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배 양식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8초

벼 무경운 재배시 재배양식에 따른 생육 및 수량 (Rice Growth and Yield at Different Cultural Methods under No-tillage Condition)

  • 박홍규;김상수;백남현;석순종;박건호;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20-428
    • /
    • 1996
  • 획기적인 벼 생산비 절감 기술 확립을 위해1993~1995년 호남농업시험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무경운 기계이앙, 무경운 무논골뿌림, 무경운 표면조파, 무경운 산파, 경운 기계이앙 등 5가지로 하여 재배 양식간의 생육 및 수량성의 차이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경도는 무경운에서 높았고(토심 10cm의 경도 : 무경운 1.6kg/$cm^2$, 경운 1.0kg/$cm^2$), 토괴 심도가 깊을수록 경운과의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토양 물리성중 가비중은 무경운이 경운보다 높았으며 공극률은 경운에서 58.5~55.9로 무경운의 52.1~50.5보다 높았다. 2. 무경운 직파재배시 m$^2$당 입모수는 l13~133개였으며 이앙재배시 결주율은 경운 이앙 3%, 무경운 이앙 4.5%로 무경운 이앙에서 높았고, 유효경 비율은 경운 이앙이 높았으며, 무경운 재배 양식간에는 이앙>무논골뿌림>표면조파>산파의 순으로 높았다. 3. 잡초 발생량은 무경운에서 많았으며 경운에서는 피, 올양개, 방동사니가 우점하였고 무경운에서는 나도겨풀, 사마귀풀, 둑새풀이 우점하였 다. 4. 뿌리량은 경운 이앙에서 가장 많았고, 무경운재배 양식간에는 이앙>무논골뿌림>표면조파>산파의 순으로 많았으며, 뿌리 분포는 무경운에서 경운보다 표층 분포가 많았다. 특히 표면에 파종한 산파와 표면조파에서 표층 분포가많았다. 5. 하위 절간의 분포 비율은 도복이 심했던 무경운 표면조파와 산파에서 낮았고, 무경운 무논골뿌림, 무경운 이앙은 경운 이앙과 비슷하였으며, 중심고는 이앙재배에 비해 직파재배에서낮았고 줄기 매몰 심도는 경운(3.1cm)에 비해 무경운에서 낮았는데 무경운 표면조파, 산파에서는 0.6~0.7cm로 현저히 낮았다. 6. 도장 도복은 무경운재배시 산파>표면조파>무논골뿌림>이앙재배 순으로 높게 발생했으며, 특히 무경운 표면조파와 산파에서 뿌리도복이 심하게 발생되었다. 7. m$^2$당 수수는 경운 이아이 가장 많았고 무경운산파가 가장 적었으며, 등숙 비율은 포장도복이 심했던 무경운 표면조파, 산파에서 가장 낮았다. 벼 수량성은 경운, 무경운 이앙은 서로 비슷하였고 무경운 무논골뿌림은 경운 이앙의 약 93%였으며, 무경운 표면조파, 산파는 포장도복으로 크게 낮아 경운 이질의 87~81%정도였다.

  • PDF

녹조류, 옥덩굴 (Caulerpa okamurae)의 생장 및 생식 유도

  • 한정우;최창근;황은경;손철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69-270
    • /
    • 2001
  • 옥덩굴류(Caulerpa)는 청각목(Codiales)에 속하는 녹조류로 몸 조직은 낭상체로 되어 있으며, 난해산으로 열대 및 아열대에 많이 분포한다(Garcia et al., 1996). 옥덩굴류는 세계적으로 20여종 이상이 보고 되었으며 우리 나라에는 Caulerpa okamurae 1종만이 알려져 있다(강, 1968). 옥덩굴은 조직이 부드럽고 다육질이며, 형태와 색깔이 아름다워 신선한 야채 또는 샐러드 형태의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어 식량자원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크다. 또한 난해산으로 김과 미역의 양식이 되지 않는 고수온기에 재배할수 있어 해조류 양식의 효율성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략)

