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성찰 실습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 Reflective Practice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among Nursing Students)

  • 김애경;김래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65-6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 43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43명으로 총 8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는 2명의 연구자에 의한 관찰평가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chi}^2$-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실습 자신감(t=2.170, p=.033), 학업적 자기효능감(t=3.096, p=.033), 핵심 기본 간호술 성취도(t=2.817, p=.007)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실습만족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 교육현장에 도입되어 간호교육의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자아성찰 자율실습이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through Writing Self-Reflective Journal on Basic Nursing Performance ability, Confidence in performance, Learning self-efficacy and Practice satisfaction)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93-306
    • /
    • 2017
  • 본 연구는 동영상을 활용하여 자아성찰을 통한 자율실습 후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사후설계 유사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57명, 대조군 5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4월1일부터 6월 14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동질성 검정은 ${\chi}^2$ test, t-test 및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변수에 대한 집단 간의 사전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t=15.304, p<.001), 실습만족도(t=15.304, p<.001)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점수가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기본간호 자율실습 시 동영상을 촬영한 후 자아성찰을 통한 실습방법은 자율실습 참여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높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실습참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본간호 술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다양한 실습에 적용해볼 것을 제안한다.

융복합 사회에서 간호학과 학생의 행복감, 행복감 증진활동 및 자기성찰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Happiness, Happiness promotion activities and Self-reflection in the Convergence Society)

  • 조미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305-313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행복감, 행복감 증진을 위한 활동과 자기성찰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현대의 융복합 사회에서 행복의 욕구는 생명과 자유의 권리만큼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고 최근 긍정심리학의 등장에 의해 더욱 활기를 띠고 있다. 자료는 D광역시의 일 간호학과 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 2-8일까지 수집하여 SPSS WIN 19.0을 사용, t-test/ANOVA, Correlation,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자기성찰은 4학년과 임상실습을 한 그룹에서 높은 점수로 학년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행복감은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종교가 있고, 경제적 수준이 높은 그룹에서 행복증진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은 타인영역의 성찰과 행복감 증진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행복감의 주요 영향요인은 행복증진활동, 경제적 수준, 자기영역 성찰로 행복감의 26.3%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의 행복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파악하였다. 행복감과 자기성찰에 대한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방법의 반복연구가 필요하고 행복감과 행복감 증진에 대한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수술실 실습 경험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 in Operating Room)

  • 송미숙;박경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357-36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수술실 실습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C군 일개 대학에 수술실 임상실습에 참여한 간호 대학생 3, 4학년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월14일부터 2020년 1월 13일까지였으며, 자료 수집은 개방형 자기보고서식 성찰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 [21]의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수술실 실습 경험을 분석한 결과, 27개의 하위주제, 12개의 주제, 그리고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5개의 범주는 '복잡한 심경에 휩싸임', '펼쳐진 인체와 직면함', '수술실의 특성을 터득함', ' 임상실습의 한계와 맞닦드림' '자기성찰''이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수술실 실습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교수피드백을 적용한 성찰일지 작성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Writing Reflection Journal with Teaching Feedback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김진영;김은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503-5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8년-2019학년도 건강사정 및 실습수업을 이수한 간호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교수피드백이 적용된 성찰일지 작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학습태도는 사전점수를 공변량 처리하여 공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기(t=2.10, p=.037), 학습태도(t= 4.54, p=.034)에서 시행군과 대조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교과목에 교수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한다면 학습동기, 학습태도 향상을 가져온다고 할 수 있겠다.

상담실습 수업을 통한 대학생들의 자기성장 경험 연구 : 융합적 교육방법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A study on undergraduate students' self-growth experiences in a counseling skills training course)

  • 김영은;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315-32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실습 수업을 통해 대학생들이 어떠한 자기성장의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모 대학에서 상담실습 수업 수강을 완료한 7명의 대학생이었으며 이들이 수업 중 작성한 수업경험 성찰 저널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6개의 주제와 11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내담자에게 내가 투영됨, 대인관계 역동을 탐색함, 자신의 감정에 접근함, 내가 모르던 나를 발견함, 과거와 현재의 연결고리를 살펴봄, 자기직면으로 인한 어려움을 체험함, 상담자의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 걱정함, 성장에 대한 동기가 높아짐, 자기 인식의 가치를 발견함, 새로운 행동을 시도함, 나와 타인에 대한 수용의 폭이 넓어짐. 이와 같이, 대학생들은 상담실습 수업을 통해 다각적인 자기성장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자 전문성 발달에 있어 그동안 주목 받지 못했던 자기성장의 측면을 풍성하게 조명해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상담자의 자기성장을 체계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전인적인 상담실습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아반 보육실습 체험에 대한 의미 (Meaning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n Daycare Centers for Toddler)

