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간요소

검색결과 1,525건 처리시간 0.031초

Study on the Educational Plan to Enhance Intercultural Abilities Using the Oral Folktales of Immigrants who Mov ed to Korea (이주민 구술 설화를 활용한 상호문화능력 신장의 교육 방안연구)

  • Kim, Jeong-Eun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 /
    • 제38호
    • /
    • pp.201-238
    • /
    • 2018
  • As a way of enhancing the intercultural ability needed for diverse cultural eras,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on" of the Italian education scholar Maddalena De Carlo in order to determine the "diverse values" created by the "symbolic representation" based on the folktales narrated by immigrants living in Korea. Through this, it specifically presents educational elements and contents that can raise relative sensitivity. The authors of this paper have connected, empathized, and communicated with people of various cultures in order to go beyond Carlo's discussion. The paper discusses the expansion of cultural sensitivity as an element of education through narrative topics using the folktales of immigrant narrators in Korea. It also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a desire for a homogeneous union within an intercultural society and thus formulates educational contents for creating a relationship with heterogeneous ideas through the elimination of communication barriers through heterogeneity and a consideration of the surface and the back. This is systemized in six steps. Step 1: Listening to oral folktales of immigrants, Step 2: Finding heterogeneous motifs imprinted in the immigrants' memories, Step 3: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opposing qualities symbolized by heterogeneous motifs, Step 4: Creating narrative topics containing the key motifs, Step 5: Generating the value of symbolic representation as a narrative topic, and Step 6: Expanding the value of life into a cultural symbol. In Chapter 3, this study focuses on educational contents using immigrants' folktales by applying these six steps. The class contents include the recognition of the limitations of desire for a homogeneous union within an intercultural society and the consideration of how to create a relationship with heterogeneous ideas through the elimination of communication barriers through heterogeneity and consideration of the surface and the back. This paper then compares the Indonesian folktale, The Inverted Ship Mountain and the Mom's Mountain, with the world-famous Oedipus myth, to determine what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se heterogeneous motifs is. In Step 6, when the symbolic system is culturally extended, the incestuous desire that appears in the "inverted ship" is interpreted as a fixation that was created when the character sought to unite with homogenous idea. The Cambodian folktale, The Girl and the Tiger, is a story that is reminiscent of the Korean folktale, The Old Man with a Lump. Through the motif in "Tiger," this paper generates a narrative topic that will enhance the students' intercultural abilities by culturally expanding their skills in how to relate with a heterogeneous being that is usually represented as an animal. The Vietnamese folktale, The Coconut Bowl, similar to the Korean folktale, GureongDeongDeong SinSeonBi, is a story that draws a variety of considerations about the surface and theback, and it shows readers how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a heterogeneous idea and how to develop and grow with such a relationship. Thus, if a narrative topic is generated and readers are able to empathize using an opposing feature formed by the core motif of the folktale, it becomes possible, through immigrant folklore, to construct a possibility of a new life through the formation of a relationship with an unfamiliar and heterogeneous culture.

Kant on 'the Highest Good of a Possible World' (칸트에서 '가능한 세계의 최고선')

  • PAEK, CHONG-HYO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제96호
    • /
    • pp.39-70
    • /
    • 2012
  • In order to locate Kant's concept of the highest good within ethics and the theory of moral religion, it needs to be approached with some qualifications: there are two rough ways to be suggested. The first way is to focus on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that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happiness in proportion to a rational being's virtue or to his/her worthiness to be happy. But the happiness determined in the sense outlined above would be (increasingly or decreasingly) changeable according to each one's individual morality-this is what is meant by each one's 'worthiness' here-, and would not be seen as the perfect one. It might even be said that this kind of happiness is possible in a sensible world generally taken, if the existence of God thought of as harmonizing natural phenomena and the moral order is successfully presupposed. The other wa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literally: in this view, the highest good shows that a rational being's character is completely appropriate to the moral law and for him/her, its corresponding idea, i.e., the perfect happiness, is considered with full justification. But the highest good in the sense sketched above-along with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is expected to be realized only in an intelligible world generally taken. This means that it should be appraised as an ideal of the highest good that includes the so-called 'physical happiness' specified in terms of the first way as its element. In this regard, it is seen to be somewhat restricted. Between the two concepts of the highest good already touched upon, the highest good of the possible world would be the one established in terms of the first way. In other words, it is not the highest good in an intelligible world, but the highest good in this world. Of course, it is true that we cannot help but assume the existence of God-a being as higher, as moral, as most holy, and as omnipotent-in order to explain the highest good in this world (namely, in order to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the combination of the happiness and the worthiness). For as long as both morally good acts and the happiness are considered to happen in a natural world, the cause of the nature (i.e., the existence of its creator), that is, God, must be able to be presupposed. In this vein, Kant interprets that most people view that the key of the Bible is to show that the best world which is characterized by an intelligible or heavenly kingdom is also actually feasible in this world. The wish of the people who have the morally good character is that God's kingdom comes and his will is properly achieved in this world. But we cannot know what God really does in order to realize his world in this world. Nonetheless, we are fully aware of what we should do in order to make ourselves a member of his world. It is specified like this: we should do our ethical duties and further proceed to establish an ethical community. Viewed this manner, it is concluded that an ethical community is not a merely ideal thing like the kingdom of the ends, but a human apparatus or institution that exists in this world.