  • PDF

땅콩의 초형별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제 1 보 초형별 개화습성의 차이- (Studies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Plant Types in Peanut (Arachis hypogaea L.) I. Differences of Flowering Habit for the Botanical Types)

  • 이정일;박용환;박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1-197
    • /
    • 1984
  • 땅콩의 초형, 재배양식에 따른 개화습성을 구명하고저 Virginia, Spanish, Valencia, Shinpung의 4초형에 속하는 8품종을 공시, 재배양식 2수준(피복, 무피복)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든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땅콩의 개화소요일수는 피복재배 41일, 무피복재배 55일로 피복재배를 함으로써 14일 정도 개화일수를 단축시켰고, 초형별로는 Valencia<Spanish<Shinpung<Virginia 순으로 개화일수가 늦어졌다. 2. 개화기간은 초형간 차이가 현저하여 Virginia 85∼93일, Spanish 101∼105일, Valencia 106∼113일, Shinpung 82∼88일 이었으며 재배양식별로는 피복재배 100일, 무피복재배 94일로 피복재배가 더 길 었다. 3. 주당총개화수는 Virginia 342∼411개, Spanish 522∼611개, Valencia 587∼674개, Shinpung 383∼395개였으며 재배양식별로는 피복재배 510개, 무피복재배 435개로 피복재배에서 개화수가 많았다. 4. 총개화수에 대한 1일 평균 개화수는 피복재배의 경우 Virginia 4.4개, Spanish 5.8개, Valencia 6.0개, Shinpung 4.5개로 평균 5.2개였으며 무피복재배의 경우 초형평균 4.9개로 피복재배가 약간 많았으며 초형중에서는 Valencia type이 제일 많았다. 5. 개화최성기는 Shinpung과 Virginia가 빨리 오고 한번 오는데 대해 Spanish, Valencia는 늦게 오고 초기와 후기의 2회에 걸쳐 최성기가 오는 차이가 있었다. 6. 재배양식에 따른 최성기 차이는 피복재배 7월12∼16일, 무피복재배 8월 1∼5일로 피복재배가 20일 정도 개화최성기를 앞당길 수 있었다. 7. 절위분지별 개화분포는 총개화수의 52∼53%를 자엽절의 그 분지가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3∼5절위 분지에서 23∼27%, 6절위분지 이상에서 20∼25%로 자엽절 2분지의 비중이 특히 컸다.

  • PDF

벼 재배양식(栽培樣式)이 메탄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ice Cultural Patterns on Methane Emission from a Korean Paddy Soil)

  • 이경보;이덕배;김종구;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40
    • /
    • 1997
  • 담수된 논 토양에서는 산소공급의 차단으로 환원상태가 조장되어 메탄가스가 생성되는데, 생성된 메탄은 확산이나 벼 식물체를 통하여 대기로 배출되어 지구온난화 가스로 작용된다. 본 연구는 메탄가스 저감방법을 구명하고자 벼 재배양식별 메탄가스 배출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재배양식에 따른 메탄 배출량은 이앙재배, 담수직파, 건답직파순으로 많았으며 볏짚을 시용한 건답직파의 평균메탄 배출량($mg{\cdot}m^2{\cdot}h^{-1}$)은 10.27, 담수직파는 21.94, 그리고 이앙재배는 24.05였다. 2. 출수기의 시간별 메탄발생 양상은 오전 9시에서 오후7시까지 메탄배출량이 많았으며 밤에는 낮보다 메탄 배출량이 낮았다. 3. 메탄 배출량은 기온과 Eh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4. 시기별 메탄 배출정점은 유수형성기와 출수기 무렵에 두번 보였다.