  • 천혜정;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7-199
    • /
    • 2010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실습에서 예비보육교사들이 어떠한 체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드러내어, 예비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육실습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의 A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4명의 보육실습 체험을 8개월간 수집한 내러티브 연구이다. 예비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육실습의 체험은 개인마다 다양하였으며 실습을 통하여 교사가 되어가는 것의 가치와 영아에 대한 이해, 영아보육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고 있다. 영아반보육실습의 의미는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자기존재를 확인하고 교사로서 자신을 돌아보는 자기성찰의 태도를 통하여 자기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고, 가르치는 일에 행복함을 체험하는 과정이었다. 또한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은 영아들의 삶에 진정으로 마음을 다하여 함께 하는 돌봄의 자세임을 알아가고 있다.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 지원을 위한 '사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프로그램 모의실행에 대한 요구조사 및 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 'Pre-Training Program' to Support Pre-Librarians' Library Practicum: Pre-Librarians' Needs and Satisfaction Assessment Before and After Running a Mock Pre-Training Program)

  • 권선영;구정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275
    • /
    • 2018
  • 이 연구는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운영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전교육 프로그램 내용과 운영방법을 구상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실습참가자들의 사전 요구들을 분석하여 최종 사전교육 내용구성과 운영방법을 제안하였다. 5가지 교육주제와 세부항목들로 구성된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제로 도서관실습에 참여하려는 H대학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사전교육 직후 설문지법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방법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사서들은 교육 중 '커뮤니케이션 스킬 개발'에 대한 내용에 가장 큰 만족도와 선호를 보였고,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자아성찰 및 자기설계' 순서였다. 교육내용에 대한 사전요구와 만족도는 실습참여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인, 학업성적, 진로결정 유무 등에 따라 다른 선호도를 표하는 바, 사전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일괄적 교육보다는 실습참여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전교육 내용을 선택적이고도 융통성 있게 조합하여 운영할 것을 제언하였다.

가정과교육에서 손바느질 실습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hand sewing clas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27-139
    • /
    • 2018
  • 본 연구는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손바느질 실습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립러닝 수업은 3단계로 설계하였으며 수업 준비 단계에서는 기초 손바느질에 관한 동영상과 ppt자료를 온라인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수업 중에는 사전학습여부를 퀴즈로 확인한 후 미니시범을 보이고, 기초 손바느질을 하는 기본과제와 이를 활용한 소품 만들기 응용과제를 하도록 하였다. 수업 마무리 단계에서는 과제전시를 통해 학생들이 서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플립러닝 수업효과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성찰일지로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플립러닝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플립러닝 수업의 수준이 적절하다고 하였으며, 동영상과 ppt자료, 퀴즈, 기본과제와 소품 만들기 응용과제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고, 수업에서 상호작용이 원활하다고 하였으며,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손바느질 실습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의 경우 동영상을 활용함으로써 사전학습으로 인한 수업내용에 대한 이해의 증가와 수업 중 반복학습에 대한 장점이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기본과제 외에 응용과제를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수업과 개별화학습으로 일반적 실습수업보다 긍정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손바느질 실습에 플립러닝이라는 새로운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동료멘토링을 활용한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Utilizing Peer Mentoring for Teachers' Self-efficacy Improvement and Peer Metoring Percep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05-318
    • /
    • 2017
  • 본 연구는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동료멘토링을 활용하여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자기효능감 요인들 즉, 상황경험, 간접경험, 언어적/사회적 설득, 감성적/생리학적 상태의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멘토와 멘티로 구성된 팀활동과 멘티의 수업시연 및 동료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뷰와 성찰저널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요인들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료멘토링의 인식에 대한 결과 분석에서 멘티의 경우 멘토들의 조언을 통해 상호작용과 소통을 통해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실습 및 실무경험의 기회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