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정 자극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청각 및 전정 자극이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 - 미숙아를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Auditory and Vestibular Stimulation on Stress Hormones in Preterm Infants)

  • 유경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3-212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providing auditory and vestibular stimulation to preform infants would have an effect on stress hormones. Methods: The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otest-posttest design in a quasi-experimental study Seventy-nine preform infants were assigned either one of two experimental groups or to a control group: 27 in the auditory stimulation group, 25 in the vestibular stimulation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this study were 1) gestational age of less than 37 weeks, 2) birth weight of less than 2,500g, 3) the absence of congenital anomalies or specific diseases, 4) recovering physiological weight loss, and 5) weaned from ventilatory assistance or oxyg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2 to May 2003. The auditory stimulation, a music audiotape, was provided 20 minutes twice a day for 10 days and the vestibular stimulation, an infant waterbed, was provided for 10 days. On day 1 and day 10 of the study, 24 hour urine sample was collected for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cortisol assays. In the data analysis SPSSWIN 10.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t-test. Resul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three groups were found to be homogenous. The 24 hour urine cortisol for the auditory (t=3.489, p=.001) and for the vestibular (t=2.638, p=.013) stimul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10 day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auditory and vestibular stimulation can be used to reduce 24 hour urine cortisol in preform infants. Therefore, music audiotapes and waterbeds provided in incubator are be recommended for reduction of the stress in preform infants who are hospitaliz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PDF

반강성 특성이 반영된 전정 유모세포 모델의 활동전위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on Potential Generations of the Vestibular Hair Cell Model with Negative Stiffness Feature)

  • 김동영;홍기환;김규성;이상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9호
    • /
    • pp.190-19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섬모 번들 특성 모델과 통합 전정 유모세포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전정기관 모델에 관한 연구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전정 유모세포의 섬모 번들이 가지는 특성이나 시냅스에서 발생하는 활동전위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섬모번들의 고유 특성을 고려한 전정신경의 활동전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안된 통합 전정 유모세포 모델은 외력을 반영하였고 서로 다른 규칙성을 가진 유모세포에 대해 각각의 섬모번들의 반강성 특성을 고려하였고 이를 기존의 외력없는 모델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외부 자극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화가 큰 불규칙적 신경섬유와 중간규칙적 신경섬유에서는 반강성 구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렇지 않은 규칙적 신경섬유에서는 기존의 반강성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제안된 전정 유모세포 모델을 통해 11개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모델링 데이터와 기존의 동물 실험 데이터가 거의 일치함을 보여 주었다. 제안된 섬모 번들 특성 모델이 적절히 모델링되었음이 확인된다.

전정기관 자극용 회전자극기를 위한 PMSM의 정밀 속도제어 (Precision Speed Control of PMSM for Stimulation of the Vestibular System Using Rotatory Chair)

  • 이태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8-631
    • /
    • 2000
  • A new control method for precision robust speed control of a PMSM(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using load torque observer is presented. With this system we can obtain more reliable eye moving singal(nystagmus) Until now rotating chair system which is called 2D-optokinetic stimulator is used to make dizzincess. However an inclined rotating chair system witch is 3D-optokinetic stimulator is needed to obtain the precise dizziness data. This 3D-optokinetic sitimulator include unbalanced load aused by unbalanced center of mass. For this case new compensation method is considered to obtain robust speed control using load torque observer. To reduce the effect of this disturbance we can use dead-beat observer which has high gain. The application of the load torque observer is published in [1] for position control. A problem of using speed information such as amplifying effect of noise is reduce by moving average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depicted in this paper to show the effect of this proposed algorithm.

  • PDF

일측 전정기관 손상 흰쥐에서 동측의 내측 전정신경핵 활동성에 대한 전정기관의 전기자극 효과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estibular System on Neuronal Activity of the Ipsilateral Medial Vestibular Nuclei Following Unilateral Labyrinthectomy in Rats)

