 언어체험/학습으로 언어최소량을 충족해야 한 언어를 정복할 수 있다는 것은 결정적인 사실이다. 학생고객에게 다가서는 책임교육으로 교육개방에 대비하는 일 역시 시대적인 상황이요 또한 결정적인 단계임엔 틀림이 없을 것이다.

  • PDF

Correlationship of skeletodental factors to a relapse in class II correctionn (II급 부정교합 치료 후 재발과 골격치성요소의 상관성)

  • Chung, Ae-Jin;Lee, Doe-Hoon;Kang, Kyung-Wha;Kim, Sang-Cheo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4 no.2 s.103
    • /
    • pp.153-16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tretention change of class II malocclusion treatment and to examine which factors were related to the relapse. Seventy-eight treated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tability of treatment results. Various measurements i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were evaluated and comparisons were drawn between the stable and relapse group by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1. There were only a row differences in the skeletodental relationship in the pre-treatment phase between the stable and the relapse group. 2. Mandibles in the stable group were repositioned mote anteriorly than those in the relapse group. 3. Mandibular incisors were more uprighted to the basal bone and maxillary incisors were less lingualized in the stable group than in the relapse group. 4. Occlusal plane was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in the relapse group.

$Infinitivit\"{a}t$ des deutschen und koreanischen Verbs - Im sprachtypologischen Vergleich beider Sprachen (언어 유형학적인 비교를 통한 독일어와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

  • Park Jin-Gil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6
    • /
    • pp.79-98
    • /
    • 2002
  • 지금까지 우리는 한국어와 독일어를 비교하면서 동사의 정형과 부정형을 관찰해 왔다. 이 부정성(역으로 말하면 비구속성)은 한국어 동사에는 전반적으로 통용되는 데 반해 독일어에는 부정형/동사원형과 분사가 그러할 뿐이다. 동사의 특성 연구는 어느 자연어/개별언어의 상이한 기능을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외국어 학습/습득을 위해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 그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한국어와 독일어 동사의 부정성 비교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ast$ 한국어 동사의 특징인 부정성은 우리의 운명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어떤 면에서는 유익함을, 그리고 어떤 다른 면에서는 문제점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전형적인 전치성 언어인 유럽언어를 습득할 때 언어간섭현상을 통해 그러하다. $\ast$ 독일어의 부정사/분사 및 한국어 동사가 인칭변화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들이 주어를 갖지 않고 있거나 (독일어의 경우), 아니면 그것이 어떤 문법/통사적 역할을 하는가 (한국어의 경우)에 주된 원인이 있다. $\ast$ 비교 대상의 양쪽은 생략가능성, 즉 원자가 요구에 대한 자유/비구속성을 누린다. 핵(성분), 즉 독일어의 부정형 및 분사 그리고 한국어 동사는 혼자 남을 때까지 생략이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부정성은 <비한정성/비구속성>과 관련된 것 같으며, 반면에 정동사의 특성은 <한정성/구속성>과 관계되어 있다. $\ast$ 원자가 요구/충족에 대한 자유/비구속성은 한국어 동사/술어가 문장 끝에 고정되어 있다는 사실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본동사 앞에 놓여 있어야 되는 모든 문장성분과 부문장 때문에, 즉 한국어의 전면적인 전위수식 현상으로 흔히 큰 부담/복잡함을 야기한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사는 가능한 한 그의 문장성분을 줄이려 한다. 통사적으로 보장되어 이미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일종의 부담해소 대책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ast$ 두 비교 대상에서의 핵 및 최소문장 가능성은 역시 원자가에 대한 비구속성에서 비롯된다. $\ast$ 우리 한국인이 빨리 말할 때 흔히 범하는 부정성으로 인한 인칭변화에서의 오류는 무엇보다도 정형성/제한성을 지닌 독일어 정동사가 인칭 변화하는 데 반해 한국어에서는 부정성/비구속성을 지닌 동사가 그것과는 무관한 페 기인한다. 동사의 속성을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이런 과오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 문제는 또한 지속적으로 수많은 다른 자연어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관찰돼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이 이런 연구와 언어습득을 위한 작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SHORT-TERM EFFECTS OF THE FUNCTIONAL REGULATOR III APPLIED TO ANTERIOR CROSSBITE PATIENTS IN EARLY MIXED DENTITION (기능성 반대교합을 가진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 FR III를 단기간 장착했을 때의 효과)

