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식 수준

검색결과 3,929건 처리시간 0.026초

여성의 대인 의존심이 성적 성가심 대응 반응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Dependency on Women's External Reactions toward Sexual Harassmwnt)

  • 신성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26권
    • /
    • pp.135-164
    • /
    • 1995
  • 자료분석 결과 발견된 사실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에서 발생하는 성적 성가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여성들은 약 50.6%정도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성적 성가심에 대해서 불쾌하게 인식하는 정도도 상대적으로 높고, 불쾌감을 상대에게 표현하며 대응하는 정도도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들은 전체 응답자(736명)중에서 약 40%(294명)정도 였다. 성적 성가심에 대하여 불쾌함을 인식하는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상대에게 불쾌함을 표현하며 대응하는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들이 약 10.7%(79명)로 나타났다. 반면에 성적 성가심에 대하여 불쾌하게 인식하는 정도도 상대적으로 낮고 불쾌함을 상대에게 표현하는 정도도 낮은 여성들이 약 32.8%(242명)나 되었다. 약 16.4%(121명)의 여성들은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불쾌하게 인식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서도 상대에게 불쾌감을 표현하며 대응하는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표 4> 둘째, 직장에서 발생하는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여성이 상대에게 성적 성가심에 대한 자신의 불쾌함을 표현하며 대응하는 능력은 여성의 심리적 특성인 대인의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명백하게 확인하였다.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성적 성가심에 대해 상대적으로 불쾌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으면서 불쾌감을 표현하고 대응하는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들은 대인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반대로 성적성가심에 대해 상대적으로 불쾌하게 인식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불쾌감을 표현하며 대응하는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들은 대인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목할만한 사실이다. 세째, 성장시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이 성적 성가심과 같은 이성과의 상황에서의 여성들의 대응 반응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성장시 아버지가 지배적이고 어머니가 순종적인 특성이 뚜렷한 가정에서 성장한 여성들은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이 동등한 가정 분위기에서 양육된 여성들에 비해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불쾌함을 표현하며 상대에게 대응하는 수준(강도)자체가 훨씬 낮았고, 성적 성가심에 대해 자신이 불쾌하게 생각하는 정도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약한 소극적인 대응반응을 보이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상대 남성에 대한 여성들의 대응 반응은 성장시 남성인 아버지에 대한 여성인 어머니의 태도 및 행동의 재현(reenactment)현상으로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은 특히 동성인 부모가 성역활 사회화의 가장 강력한 모델이라는 학습 이론가들의 주장을 거듭 뒷받침하여 준다.

  • PDF

어휘 자질 기반 기계 학습을 사용한 한국어 암묵 인용문 인식 (Recognition of Korean Implicit Citation Sentences Using Machine Learning with Lexical Features)

  • 강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565-5570
    • /
    • 2015
  • 암묵인용문 인식은 학술문헌의 본문 텍스트 내에서 명시적 인용표지가 누락된 인용문장을 자동 인식하는 것으로 인용 기반 논문 검색 및 요약의 핵심 기술이다. 기존 암묵인용문 인식의 최신 연구들은 단어 ngram, 단서어구, 명시인용문과의 거리, 기존 연구자의 성, 기존 방법의 명칭 등 다양한 자질을 활용하여 50% 이상 인식 수준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영어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한국어의 경우 최근 긍정/부정 단서어구 패턴을 활용한 규칙 기반 시도에서 42% 성능 수준이 보고되어 있어 추가 성능 향상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어휘 자질을 사용하여 한국어 암묵인용문의 기계학습 기반 인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어절, 형태소, 음절 단위에 기반한 다양한 크기의 어휘 ngram 자질들의 인식 성능을 비교 평가하고 한국어 암묵인용문 인식에 적합한 어휘 자질로 형태소 1gram 및 음절 2gram 단위를 결정하였다. 또한 이들 어휘 자질들을 전후 명시인용문들과의 인접성을 표현한 위치 자질들과 결합하여 한국어 암묵인용문 인식 성능을 50% 이상 수준으로 대폭 향상시켰다.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Care Work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 이서영;임효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38-247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주요 인력인 요양보호사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전문성 인식수준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전문성 인식수준이 그들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부산의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우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조사는 2012년 8월 13일에서 31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조사 결과, 요양보호사들의 전문성 인식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38점, 직무만족은 3.41점으로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인식수준과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상관관계 계수 r=.553으로 두 변수 간에 유의미한 높은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어, 요양보호사가 자신의 전문 직업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개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타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통제하고 분석했을 때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의미한 변수는 전문성 인식과 연령인 것으로 나타나, 노인요양시설에서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들의 전문성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실무경력에 맞는 적절한 직위와 처우가 제공될 수 되는 경력개발 및 승급체계 등의 마련과, 요양보호사 스스로 심리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교육과 지원이 요양보호사 초기교육에서부터, 현장에 투입되고 나서의 재교육에 이르기까지 지속적 정기적으로 도입되어야함을 제언하였다.