  • PDF

땅콩의 초형별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III. 초형별 건물생산능력과건물 분배율 (Studies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Plant Types in the Peanut(Arachis hypogaea L.) III. The Differences in Dry Matt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Ratio of Dry Matter Produced among Plant Types)

  • 이정일;박용환;박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3-68
    • /
    • 1985
  • 땅콩의 초형, 재배양식에 따른 건물생산능력 및 건물분배율을 구명하고저 virginia소립종, virginia대립종, spanish, valencia, shinpung의 5초형에 속하는 10품종을 공시, 재배양식 2수준(피복, 무피복)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1. 건물생산량은 피복재배의 경우 virginia-large seed 1,556g/$m^2$, virginia-small seed 1,347g/$m^2$, shinpung 1,307g/$m^2$, spanish 1,170g/$m^2$, valencia 1,120g/$m^2$이었으며 무피복재배에서는 virginia-large seed 1,389g/$m^2$, virginia-small seed 1,267 g/$m^2$, shinpung 1,192g/$m^2$, spanish 1,066g/$m^2$, valencia 1,035g/$m^2$였다. 2. 최대건물생장속도(CGR)는 virginia-large seed 19.61~20.03g/$m^2$/day, virginia-small seed 18.22~23.4lg/$m^2$/day, shinpung 16.33~19.77g/$m^2$/day, spanish 13.86~16.28g/$m^2$/day, valencia 14.97~16.25g/$m^2$/day였다. 3. 엽면적지수(LAI)는 무피복재배보다 피복재배에서 높았는데, 피복재배의 경우 virginia-large seed 17.2 >virginia-small seed 7.0 > spanish 5.5 > valencia=shinpung 5.4순이었고, 무피복재배에서는 virginia-large seed 6.1 > virginia - small seed 5.8 > spanish 5.0 > valencia 4.9 > shinpung 4.4 순으로 virginia-large seed가 피복, 무피복재배에서 모두 높았다. 4. 경, 엽, 근의 건물분배율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협실의 건물분배율은 증가하는 경향으로등숙초기(7월말)에 있어서 피복재배의 경우 shinpung 86%> virginia-small seed 64%>virginia-large seed 63%>spanish 45%>valencia 44%순이었으며 무피복재배에서는 shinpung=spanish=valencia 60%> virginia - large seed 45%> virginia-small seed 40%순으로 shinpung type이 등숙초기에 건물분배율이 가장 높았다.

  • PDF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가정용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n the Home Aquaponics System Using the IOT)

  • 권혁진;김도균;최어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92-793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농촌 인구 및 농촌 물 부족으로 인해 대량 재배가 어려워 짐으로서, 물고기 양식과 수경 재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수경재배 작물과 가정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물고기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향후 이를 활용하여 가정에서도 쉽게 수경재배를 할 수 있는 이른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GIS를 이용한 논 잡초 올방개의 방제연구 (GIS application on weed control of Eleocharis kuroguwai in lowland rice field in Korea)

  • 박광호;오윤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47-53
    • /
    • 1995
  • GIS의 농업분야 이용으로서는 농작물 적지선정, 토양비옥도 지도작성, 병충해 발생양상 및 확산예측, 잡초분포현황, 주요 농작물의 작황 및 수량예측, 농업환경 영향평가, 기후변동과 농작물생육 등 활용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1992년 농촌진흥청이 주관하여 우리 나라 전국 논 잡초조사(총 2459개 지점)를 9개도에 걸쳐 121시군의 벼 재배포장에서 논 특성, 작부양식, 재배양식, 이앙시기, 경운 방법별로 구분하여 벼 파종후 60일 (직파재배)및 40-5-(이앙재배)에 초종별 발생본수 및 검물중등을 각각 조사하였다. SPANS(Spatial Anyalysis System)를 이용 Vector, Quadtree, Provincial map을 기본으로 하여 절대 미 상대밀도, 절대 및 상대빈도, 중요도, Simpson's Index, 종합우점도에서 주요 우점 초종중 가장 우점도가 높았던 올방개의 전국적인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생태학적 분석에 으한 종합우점도, 중요값, Simpon's Index에서는 올방개의 발생이 전국에 걸쳐 가장 높게 나타나 전 농가에서 이 잡초의 효과적인 방제가 요구되었지만 GIS 이용 전국적인 지도작성에서는 가장 극심한 지역으로서 경기남부지역으로 나타나 이 지역 농가에서 특히 체계적, 중점적 방제가 요구되어 방제전략을 제시해주었다.