A Study on the Method of Christian Youth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관계성 향상을 위한 기독 청년교육 방안 연구)

  • Park, Eunhye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제71권
    • /
    • pp.121-154
    • /
    • 2022
  •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in term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university education, faith, and spirituality in order to form and improve relationships, which are major developmental tasks of youth, and to suggest Christian youth education by the elements of education. Relationships are formed when you are connected to another person and community, feel interested in each other, feel a sense of bond and belonging, and maintain a stable and satisfactory relationship. This is not skill or technology, but is related to life attitude and value, and continuous learning and training are required. Various developmental tasks in youth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relationships. Relationships positively affect the lives of young people, such as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in the early stages of youth, adaptation to college life, personality, and career decision. Relationships are also very important in faith because human existence and faith are defined and formed through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oth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iritual development for the meaning of life and inner growth. In the aspects of learner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t was suggested to understand learners with desire for relationships, the generation they live in,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 occurs. In terms of teachers, teachers have to try to change their roles such as facilitators, guides, managers, and mentors. For the educational purpose and content, it was suggested that relationships should be the ultimate purpose and the educational content for this was presented in three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and each main contents to be dealt with.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 it was proposed to select a learner-centered group learning method that induces communi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to cause interaction by considering other element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relationship i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imensions. In the aspects of educational results and evaluation, it was proposed to confirm that what was considered during the educational planning stage was effectively carried out in actual education, to evaluate various evaluation methods, various aspects, and to summarize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OECMs) for Natural Heritage - Focusing on the Old Big Trees of Natural Monument and Dangsan Ritual - (자연유산의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 등재기준 적용 연구 - 천연기념물 노거수와 당산제를 중심으로 -)

  • Jun, Da-Seul;Shin, Hyun-S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제40권3호
    • /
    • pp.1-9
    • /
    • 2022
  • This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recognition determinants by applying the OECMs criteria, focusing on old big trees, plant of natural monument that are natural heritage under the national heritage system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rotected areas designated and managed by government agencies according to each protection purpos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new conservation measures, OECMs, to fulfill the Biodiversity strategy for 2030 while the land area is already saturated. Second, the OECMs are geographically defined areas(CBD, 2018), not currently recognized as a protected areas, governed and managed in a way that achieves positived sustained and effective contribution to in situ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Since the selection of term, the scope of application criteria, and the context of interpretation are inevitably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legislate and establish related laws of the OECMs suitable for each country's situation.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OECMs criteria for plant of natural monument, the final 58 potential resources were recognized. Important elements among the OECMs criteria are that buffer zones should be spaced apart from designated zones to secure a certain area, and that economic activities through commercial production should not occur and meet biodiversity standards. Among the potential candidates, 23 areas were analyzed to be geographically isolated and independent, such as Forest of Oriental Arborvitae in Do-dong, Daegu, and forest types such as Carstor Aralia of Gungchon-ri, Samcheok and Forest of Common Camellias in Maryang-ri, Seoche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application of OECMs criteria for plant of natural monu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ctions as a traditional uses were specialized among the values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and cultural and spiritual values were inherited through Korea's unique culture of old big trees and Dangsan ritual. In terms of biodiversity criteria,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factor in connecting human and natural ecosystem networks without the discovery of new species.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Products: A Cross-Cultural Study in Asia and Europe (상표자산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 아시아와 유럽의 의류시장을 중심으로 -)