  • 이문영;김민선;박병림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3호
    • /
    • pp.263-27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vestibular compensation following ULX in rats. Electrical stimulation (ES) with square pulse ($100{\sim}300uA$, 1.0 ms, 100 Hz) was applied to ampullary portion bilaterally for 6 and 24 hours in rats receiving ULX. After ES, animals that showed the recovery of vestibular symptoms by counting and comparing the number of spontaneous nystagmus were selected for recording resting activity of type I, II neurons in the medial vestibular nuclei (MVN) of the lesioned side. And then the dynamic neuronal activities were recorded during sinusoidal rotation at a frequency of 0.1 Hz and 0.2 Hz. The number of spontaneous nystagmu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24 hours (p<0.01, n=10), but not 6 hours after ULX+ES. As reported by others, the great reduction of resting activity only in the type I neurons ipsilateral to lesioned side was observed 6, 24 hours after ULX compared to that of intact labyrinthine animal. However, the significant elevation (p<0.01) of type I and reduction (p<0.01) of type II neuronal activity were seen 24 hours after ULX+ES. Interestingly, gain, expressed as maximum neuronal activity(spikes/sec)/maximum rotational velocity(deg/sec), was increased in type I cells and decreased in type II cells 24 hours after ULX+ES in response to sinusoidal rotation at frequencies of both 0.1 Hz and 0.2 Hz. This result suggests that accompanying the behavioral recovery, the electrical stimulation after ULX has beneficial effects on vestibular compensation, especially static symptoms (spontaneous nystagmus), by enhancing resting activity of type I neurons and reducing that of type II neurons.

  • PDF

전정기능 평가를 위한 탈수직축 회전자극 시스템 및 HMD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off-vertical rotatory chair and visual stimulation system for evaluation of the vestibular function)

  • 김규겸;고종선;박병림;김인동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325-332
    • /
    • 2001
  • 전징기관은 내이에 존재하며 유연한 동작과 몸의 자세 그리고 운동을 조절한다. 이 기관은 회진 가속도를 감지하는 세반고리관과 선형 가속을 감지하는 이석기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관의 생체 신호로부터 의사는 사람이 환자인지를 판단한다. 이 신호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회전의자 한쪽을 들어올려 최대 30도까지 기울인 상태에서, 회전제어하게 되는데, 이 경우 부하의 불균형으로 인한 불평형 부하를 제거하고, 생체신호의 측정을 위하여 robust제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세조절기능에 대한 이석기관의 역할을 추구하기 위하여 탈수직축 회전자극기를 개발하였으며, 공간을 차지하고 다양한 시각패턴을 만들지 못하는 기존 시각자극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HMD를 이용한 시각자극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더구나 노이즈에 취약한 아날로그 신호인 ENG신호의 전송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거리 R/F 무선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 이상의 제안된 시스템을 제작하고 실험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 PDF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특성과 행동학적 특성: 체계적 고찰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ensory Stimulation of ADHD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 이나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1-60
    • /
    • 2011
  • 목적 :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특성은 감각자극의 종류, 측정도구, 그리고 반응으로 알아보고, 행동학적 특성은 측정도구, 빈도, 측정도구별로 공통된 문제 항목을 분석하여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1990년 1월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Riss4U, MEDLINE/PubMed, CINAH을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ADHD, Children, Sensory processing, sensory integration, SP, SSP, SOR, TIE, CSP, SEP, EDR"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5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ADHD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는 5개(33.33%)이고, 행동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는 10개(66.67%)이며, 두 가지를 병행한 연구는 2개(13.33%)로 전체 15개(100%)논문을 분석하였다. 2.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 5개 중, 촉각과 고유 감각 자극을 사용한 연구는 3개, 후각, 청각, 시각, 촉각, 전정감각을 모두 사용한 연구는 2개였다. 3. 행동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10 중, SP는 5개, SSP는 3개, SOR은 2개, TIE는 1개, CSP는 1개이다. 4.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특성은 일차감각피질의 손 영역에 있는 신경원세포의 활동전위에서 큰 반응을 보였다. 반응 시 초기에 큰 반응을 보였고 뒤로 갈수록 빠른 습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 시에 많은 비 특이적 반응을 보였다. 5. 행동학적 반응특성은 부주의/산만, 전정감각처리,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 감정반응에 대한 감각입력 조절,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을 보이는 특성이 있었다. 결론 :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특성과 행동학적 특성을 아는 것은 ADHD아동의 감각조절 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 PDF

경피신경전기자극이 근피로에 의한 자세균형과 근수축력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on the Changes of Postural Balance and Muscle Contraction following Muscle Fatigue)