무기체계 훈련 간 상황인식 평가 프로세스 개발 : 인지공학적 관점에서 (A Study of the Situation Awareness Assessment Process During Training in Weapon System)

  • 박재은;신창훈;이혜원;윤정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58-167
    • /
    • 2018
  • 무기체계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S/W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다양화 복잡화되고 있다. 무기체계 S/W 사용자의 상황인식 수준은 신속 정확한 판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훈련 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무기체계 S/W 사용자의 상황인식 수준은 단순 상황해결 유무 또는 평가자의 정성적인 판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무기체계 S/W 사용자의 상황 인식 수준을 체계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ACT-R(Adaptive Control of Thought-Rational) 인지아키텍쳐에 인지공학 이론인 SA (Situation Awareness)와 Fitts' Law를 접목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식 수준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Cognition Ratio 개념을 제안하였다. Cognition Ratio는 지각(Perception)과 행동(Psychomotor)을 포함한 인지 행동 과정 중 인지(Cognition)의 비율로 구성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Cognition Ratio를 활용하여 사용자 상황인식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 프로세스는 다양한 무기체계 S/W 사용자의 상황인식 수준을 효과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부 중년기 성인에서 건강상태가 일반적 삶의 질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General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Adults)

  • 박은선;최준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24-633
    • /
    • 2012
  • 본 연구는 중년층 성인의 삶의 질 결정에 있어 건강상태의 중요성을 분석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이나 보건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1월 14일부터 2월 22일까지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의 중년층 성인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t-test와 One way ANOVA 분석 및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삶의 질 수준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삶의 질 수준은 40~50세 연령층과 고졸 이상, 가정 월평균 수입이 201만원 이상, 가족 등과 동거자 및 기혼자에서 높았다(p<0.05). 또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40~50세와 고졸 이상, 가정 월 평균 수입이 201만원 이상 및 기혼자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2. 건강상태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삶의 질 수준은 전반적으로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위장질환이 없으며, 이환된 전신질환이 없고, 매일 복용하는 약물이 없으며, 월경이 있고 우울증 증상이 9점 이하인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전반적으로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당뇨병이 없으며, 이환된 전신질환이 없고, 매일 복용하는 약물이 없으며, 월경이 있고 우울증 증상이 9점 이하인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3.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구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밤시간에 입마름 등 구강건조증 증상을 전혀 인식하지 않는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은 치주질환 증상이 3개 이하이고 밤시간에 입마름 등 구강건조증 증상을 전혀 인식하지 않는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4. 일반적 삶의 질,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의 연관성 강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 삶의 질은 우울증 증상($\beta$=-0.561)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구강건조증 증상($\beta$=-0.566)과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p<0.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증과 구강건조증 인식도에 따라 일반적 삶의 질 또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년층에서 우울증과 구강건조증의 예방 및 조기관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전자교육 교수설계자의 핵심 직무역량 분석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Core Job Competencies)