  • Kim, Kyung-Hoon;Ko, Eun-Ju;Graham, Hooley;Lee, Nick;Lee, Dong-Hae;Jung, Hong-Seob;Jeon, Byung-Joo;Moon, Hak-I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제18권4호
    • /
    • pp.245-276
    • /
    • 2008
  • Brand equ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business practice as well as in academic research. Successful brands can allow marketers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Lassar et al.,1995), including the opportunity for successful extensions, resilience against competitors' promotional pressures, and the ability to create barriers to competitive entry (Farquhar, 1989). Branding plays a special role in service firms because strong brands increase trust in intangible products (Berry, 2000), enabling customers to better visualize and understand them. They reduce customers' perceived monetary, social, and safety risks in buying services, which are obstacles to evaluating a service correctly before purchase. Also, a high level of brand equity increases consumer satisfaction, repurchasing intent, and degree of loyalty. Brand equity can be considered as a mixture that includes both financial assets and relationships. Actually, brand equity can be viewed as the value added to the product (Keller, 1993), or the perceived value of the product in consumers' minds. Mahajan et al. (1990) claim that customer-based brand equity can be measured by the level of consumers' perceptions. Several researchers discuss brand equity based on two dimensions: consumer perception and consumer behavior. Aaker (1991) suggests measuring brand equity through price premium, loyalty,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s. Viewing brand equity as the consumer's behavior toward a brand, Keller (1993) proposes similar dimensions: brand awareness and brand knowledge. Thus, past studies tend to identify brand equity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nsisted of brand loyalty, brand awareness, brand knowledge, customer satisfaction, perceived equity, brand associations, and other proprietary assets (Aaker, 1991, 1996; Blackston, 1995; Cobb-Walgren et al., 1995; Na, 1995). Other studies tend to regard brand equity and other brand assets, such as brand knowledge, brand awareness, brand image, brand loyalty, perceived quality, and so on, as independent but related constructs (Keller, 1993; Kirmani and Zeithaml, 1993). Walters(1978) defined information search as, "A psychological or physical action a consumer takes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a product or store." But, each consumer has different methods for informationsearch. There are two methods of information search, internal and external search. Internal search is, "Search of information already saved in the memory of the individual consumer"(Engel, Blackwell, 1982) which is, "memory of a previous purchase experience or information from a previous search."(Beales, Mazis, Salop, and Staelin, 1981). External search is "A completely voluntary decision made in order to obtain new information"(Engel & Blackwell, 1982) which is, "Actions of a consumer to acquire necessary information by such methods as intentionally exposing oneself to advertisements, taking to friends or family or visiting a store."(Beales, Mazis, Salop, and Staelin, 1981). There are many sources for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including advertisement sources such as the internet, radio, television, newspapers and magazines, information supplied by businesses such as sales people, packaging and in-store information, consumer sources such as family, friends and colleagues, and mass media sources such as consumer protection agencies, government agencies and mass media sources. Understanding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is a key factor of a firm to attract and retain customers and improving the firm's prospects for survival and growth, and enhancing shareholder's value. Therefore, marketers should understand consumer as individual and market segment. On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supports the belief that individuals are rational. Individuals think and move through stages when making a purchase decision. This means that rational thinkers have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a consumer buying decision process. This decision process with its different levels of involvement and influencing factors has been widely accepted and is fundamental to the understanding purchase intention represent to what consumers think they will buy. Brand equity is not only companies but also very important asset more than product itself. This paper studies brand equity model and influencing factors including information process such as information searching and information resources in the fashion market in Asia and Europe. Information searching and information resources are influencing brand knowledge that influences consumers purchase decision. Nine research hypotheses are drawn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antecedents of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 and relationships among brand knowledge, brand value,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H1. Information searching influences brand knowledge positively. H2. Information sources influence brand knowledge positively. H3. Brand knowledge influences brand attitude. H4. Brand knowledge influences brand value. H5. Brand attitude influences brand loyalty. H6. Brand attitude influences brand value. H7. Brand loyalty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 H8. Brand value influence purchase intention. H9. There will be the same research model in Asia and Europe. We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 order to test hypothese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model fitting index of the research model in Asia was $X^2$=195.19(p=0.0), NFI=0.90, NNFI=0.87, CFI=0.90, GFI=0.90, RMR=0.083, AGFI=0.85, which means the model fitting of the model is good enough. In Europe, it was $X^2$=133.25(p=0.0), NFI=0.81, NNFI=0.85, CFI=0.89, GFI=0.90, RMR=0.073, AGFI=0.85, which means the model fitting of the model is good enough. From the test results, hypotheses were accepted. All of these hypotheses except one are supported. In Europe, information search is not an antecedent of brand knowledge. This means that sales of global fashion brands like jeans in Europe are not expanding as rapidly as in Asian markets such as China, Japan, and South Korea. Young consumers in European countries are not more brand and fashion conscious than their counter partners in Asia. The results have theoretical, practical meaning and contributions. In the fashion jeans industry, relatively few studies examining the viability of cross-national brand equity has been studied. This study provides insight on building global brand equity and suggests information process elements like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resources are working differently in Asia and Europe for fashion jean market.

