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직간호사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 백지범;강숙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70-57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언어적, 신체적, 성적 폭력경험을 파악하고, 이러한 폭력경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실시한 2016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의 간호사 11,154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과반수 정도(47.2%)의 간호사가 동료, 환자, 보호자로부터 언어폭력을 경험하였으며, 간호사의 75.3%가 이직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력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보다 2.65배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는 조절 변수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간호사의 폭력 경험 극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여성 간호사의 근무형태 선호도에 따른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hift Work Preferred by Female Nurses)

  • 이현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19-128
    • /
    • 2021
  • 본 연구는 여성 간호사가 선호하는 근무형태에 따른 조직몰입도와 이직의도를 비교하여 여성 간호사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7개 의료기관에서 3교대 근무중인 여성 간호사 465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를 이용하여 χ2 test, two sample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MANCOVA로 분석한 결과 고정근무 선호집단의 연령이 많을수록 조직몰입도가 높았으며, 이직경험이 있는 경우 이직의도가 높았다. 그리고 고정근무 선호집단이 교대근무 선호집단 보다 조직몰입도가 낮았으며 이직의도가 높았다. 고정근무를 희망하는 여성 간호사들의 조직몰입도를 높이고, 이직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근무형태를 개발하여 여성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간호사가 지각하는 도덕적 고뇌와 이직의도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 한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76-284
    • /
    • 2012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한 도덕적 고뇌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일 지역 간호사 281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20일부터 2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가 지각한 도덕적 고뇌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정적 간호 영역을 제외한 부정적 치료, 환자의 관심 무시와 부정적 정서 영역은 모두 이직의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연령이 많고 재직기간이 길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도덕적 고뇌가 높았으며, 특수병동과 내과계 근무 간호사가 산소아과계 간호사보다 도덕적 고뇌를 높이 지각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경감을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 김현정;박다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241-25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병원 근무 간호사 50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가보고 형식으로 2014년도 3월 1일부터 20일까지 수집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PC+ ver. 18.0을 이용하여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직장 내 괴롭힘과 양의 상관이 있었고, 간호근무환경, 감성지능 및 직무만족과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직장 내 괴롭힘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간호근무환경, 감성지능 및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감성지능은 직장 내 괴롭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직무만족은 직장 내 괴롭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 간호근무환경, 감성지능, 직무만족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강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직장 내 괴롭힘을 예방할 수 있는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조직에 적용되어야 한다.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A Cross-sectional Survey)

  • 윤은자;권영미;전미순;안정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4-106
    • /
    • 2016
  • 본 연구는 내부마케팅, 간호 전문직관, 정서적 소진과 개인적 성취감을 이용하여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서울과 충북지역의 2개 대학병원 간호사 27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5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간호사 이직의도의 평균값은 $3.91{\pm}0.53$, 내부마케팅은 $2.58{\pm}0.48$, 간호전문직관은 $3.30{\pm}0.64$, 정서적 소진은 $3.23{\pm}0.64$, 개인적 성취감은 $3.24{\pm}0.41$이었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서적 소진(${\beta}=.28$, p<.001), 내부마케팅(${\beta}=-.22$, p<.001), 간호 전문직관(${\beta}=.19$, p=.010), 근무부서-외래(${\beta}=.22$, p=.021), 직위-책임간호사(${\beta}=-.303$, p=.007), 학력-석사이상(${\beta}=.28$, p=.031)이었다. 이들은 이직의도를 25.1%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서적 소진이므로 정서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중재는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아울러 내부마케팅과 간호전문직관을 증가시키기 위한 활동 또한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구체적인 이직의도 감소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추후 그 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언한다.

간호사의 병원근무환경과 상사와의 신뢰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Reliability with Superiors on Turnover Intention)

  • 김민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57-46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병원근무환경과 상사와의 신뢰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5개의 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122명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근무환경과 이직의도(r=.534, p<.001)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병원근무환경과 상사와의 신뢰도(r=-.232, p=.010) 및 상사와의 신뢰도와 이직의도(r=-.314, p<.001)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병원근무환경(${\beta}=.505$, p<.001), 상사와의 신뢰도(${\beta}=-.229$, p=.003), 직위(${\beta}=-.213$, p=.01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 병원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상사와의 신뢰 형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적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 전문직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 "I" 시를 중심으로- (Nursing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Focused on "I" City)

  • 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95-270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1년 10월부터 2012년 6월까지 "I"시에 위치한 100-400병상 규모의 8개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간호전문직관 점수는 $3.23{\pm}.44$, 평균 직무만족 점수는 $2.81{\pm}.47$점, 평균 이직의도 점수는 $2.70{\pm}.87$점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 중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변수는 연령, 결혼상태, 임상경력, 근무형태, 밤 근무 횟수였고,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직무만족과 양의 상관관계, 간호전문직관 과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수는 직무만족도, 임상경력, 연령이며, 이중 직무만족도(${\beta}$=.533)가 다른 관련요인보다 가장 영향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여전히 직무만족도가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인 것이 확인 되었고, 이로써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이해하고, 그 수를 줄이는데 있어 중소병원 간호사에 대한 직무 만족도에 관해 계속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Medical Service Nurses)

  • 정진영;박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281-290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18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SPSS WIN Version 22.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 이직의도의 정도는 각각 평균 3.66점, 3.52점, 2.62점 및 3.82점으로 나타났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감정노동과는 양의 상관관계, 회복탄력성 및 간호근무환경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은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 성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 성별을 고려하여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 Study on Relations among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t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and General Wards

  • Young-ok Yoon;Sun-Yeun 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181-190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93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92명이다. 연구결과 집단 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감정노동, 이직의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감정노동,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을 줄일 수 있는 적정인력 배치, 간호의 명확한 업무경계, 적절한 보상 등을 통해 직무만족을 향상시킴으로써 숙련된 간호인력의 이직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 송민정;최소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83-89
    • /
    • 2017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배태성 및 이직의도 정도를 확인하고 감성지능과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2015년 7월1일부터 8월 1일까지 700병상 이상의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SPSS 18.0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감성지능은 3.51점(범위 1~5점), 직무배태성은 3.09점(범위 1~5점), 이직의도는 3.61점(범위 1~5점)이었다. 감성지능과 직무배태성은 이직의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감성지능과 직무배태성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배태성이었으며(${\beta}$=-.298, p<.001) 설명력은 21.0%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배태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