  • Woo, Se-Eun;Nam, Soon-Hyeun;Kim, Young-Jin;Kim, Hy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9 no.3
    • /
    • pp.293-300
    • /
    • 2012
  • In case of treating the functional type of anterior cross bite, removing the cause in early stage prevents from turning to skeletal type, leads to perform normal function, and has improved facial appearance. Functional Regulator III (FR III), one kind of the Functional regulator(FR)s suggested by R$\ddot{o}$lf Fr$\ddot{a}$nkel in 1966, applied to patients with the functional and skeletal anterior crossbite in early mixed, and permanent dentition. This appliance improves unbalanced power condition by blocking abnormal muscle-power effect, so that normal growth can be expected. In this case report, favorable results were obtained by selecting clinical cases of children in their early mixed dentition with functional cross bite. 1. FR IIIs were applied to patients with anterior crossbite for 5~6 months. Anterior crossbite patients were corrected favorably, nevertheless they didn't show any horizontal skeletal-changes by buccal shields. 2. Normal occlusion and esthetic facial contour were achieved from dental movement of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while the mandible rotates to posterior and inferior direction.

The stability in the adolescent Class III malocclusion treated by fixed appliances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의 고정식 교정 치료 후의 안정성)

  • Lim, Yong-Kyu;Lee, Joo-Na;Kim, Joeng-Il;Lee, Dong-Yu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4 no.4 s.105
    • /
    • pp.313-32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relapse in orthodontic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growing patients. A total of 55 patients were studied and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stability in the post-treatment stage. Of the sample, 3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able group and the remaining 22 were assigned to the relapse group. Cephalometric data of the pre-treatment stage was taken and compared between the stable and relapse grou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test: 1. This study presented statistical evidence to show that the major skeletal determinant of prognosis in Class III orthodontic treatment was not anteroposterior discrepancy .but vertical discrepancy, especially within the AB-maxillo mandibular triangle. Vertical angular measurement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B-MP and ODI(P<0.01) and the vortical ratio measurements were MP-P/AL and PP-P/AL(P<0.05). 2. Relapse tendency increased with the steep occlusal Plane, especially the steep lower occlusal plane. As to occlusal plan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L)-PP, OP-PP, AB-OP(L) and Wits appraisal(P<0.05). This study claimed that anteroposterior discrepancy was not necessarily the proper criteria to predict relapse. Vertical discrepa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treatment stability.

Eruption Guidance of Multiple Permanent Teeth Associated with Expansive Large Cyst in Maxillary Anterior Region: Two Case Reports (상악 전치부에서의 큰 팽창성 낭종과 연관된 다수 영구치의 맹출 유도: 증례 보고)

  • Hyeji Son;Jaesik Le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50 no.1
    • /
    • pp.121-130
    • /
    • 2023
  • In children, large odontogenic cysts affect adjacent anatomical structures as well as displace developing permanent teeth. Odontogenic cysts are treated via enucleation or marsupialization. This case reports a 5-year-old boy and a 10-year-old boy who have not only displaced 3 or more permanent teeth but also elevated the maxillary sinus floor due to the large size of the cyst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In both cases, marsupialization was selected to minimize complications. After marsupialization, a customized acrylic obturator, window opening, and orthodontic traction for eruption guidance were gradually attempted, and it showed a good prognosis, so we report these cases.

