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re Work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 이서영 (서울사이버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 임효연 (세종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3.06.24
  • Accepted : 2013.07.16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care workers' role perceptions of their occupation and job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They are core human resources in elderly care work practice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ir occupation are likely to affect their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 mail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to 400 care workers who are at work in long-term 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Pusa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erception level of care workers' professionalism is 3.38, and job satisfaction is 3.41. Secondl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erception level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coefficient is .553, which shows positive relations between two variables. Thirdly, the study shows that care work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significantly affects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 variety of measures in contribu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through reinforcement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higher than present level of care workers who supply direct servic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주요 인력인 요양보호사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전문성 인식수준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전문성 인식수준이 그들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부산의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우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조사는 2012년 8월 13일에서 31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조사 결과, 요양보호사들의 전문성 인식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38점, 직무만족은 3.41점으로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인식수준과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상관관계 계수 r=.553으로 두 변수 간에 유의미한 높은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어, 요양보호사가 자신의 전문 직업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개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타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통제하고 분석했을 때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의미한 변수는 전문성 인식과 연령인 것으로 나타나, 노인요양시설에서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들의 전문성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실무경력에 맞는 적절한 직위와 처우가 제공될 수 되는 경력개발 및 승급체계 등의 마련과, 요양보호사 스스로 심리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교육과 지원이 요양보호사 초기교육에서부터, 현장에 투입되고 나서의 재교육에 이르기까지 지속적 정기적으로 도입되어야함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식,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3904-3914, 2011.
  2.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3. 김규나,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 김선희, 남희은, 박소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82-29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82
  5. 김영태, "요양시설과 재가시설의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6권, pp.53-76, 2009.
  6. 김윤진,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 김예경,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8. 김정순, 김복규,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동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10.
  9. 김준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 극동사회복지저널, 제4권, pp.49-83, 2008.
  10. 김향수, 김희경, 박연숙,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제31권, 제3호, pp.591-606, 2011.
  11. 김행열, 김용민, "한국 사회복지사의 윤리성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북아논총, p.58, pp.209-232, 2011.
  12. 김현진, 김혜경,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191-214, 2011.
  13. 서경현, 최인,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원, 강인성 및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반응",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5권, 제2호, pp.309-326, 2010.
  14. 서동민 외, 장기요양 종사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및 대책, 건강보험공단연구보고서, 2012.
  15. 선우덕, 임효연, 이서영, 최신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현황과 과제, 서울: 노인연구정보센터, 2012.
  16. 신유근, 조직행위론, 서울: 다산출판사, 1993.
  17. 엄기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방안, 보건복지포럼, 8월호, pp.34-36, 2008.
  18. 유재웅, 최우진, "요양보호사 교육내용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제19권, 제1호, pp.139-165, 2009.
  19. 이순민, 임효연, "전문성 향상의 관점에서 본 미국, 일본, 한국의 사회복지 자격제도의 비교", 사회복지연구, 제42(4)권. pp.103-136, 2011.
  20. 이영선, 최낙관,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4권 제2호, pp.190-210, 2010.
  21. 이철영, 수발인력의 전문 직업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2. 이해영, 케어복지개론, 서울: 양서원, 2003.
  23. 이혜자, 권순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125-144, 2011.
  24. 임우현, 정성일, 채현탁,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 및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47권, pp.263-285, 2009.
  25. 임화영,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고찰", 복지상담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p.65-80, 2012.
  26. 장우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따른 요양보호사 교육 및 관리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3권, pp.263-286, 2009.
  27. 정상양,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한국노년학, 제16권, pp.3-7, 2007.
  28. 정옥분,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4.
  29. 조선희, 박현식,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323-340, 2012.
  30. 조추용,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요양보호사의 전문성확보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16권, pp.9-40, 2007.
  31. 최소연, 지체부자유자의 직무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32.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 노인복지시설 직무매뉴얼, 2009.
  33. 한정원,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향상방안 연구", 여성학연구, 제21권, 제2호, pp.197-235, 2011.
  34. C. P. Alderfer, Existence, Relatedness, Growth, Free Press, 1972.
  35. R. L. Barker, The Social Work Dictionary, NASW Press, 1995.
  36. E. Greenwood, "Attributes of a profession, Social Work," Vol.2, No.3, pp.45-55, 1957.
  37. H. Gardner, 체인징 마인드(Changing mind), (이현우 역), 서울: 재인, 2005.
  38.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Dissatisfaction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ed. M.D. Dunnette Rand Mcnall, 1976.
  39.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e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N. Y. Wiley, 1983.

Cited by

  1. Recognition of Skin Infection and Infection Management Practice on Caregivers in Geriatric Hospital vol.14, pp.1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08
  2.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vol.14, pp.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257
  3.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Social Welfare Workers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local child care center- vol.14,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