  • PDF

Changes of Housing in the FCS Curricular from the 1st to 2009 Revised of Secondary School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주생활 영역 내용 변화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 Heo, YoungSun;Kim, NamEun;Choi, MinJi;Baek, MinKyung;Gwak, SeonJeong;Cho, Jae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제25권1호
    • /
    • pp.95-11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ousing related to characters, objectives, and contents of FCS curricular from the 1st to 2009 revised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The data were downloaded from the NCIC homepage(http://www.ncic.re.kr/2012. 04. 08) from the 1st(1955. 08) to 2009 revised curriculum(2012. 03) of secondary school.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s and objectives of each curriculum, contents of housing was analyzed by units and context elem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eparately. The titles of the subject, the objectives, the instructions, the leaning spheres, weekly hours, grade and gender of candidates, the emphasis of the instruction, etc. have been changed through the curriculum revision. The 6th curriculum was the main period to open to both genders, the $7^{th}$ was the period to combine with technology, the 2007 version was to change the structure of contents of home economics, and the 2009 version switched technology home economics from mandatory to optional in high school. The character of the courses was presented at the 1st curriculum, but it was left out from the $2^{nd}$ to $5^{th}$ curriculum. From the $6^{th}$ curriculum, the characters were separately given to middle and high school. The character of housing area started to appear only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from the $7^{th}$ curriculum. The course objectives were described in all curriculum of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his applies to housing area as well. The course objectives have been modified in order to reflect value changes due to social issues. During each curriculum, contents of housing continued to change in context, course load, and candidates. Reflection of housing trends and social needs were the main causes of the change. 2009 version emphasizes on eco-life and sense of community.

  • PDF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제20권4호통권112호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The Study of Korean-style Leadership (The Great Cause?Oriented and Confidence-Oriented Leadership) (대의와 신뢰 중시의 한국형 리더십 연구)

  • Park, sang ree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제23호
    • /
    • pp.99-128
    • /
    • 2008
  • This research analyzes some Korean historical figures and presents the core values of their leaderships so that we can bring up the theory of leadership which would be compatible with the current circumstances around Korea. Through this work, we expected that we would not only find out typical examples among historical leaders but also reaffirm our identities in our histor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possible to classify some figures in history into several patterns and discover their archetypal qualities. Those qualities were 'transform(實事)', 'challenge(決死)', 'energize(風流)', 'create(創案)', and 'envision(開新)' respectively. Among the qualities, this research concentrated on the quality of 'challenge', exclusively 'death-defying spirit'. This spirit is the one with which historical leaders could sacrifice their lives for their great causes. This research selected twelve figures as incarnations of death-defying spirit, who are Gyebaek(階伯), Ganggamchan(姜邯贊), Euljimundeok(乙支文德), Choeyoung(崔瑩),ChungMongju(鄭夢周), Seongsammun (成三問), Yisunsin(李舜臣), Gwakjaewoo(郭再祐), Choeikhyeon(崔益鉉), Anjunggeun(安重根), Yunbonggil(尹奉吉), Yijun(李儁). Through analyzing their core values and abilities and categorizing some historical cases into four spheres such as a private sphere, relations sphere, a community sphere, and a society sphere, we came to find a certain element in common among those figures. It was that they eventually took the lead by showing the goal and the ideal to their people at all times. Moreover, their goals were always not only obvious but also unwavering. In the second chapter, I described the core value in a private sphere, so called '志靑靑'. It implies that a leader should set his ultimate goal and then try to attain it with an unyielding will. Obvious self-confidence and unfailing self-creed are core values in a private sphere. In the third chapter, I described the core value in a relative sp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and others. It is '守信結義'. It indicates that a leader should win confidence from others by discharging his duties in the relation with others. Confidence is the highest leveled affection to others. Thus, mutual reliance should be based on truthful sincerity and affection toward others. Stubbornness and strictness are needed not to be prompted by pity simultaneously. In the fourth chapter, I described the core value in a community sphere. It is '丹心合力'. For this value, what are required to a leader are both his community spirit and his loyalty to one's community. Moreover, the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 attitude of taking an initiative among others are also required.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great power to conduct the community is so called fine teamwork. What's more, the attitude of the leader can exert a great influence on his community. In the fifth chapter, I described the core value of death defying spirit in the society sphere. This value might be more definite and explicit than other ones described above. A leader should prepare willingly for one's death to fulfill his great duties. 'What to do' is more important for a leader than 'how to do'. That is to say, a leader should always do righteous things. Efficiency is nothing but one of his interests. A leader must be the one who behaves himself always according to righteousness. Unless a leader's behaviors are based on righteousness, it is absolutely impossible that a leader exerts his leadership toward people very efficiently. Thus, it can be said that a true leader is the one not only who is of morality and but also who tries to fulfill his dutie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제20권4호통권112호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Study on the Traditional House Landscape Styles Recorded in 'Jipkyungjaeyoungsi(集景題詠詩, Series of Poems on Gardens Poetry)' ('집경제영시(集景題詠詩)'를 통해 본 전통주택의 조경문화 향유양상)

