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민여성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3초

결혼이민자 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systemic Factors that Effect the Married Immigrant Women's Employment)

  • 이은희;이은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6-72
    • /
    • 2012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하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취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취업을 위한 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울산광역시 지역에 거주하는 229명의 결혼이민자 여성들이며,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 및 백분율을 그리고 취업여부에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민자여성들의 취업 여부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운데서는 남편의 학력과 국적취득여부가 그리고 개인체계요인 가운데서는 한국어실력과 직업훈련 경험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체계요인 가운데서는 시부모의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결혼 이민자 여성들의 취업을 원조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연구: 인천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Experienc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Focused o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Incheon)

  • 박길순;이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95-605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에 관한 적응과정과 스트레스 경험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에 대처하는 삶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참여자는 인천시 ◯◯구에 소재하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생활 5년 이상된 여성 결혼이민자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Braun & Clarke의 주제 분석기법 6단계를 활용하여 중점주제 3개, 하위주제 1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생활에서 경험한 문화차이(일상생활문화, 전통성, 가족관계)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험한 문화적응과정(어려움과 두려움-문화차이 이해-극복노력)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험을 통한 문화적응이란 모국과 한국문화에서의 생활방식 차이를 알고 한국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려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 실천함으로써 한국의 생활방식이 자연스럽고 익숙해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여성 결혼이민자의 성공적인 문화적응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간호 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 and Attitude toward Migrant Wives by Nursing Students)

  • 최성남;정은영;공정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1권1호
    • /
    • pp.27-40
    • /
    • 2016
  • 본 연구는 미래 결혼이민 여성의 간호를 담당할 간호 대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들의 태도를 확인하고,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병원에 임상실습을 한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라남도, 경기도,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간호 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은 13점 만점에 8.10점(${\pm}2.01$)으로 이를 100점으로 환산하면 62.4점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전체 문항 평균이 5점 만점에 2.45점(${\pm}0.46$)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 편견이 가장 낮았으며, 관심도, 신뢰도, 영향력, 배타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에 대한 지식은 연령이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연령, 거주 지역, 해외여행 경험 유무와 해외 체류경험 정도가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 신뢰성, 관심도, 수용, 영향력은 정적 상관관계, 배타감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 대학생의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어 능력을 함양하고 지속적으로 다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안을 제언함으로써 실질적이며 효과적인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만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연구대상 및 지역을 확대한 반복 연구 진행을 제언한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응을 매개로 -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Mental Health in a Sampl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Mediating Effect of Social Adaptation -)

  • 배경희;서연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183-202
    • /
    • 2011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어사용능력과 거주기간을 사회적응 매개변수로 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이다. 서울과 인천,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총 247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분석방법은 빈도 및 기술분석과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응은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활동은 사회적응을 높이고 이를 통해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근로활동지원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men Immigrants)

  • 박지영;이창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405-412
    • /
    • 2013
  • 본 논문은 전국의 여성결혼이민자 592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Baron과 Kenny의 매개 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는 접근대처를 회피대처보다 많이 사용하며, 이들의 긍정적 복지와 희망수준은 중간을 상회하였으나 부정적 복지는 중간보다 낮았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접근대처는 희망과 긍정적 복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부정적 복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회피대처는 희망과 긍정적 복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부정적 복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접근대처와 긍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나 회피대처와 긍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접근대처와 부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Quality of Life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 김민수;이현지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225-250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자본과 삶의 질에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권내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최종 26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최종 연구모형을 채택하였고, 사회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임파워먼트, 삶의 질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고,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는 부분매개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가 향상되고, 향상된 임파워먼트는 최종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자본을 높이고, 임파워먼트를 강화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안하고 있다.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적응 특성 (Trait of Local Community Adaptation of Migrant Wome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07-3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 4월부터 5개월간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중 Colaizzi방법론을 채택하였는데, 심층면접을 통하여 녹취한 진술을 텍스트화 한 후, 유의미한 진술내용을 코딩하여, 주제(themes), 주제묶음(theme cluster)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역량의 강화', '문화적응', '제한적 수혜자 되기', '인적네트워크 없음', '미래를 낙관할 수 없음' '지역사회 안착을 염원함', '한국을 떠날 수 있음'으로 총 7개의 주제묶음과 17개의 주제, 47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 정기선;한지은
    • 한국인구학
    • /
    • 제32권2호
    • /
    • pp.87-114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인과 결혼하여 국내에 살고 있는 남녀 국제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정신건강(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과정을 스트레스유발 생애사건으로 간주함에 따라 이 과정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원)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810명과 남성결혼이민자 2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와 남성결혼이민자 모두가 결혼이주를 하면서 기대했던 생활수준 향상의 욕구가 충족될수록, 경제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록, 부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또한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들일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결혼이민자는 특히 가족생활적응과 관련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에 비해, 남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적응수준은 직장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재독한인1세대 여성의 가치관과 정체성의 변화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A Biographical Study on Changeprocess of Values and Identitie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German Females in Germany)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3호
    • /
    • pp.323-35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한인1세대 여성들의 이민생활에 나타난 가치관과 정체성의 변화과정을 초국가적 관점에서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Schutze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10개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는 그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분석과 Mayring의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민 초기의 가치관은 집단주의 중심적 혼성성을 보였는데, 이민생활과정에서 개인주의 중심적 혼성가치관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포착하였다. 한편, 이민초기의 정체성은 단일지역적 정체성을 보였는데, 이민생활과정에서 이중지역적, 이중국가적 혼성정체성으로 초지역적, 초국가적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이민생활에 나타난 가치관과 정체성의 변화과정에 주목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이용 결정 연구 : 개인차와 환경의 조절효과 중심 (Moderating Factors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eds and Social Service Utilizat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 한지은;이계승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133-161
    • /
    • 2018
  • 여성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을 위해 많은 예산과 자원이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가 실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개인에게 전달되어지는지에 대한 보다 기초적 확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및 한국생활지원에 대한 욕구를 지닌 여성결혼이민자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조절 요인을 규명하고, 향후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2015년에 실시한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구사능력이 좋은 사람은 한국생활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한국어 구사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이민자는 욕구의 유무와 관계없이 센터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배우자와의 관계에 만족할수록 센터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고, 반면 한국인 배우자의 가부장적 태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