  • 이주령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145-148
    • /
    • 2011
  • 본 연구는 전자교육(e-learning) 교수설계자의 핵심 직무역량을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교수설계 인력의 전문성 제고 방안 마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토대로 전자교육 교수설계자의 역량수준도와 역량중요도를 분석할 수 있는 설문 조사지를 개발하여 50명의 전자교육 교수설계자를 대상으로 설문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활용 가능한 42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여 SPSS 17.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전자교육 교수설계자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을 상회하는 양호한 역량 수준도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역량중요도 인식과 비교해 볼 때 평균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직무수행을 위해 갖춰야 하는 역량의 중요성에 비해 전자교육 교수설계자의 현재 역량 수준도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인터뷰와 같은 질적인 접근을 통해 좀 더 현실적인 업무 환경을 반영한 역량 연구와 더불어 직무 인식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많은 자극 가능성을 최대한 수렴한 세분화된 연구를 통해 전자교육 교수설계자의 상황과 수준에 맞는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해야 할 수 있도록 연구할 필요가 있다.

  • PDF

FSN을 이용한 금액 인식 시스템 (Price Recognition System using FSN)

  • 함정표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331.1-33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금액을 인식 대상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프레임 동기 네트워크(Frame Synchronous Network)을 이용하였다. 연속음 인식에서 인식 대상이 가지는 규칙을 적용했을 경우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금액이 가지는 반복적인 특성과 자릿수의 상하 관계가 인식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준의 제약을 갖는 FSN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FSN의 성능을 다양한 환경과 특징 벡터에 대하여 이산 hidden Markov model[5]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식 결과 제안된 FSN을 이용하여 금액 어휘의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문법적 제약을 이용한 연속음 인식의 성능 향상 (Improvement of Connected Word Recognition using Grammatical Constraint)

  • 함정표;양태영;신원호;이충용;차일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8년도 학술대회
    • /
    • pp.107-110
    • /
    • 1998
  • 연속음 인식에서 인식 대상이 가지는 규칙을 적용했을 경우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음 중에서 연결 숫자음을 인식 대상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프레임 동기 네트워크(Frame Synchronous Network)을 이용하였다. 연결 숫자음이 가지는 반복적인 특성과 자릿수의 상하 관계가 인식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준에 제약을 갖는 FSN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 숫자음 중에서 금액을 대상으로 인식 결과 제안된 FSN을 이용하여 금액 어휘의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문법적 제약을 이용한 금액 문장 인식의 성능 향상 (Improvement of Price Sentence Recognition Using Grammatical Constraint)

  • 함정표;양태영;신원호;이충용;차일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80-186
    • /
    • 1998
  • 연속음 인식에서의 인식 대상이 가지는 규칙을 적용했을 경우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음 중에서 연결 숫자음을 인식 대상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프레임 동기 네트워크(Frame Synchronous Network)을 이용하였다. 연결 숫자음이 가지는 반복적인 특성과 자릿수의 상하 관계가 인식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준의 제약을 갖는 FSN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 숫자음 중에서 금액을 대상으로 인식 결과 제안된 FSN을 이용하여 금액 어휘의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일개지역 노인의 건강인식 및 건강관리에 관한 연구 (Health-Related Habits and Food Habits of the Elderly Living)

  • 김은엽;임근옥;이현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974-2984
    • /
    • 2009
  • 본 일개 지역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정도를 중심으로 일반적 특성, 건강 습관 및 관리 요인, 암 관련 요인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증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은 연구대상자 50.7%가 중간수준이라고 응답하였다. 현재 건강상태가 일상생활을 방해하는지 조사한 결과 건강수준 인식이 좋지 못 할수록 현재 건강상태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방해받는다고 하였다. 건강관리 방법은 건강정도 인식이 나쁘거나 좋지 못한 그룹은 의약품으로 관리한다는 빈도가 가장 높은 반면, 건강정도 인식이 좋다고 생각하는 그룹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음주 혹은 흡연을 하지 않거나 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년 안에 암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건강인식이 좋다고 그룹은 42.7.%, 보통인 그룹은 47.6%, 나쁘다고 생각하는 그룹은 52.0%로 응답하였다. 노인들도 건강에 대한 올바른 습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