  • Shin, Sang Sup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제49권3호
    • /
    • pp.32-51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based on the databa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ITKC), the garden plants and their symbolism, and the landscape culture recorded in 'Jipkyungjaeyoungsi(the Series of Poems on Gardens Poetry)' in relevance to traditional houses. First, Jipkyungjaeyoungsi had been continuously written since mid-Goryeo dynasty, when it was first brought in,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mainly enjoyed by the upper class who chose the path of civil servants. 33 pieces of Jaeyoungsi(題詠詩) in 25 books out of a total of 165 books are related to residential gardens. The first person who wrote a poem in relation to this is believed to be Lee GyuBo(1168~1241) in the late Goryeo dynasty. He is believed to be the first person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natural materials and the variation of entertainment in landscape culture with such books as 'Toesikjaepalyoung(退食齋八詠)', 'Gabeunjeungyukyoung(家盆中六詠)'and 'Gapoyukyoung(家圃六詠)'. Second, most of the poems used the names of the guesthouses. Out of the 33 sections, 19(57.5%) used 8 yeong(詠), then it was in the sequence of 4 yeong(詠), 6 yeong, 10 yeong, 14 yeong, 15 yeong, 16 yeong, 36 yeong(詠) and so on. In the poem writing, it appears to break the patterns of Sosangpalkyung(瀟湘八景) type of writings and is differentiated by (1) focusing on the independent title of the scenery, (2) combining the names of the place and landscape, (3) focusing on the name of the landscape. Third, the subtitles were derived from (1) mostly natural landscape focused on nature and garden plants(22 sections, 66.7%), (2) cultural landscape focused on landscape facilities such as guesthouses, ponds and pavilions(3 sections), (3) complex cultural scenery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people in nature(8 sections). Residents enjoy not only their aesthetic preferences and actual view, but the ideation of the scenery. Especially, they display attachment to and preference for vegetables and herbs, which had been neglected. Fourth, the percentage of deciduous tree population(17 species) rated higher(80.9%) compared to the evergreens(4 species). These aspects are similar results with the listed rate in 'Imwonkyungjaeji(林園經濟志)' by Seo YuGu [evergreen 18 species(21.2%) and deciduous trees 67 species(78.8%)] and precedent researches [Byun WooHyuk(1976), Jung DongOh(1977), Lee Sun(2006)]. Fifth, the frequency of the occurrence of garden plants were plum blossoms(14 times), bamboos(14 times), pine trees(11 times), lotus(11 times), chrysanthemum(10 times), willows(5 times), pomegranates(4 times), maple trees(14 times), royal foxglove trees, common crapemyrtle, chestnut trees, peony, plantains, reeds and a cockscombs(2 times). Thus, the frequency were higher with symbolic plants in relations to (1) Confucian norms(pine trees, oriental arbor vitae, plum blossoms, chrysanthemums, bamboos and lotus), (2) living philosophy of sustain-ability(chrysanthemum, willow), (3) the ideology of seclusion and seeking peace of mind(royal foxglove ree, bamboo). Sixth, it was possible to trace plants in the courtyard and outer garden, vegetable and herb garden. Many symbolic plants were introduced in the courtyard, and it became cultural landscape beyond aesthetic taste. In the vegetable and herb garden, vegetables, fruits and medicinal plants are apparently introduced for epigenetic use. The plants that were displayed to be observed and enjoyed were the sweet flag, pomegranate, daphne odora, chrysanthemum, bamboo, lotus and plum blossom. Seventh,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garden culture related to landscaping materials through poetic words such as pavilions, ponds, stream, flower pot, oddly shaped stones, backyard, orchard, herb garden, flower bed, chrysanthemum fence, boating, fishing, passing the glass around, feet bathing, flower blossom, forest of apricot trees, peach blossoms, stroking the pine tree, plum flower blossoming through the snow and frosted chrysanthem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