Changes of mandibular dental arch during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악교정수술을 받은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 전, 후의 하악치열궁 변화)

  • Nam, Hyung-Jin;Son, Woo-Sung;Park, Soo-Byung;Kim, Seong-S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8 no.4
    • /
    • pp.283-298
    • /
    • 200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mandibular dental arch from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treatment records and changes of mandibular dental arch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Method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mandibular study models of 31 adul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ere taken and measured. All measurements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by ANOVA, Scheffe's Post Hoc, and paired t-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valuat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n-LMMC, Mn-LIE, Mn-MnOcc was detected between pretreatment and presurgical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low correlations were demonstrated between the initial arch length discrepancy (ALD) and change in ICW, IPW1 (r = 0.492, 0.615) and change in arch length (r = 0.641). No association was seen between the initial depth of curve of Spee and change in mandibular incisor angle and arch width or arch length.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mount of change for arch length and IPW1 could be explained by 64.0% and 75.8% of the pretreatment variables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orthognathic surgery results can be predictable by measuring the pretreatment records.

CRANIOFACIAL STRUCTURE AND ARCH DIMENSION OF ADULT CLASS III MALOCCLUSION (성인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골격구조 및 치열궁형태에 관한 연구)

  • Lee, Dong-Geun;Suhr, Cheong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7 no.3 s.62
    • /
    • pp.359-372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ern differences of craniofacial, dentoalveolar structure and model measurements between sex and between class n openbite group and non-openbite group. The sample consisted of 49 adult patients with class Il malocclusion. 24 linear measurements, 22 angular measurements and 12 ratios were selected in lateral cephalometry. Also, arch width, length, anterior crowding, average molar relation were measured or calculated in diagnostic model. The data were evaluated by t-test and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linear measurements, with the exception of MnBL and AUDH,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male(p<0.05). but, intermaxillary relations and spatial position of maxilla and mandible relative to cranial base were not different for both sex. 2. With the exception of upper and lower anterior crowding, lower arch width, upper arch length, AMR, male exhibited significantly larger measurements in model analysis (p<0.05). 3. Size differences of maxilla and mandible between openbite and non-openbite group were not significant(p>0.05). but openbite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genial angle(p<0.05), FH-CoGo(p<0.01), FH-NA(p<0.01) and FH-NB, FH-NPog (p<0.05). 4. ALFH and PUDH were larger(p<0.05) in openbite group. this result served as compensation for the spatial position of mandible relative to cranial base. AUPUDH (p<0.001) and ALPLDH(p<0.05) were lower in openbite group. upper anterior crowding was the only measurement which showed difference between openbite and non-openbite group(p<0.05). 5. For the purpose of classifying adult class n openbite and non-openbite group,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was done genial angle, ALPLDH, AUPUDH, FH-NA were included in multiple discriminant equation. 39 cases($92.86\%$) were correctly classified when applied to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 PDF

Cephalometr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treatment methods in Class III malocclusion;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들의 각 치료법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의 비교)

  • Baik, Hyoung Seo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7 no.2
    • /
    • pp.197-208
    • /
    • 1997
  •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can be approached with many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methods, and thus, each patient's problems must be accurately evaluated to allow selection of the best possible treatment method. Cephalometric analysis is an essential part of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orthodontic patients, and it would certainly be helpful if reliable cephalometric guidelines could be set. The author divided 482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253 males and 229 females) into fourgroup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methods they have received to correct imbalance between upper and lower jaws: 1) orthopedic appliance (face mask & RPE), 2) camouflage treatment with fixed appliance, 3)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4) cross-bite correction with removable plates/ functional appliance. Cephalometric values at the time of first clinical examination were compare among the four groups. Cephalometric analysis indicates the following results: 1)the amounts of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skeletal discrepancies and dental compensation were greatest in surgery group 2) SNB, Wits, distance from Nasion Perpendicular Plane to point a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nd APDI were greater in orthopedic appliance group than fixed appliance(camouflage)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3) removable plates/ functional appliance group showed least amounts of skeletal discrepancies and dental compens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