  • PDF

논 작부체계(作付體系) 양식(樣式)에 따른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의 변화(變化) (Difference in Weed Population as Affected by a Cropping Pattern in Paddy Field)

  • 구연충;윤성호;박석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7-142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중부지방(中部地方)인 수원(水原)에서 작부양식(作付樣式)에 따른 논 잡초분포변화(雜草分布變化) 상태(狀態)를 알기 위하여 1976년(年)부터 1981년(年)까지 6년간(年間) 벼-보리, 감자-벼, 벼-폿베기호밀, 완두-벼, 벼 1 모작(毛作) 등(等) 5처리(處理)를 두어 동일(同一)한 포장(圃場)에서 동일(同一)한 작부양식(作付樣式)으로 재배(栽培)한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작부체계포장(作付體系圃場)에서 벼를 동일(同一) 이앙기(移秧期)로 하여 무비재배(無肥栽培)하면서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상태(狀態)를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층위별(土壤層位別) 잡초발생수(雜草發生數)는 0~20cm 토층(土層)에 고루 분포(分布)되었으며,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로는 벼 1모작(毛作) 및 벼-보리 작부양식(作付樣式)에서 발생량(發生量)이 많았다. 2. 독새풀 발생량(發生量)은 벼 1모작(毛作)>벼-보리>감자-벼>벼-풋베기호밀>완두-벼의 순(順)으로 많았다. 3. 잡초건물중(雜草乾物重)은 벼-풋베기호밀>벼 1모작(毛作)>벼-보리>감자-벼>완두-벼의 순(順)으로 많았고 벼-청예호밀을 제외(除外)하고는 벼 1모작연작(毛作連作)에 비(比)하여 2모작(毛作)에서 적었다. 4.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우점초종(優占草種)은 벼-보리 및 벼-풋베기호밀구(區)에서는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 감자-벼 및 완두-벼에서는 물달개비 및 가래가 우점((優占)하였다. 5.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는 52-91 범위(範圍)이었고 본(本) 계수(係數)가 가장 근사(近似)한 작부양식(作付樣式)은 완두-벼와 감자-벼의 양식(樣式)으로 91이었으며 가장 달랐던 작부양식((作付樣式)은 완두-벼와 벼 1모작(毛作)으로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 52였다.

  • PDF

강활 육묘 재배양식에 따른 생육 및 성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Constituent of Ostericum praeteritum Kitag. by Seedling Cultivation Methods)

  • 박준홍;김승한;손형락;장원철;김재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86-590
    • /
    • 2012
  • 본 연구는 다양하게 재배되고 있는 강활의 육묘이식 재배방법 중 추대억제에 효과적이면서 고품질의 약재생산이 가능한 육묘이식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강활 재배에서 추대억제 및 고품질의 한약재 생산을 위하여 육묘이식 재배방법에 따른 수량 및 성분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상부 생육은 야생종근이식과 노지육묘이식재배가 양호하였고 다음으로 트레이육묘이식, 직파재배 순이었으며, 추대는 직파와 트레이육묘 이식재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야생종근이식재배와 노지육묘이식재배가 각각 11.4%, 19.7%의 추대율이 나타났다. 수량은 트레이육묘 이식재배가 426 kg/10a로 가장 높았고, 직파재배가 187 kg/10a로 가장 낮았다. 강활근의 주요 성분은 oxypeucedanin, bisabolangelone이었고, 처리별 함량에서는 야생종근 이식재배가 전반적으로 다른 처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