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elf Reflective Practice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among Nursing Students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8.09.12
  • Accepted : 2018.11.22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reflective practice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one nursing colleges. The sample consisted of an experimental group (n=43) that participated in the self reflective practice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43). The data of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practice satisfac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March 2, 2018 to May 30.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was evaluated by two researchers. Data analyzed using ${\chi}^2$-test and independent t-test. After the interventi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learning self-efficac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Findings indicated that,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nursing student to improve their fundamental nursing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 43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43명으로 총 8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는 2명의 연구자에 의한 관찰평가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chi}^2$-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실습 자신감(t=2.170, p=.033), 학업적 자기효능감(t=3.096, p=.033), 핵심 기본 간호술 성취도(t=2.817, p=.007)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실습만족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 교육현장에 도입되어 간호교육의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66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 과정

표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CCTHCV_2018_v18n11_665_t0001.png 이미지

표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

CCTHCV_2018_v18n11_665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박영임, 김정아, 고자경, 정명실, "간호역량규명을 위한 문헌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 663-674,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663
  2. http://www.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20180126142812.pdf, 2018.07.16.
  3. 이슬기, 신윤희,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피드백 자율실습이 기본간호수기 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6권, 제2호, pp. 283-292, 2016. https://doi.org/10.4040/jkan.2016.46.2.283
  4. 이성심, 권미경,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기본 간호 자율실습이 자아효능감, 실습만족도 및 실습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2권, 제3호, pp. 255-263,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3.255
  5. 류세인, 김애경, "Bloom의 완전학습모델 적용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및 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 499-50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499
  6. 김현, "스마트폰 동영상 자가평가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제17권, 제20호, pp. 169-180, 2017.
  7. K. H. Kim, S. O. Chang, H. S. Kang, K. S. Kim, J. I. Kim, H. S. Kim, J. H. Park, M. R. Eom, M. S. Youn, O. C. Lee, and J. S. Won, “Content and educational needs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8, No. 4, pp. 506-519, 2011.
  8. E. Y. Cheon, “The effects of video-aided peer feedback on enhancing nur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1, pp. 43-51,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1.43
  9. A. Bandur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 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0. E. J. Shin,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3, pp. 380-386, 2008.
  11. Y. H. Kim, “Evaluation of practice education using checklists in fundamentals of nursing : focused on measuring blood pressure on the upper arm and sterilized gloving(open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2, No. 3, pp. 298-306, 2005.
  12. A. Vnuk, H. Owen, and J. Plummer, “Assessing proficiency in adult basic life support : Student and expert assessment and the impact of video recording,” Medical Teacher, Vol. 28, No. 5, pp. 429-434, 2006. https://doi.org/10.1080/01421590600625205
  13. Y. H. Kim, “Satisfaction with evaluation method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al skill education through cell phone animation self-monitoring and feedback - Focus on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2, pp. 134-142, 2008.
  14. M. S. Yoo, I. Y. Yoo, and H. Lee, “Nursing students' self-evaluation using a video recording of foley catheterization : Effects on students'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motiv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9, No. 7, pp. 402-405, 2010. https://doi.org/10.3928/01484834-20100331-03
  15. 김묘경, 이형숙, "휴대폰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교육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성취도,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128-137, 2017. https://doi.org/10.7739/jkafn.2017.24.2.128
  16. 지예림, 정현미, "대학 수업에서 사례기반학습이 과제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9호, pp. 243-265, 2014.
  17.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 95-123, 2001.
  18. 송소라, 비디오 레코딩을 통한 자가평가 학습법이 기본간호실습 수행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9. 김순옥, "자아성찰 자율실습이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실습만족 도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0호, pp. 293-306.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10.293
  20. http://www.korean.go.kr/09_new/index.jsp, 2018.08.20.
  21. 윤은자,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녹화학습의 효과연구-근육주사 실습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5권, 제1호, pp. 86-96, 1999.
  22. 강규숙, "기본간호 실습교육에 있어서 비디오녹화학습의 효과-배변술을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제3권,제2호, pp. 273-283, 1996.
  23. 윤미선, 조주연, "간호학생의 분만실 실습기관별 간호수행 경험과 간호수행 자신감,"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2권, 제2호, pp. 909-921, 2010.
  24. 윤매옥, 주연숙,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 을 적용한 OSCE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7호, pp. 285-295,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7.285
  25. 정혜윤, 강숙,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 중요성 인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기본간호술 수행자 신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6호, pp. 241-250, 2018. https://doi.org/10.14400/JDC.2018.16.6.241
  26. 최금희, 권수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기본간호 실습만족도가 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 제18권, 제5호, pp. 626-635,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5.626
  27. 한경순, 박은희, 조주연, "간호대학생들의 기본간호실습태도에 대한 주관성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0권, 제3호, pp. 682-693, 2000. https://doi.org/10.4040/jkan.2000.30.3.682
  28. 천의영, "간호대학생의 유치도뇨 동영상 촬영을 이용한 토의식 동료평가 학습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43-51,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1.43
  29. 강현주, 김주옥, 김형선, 유소영, 최순옥, 황혜민, "자기관찰 방법을 이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이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행 자신감과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9호, pp. 227-241, 2016.
  30. 김영희, "휴대폰 동영상 자기관찰 및 피드백을 통한 기본간호학 실기 교육평가방법에 관한 만족도 : 정체도뇨관 삽입을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 134-142, 2008.
  31. 김순희, 지영주, "자가학습법을 활용한 비디오레코딩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의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5권, 제4호, pp. 511-519, 2015.
  32. 채여주, 하영미,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4권, 제6호, pp. 285-294, 2016.
  33. 강숙,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이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 247-256,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5.247
  34. 김영희, "실습교육 평가방법에 따른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과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 6176-6186,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10.6176
  35.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986.
  36. 추건이, "야구선수의 타율 및 방어율과 자기 효능감의 관계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6권, pp. 323-335, 2000.
  37. A. Bandur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 28, No. 2, pp. 117-148, 1993.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2_3
  38. 마예원, 이은주,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영향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10호, pp. 521-531, 2017.
  39. P. R. Pintrich and E. V. De 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2, pp. 33-40, 199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40.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 95-123, 2001.
  41. 김연자, 진미환, "간호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수행 능력향상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5권, 제4호, pp. 131-139, 2015.
  42. 박미향, "상호동료교수법을 이용한 기본간호학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22호, pp. 785-804, 2017.
  43. 한현희,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빈도, 수행자신감, 수행능력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8호, pp. 355-362,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8.355
  44. 이재욱, 비디오모델링을 이용한 자기평가중재가 자폐아동의 과제수행태도 및 성취에 미치는 효과 -체육활동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5. 박혜진, "성찰일지 분석을 통한 협동학습 효과 사례 연구,"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3호, pp. 225-250, 2018.
  46. 강인애, 정은실, "성찰저널(Reflective Journal)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 대학에서의 수업 사례," 교육방법연구, 제21권, 제2호, pp. 97-117, 2009.
  47. 장은호,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g)에서 성찰일지의 작성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