  • 조휘영;이순현;인태성;강선희;이동엽;송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418-4426
    • /
    • 2010
  • 근피로는 자세균형과 근수축력의 악화를 유발하여 다양한 근골격계 손상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하퇴삼두근에 근피로 유발에 의한 자세불균형과 근수축력 저하에 경피신경전기자극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3월부터 4개월간 전정계통과 시각계통에 문제가 없는 20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반복운동 수행을 통하여 비복근에 근피로를 유발하였고, 유발 후 즉시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하였다. 근피로 및 경피신경전기자극에 의한 자세균형과 근수축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세동요 이동거리와 속도, 최대수의수축력을 사용하였다. 근피로 유발에 의하여 자세동요 이동거리 및 속도의 증가와 근수축력의 저하가 나타났다(p<.05). 근피로가 유발된 비복근에 경피신경 전기자극의 적용은 근피로에 의한 자세동요와 근수축력을 유의하게 개선하였다(p<.05).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족저굴곡근의 근피로는 자세균형과 근수축력에 관여되고, 경피신경전기자극은 근피로에 의한 자세불균형 및 근수축력 저하에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경피신경전기자극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유발되는 근피로의 중재에 경피신경전기자극이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측 전정기관 손상 흰쥐에서 전정안구반사와 내측전정신경핵의 c-Fos 단백질발현에 대한 전정기관의 전기자극 효과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estibular System on Vestibuloocular Reflex and c-Fos Expression in the Medial Vestibular Nuclei of Unilateral Labyrinthectomized Rats)

  • 박병림;황호룡;이문영;김민선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3호
    • /
    • pp.275-284
    • /
    • 1997
  • Unilateral labyrinthectorny (ULX) causes autonomic symptoms, ocular and postural asymmetries, which disappear over tune in the process of equilibrium recovery known as vestibular compensation.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elucidate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vestibular compensation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estibular compensation and c-Fos expression in the medial vestibular nuclei following ULX, we measured spontaneous nystagmus, eye movement induced by sinusoidal rotation and c-Fos expression or to 72 hs after ULX in Sprague-Dawley rats.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ULX group with ULX only, and electrical stimulation (ES) group with electrical stimulation of $-2{\sim}-5V$, 1.0ms, 100 Hz to the lesioned vestibular system for 4 hs/day. Spontaneous nystagmus following ULX disappeared by 72 hs in ULX group and 36 hs in ES group. In eye movement induced by sinusoidal rotation, normal pattern of eye movement by rotation toward the lesioned side was recovered 24 hs after ULX at rotation of 0.1 Hz and 6 hs after at 0.2 Hz, 0.5 Hz in ULX group. In ES group, the eye movement recovered after 12 hs at 0.1 Hz, 6 hs at 0.2 Hz, and 4 hs at 0.5 Hz. Directional Preponderance which represents the symmetry of bilateral vestibular functions showed significantly early recovery in ES group compared with that of ULX group. Expression or c-Fos immunoreactive cells in the bilateral medial vestibular nuclei was severely asymmetrical till 36 hs in ULX group, and then it became a symmetry and disappeared after 72 hs. However, ES group showed the symmetry of c-Fos expression after 6 hs, which was significantly early recovery in 25 group. 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lectrical stimulation ameliorates recovery of vestibuloocular reflex following ULX by the restoration of the balance of the resting activity between bilateral medial vestibular nuclei. In addition, c-Fos expression in the medial vestibular nuclei could be used as a marker of vestibular compensation since c-Fos expres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urse of recovery following ULX.

  • PDF

가상현실을 이용한 통합 평형감각 측정 및 진단 시스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Union Balance Sensory Measurement And Diagnosis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 김종윤;송철규;김남균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9-243
    • /
    • 2001
  • 최근 각종 질병과 사고로 평형감각에 이상이 있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빠른 사회로의 환원을 위해서는 평형감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재활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장비들은 근력을 길러주거나 특정감각기관만을 훈련시켜주는 정도의 재활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기술과 자전거를 이용하여 평형감각 실조환자의 진단 및 시각, 전정감각, 체성감각 등을 효율적으로 진단하고 자극, 훈련시킬 수 있는 bike simulator system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시스템이 재활훈련에 유용한지 실험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본 시스템을 통한 반복실험결과 COP의 값을 통하여 평형감각의 정량적 측정, 분석이 가능하였고, 훈련시 COP를 실시간으로 visual feedback함으로서 평형감각의 조절과 balance의 유지기능이 향상함을 확인하였고 본 시스템이 통합평형감각 측정 및 훈련용 재활장비로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평류전정자극에 의한 H 반사의 변화 (The Change of H Reflex by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 황태연;김태열;박장성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65-73
    • /
    • 2004
  • In experimental method, this study was that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in vestibular system influenced the excitability of spinal neuron through. H-reflex was measured by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of binaural(right-negative pole and left-positive pole) at left head turning and prone position in sixteen normal subjects in their twenties age were selected. The summary of the comparison results were obtained below. 1. In the change of H reflex according to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GVS), Hmax amplitude(p<.05)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timulation. 2. In the change of H reflex according to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GVS), Hmax/Mmax ratio(p<.05)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timulation. In the conclusion,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influenced the excitability of vestibulospinal tract and spinal neur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