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 정기선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
  • 한지은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9.04.13
  • Accepted : 2009.07.27
  • Published : 2009.08.25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과 결혼하여 국내에 살고 있는 남녀 국제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정신건강(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과정을 스트레스유발 생애사건으로 간주함에 따라 이 과정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원)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810명과 남성결혼이민자 2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와 남성결혼이민자 모두가 결혼이주를 하면서 기대했던 생활수준 향상의 욕구가 충족될수록, 경제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록, 부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또한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들일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결혼이민자는 특히 가족생활적응과 관련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에 비해, 남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적응수준은 직장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자 . 김갑숙 (1999) '부부의 심리적 복지와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대한 가정학회지' 37(6): 59-76
  2. 곽금주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2008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 표대회 논문집'
  3. 김광일.김재환.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4. 김민정 (2008) '국제결혼가족과 자녀의 성장: '여러 종류'의 한국인이 가족으로 살아가기.' '한국문화인류학' 41(1): 51-89
  5. 김병석 (2000) '호주 이민의 배경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NSW거주 한인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연수 (2007) '남편의 아내모국문화이해노력과 심리사회적 지지가 여성결혼이 민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007년 추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7. 김오남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8(3): 63-106
  8. 김이선.장혜경.김혜영.양명희.최은영 (2007) '결혼이민자가족 지원서비스 효율화 방안연구'. 여성가족부
  9. 김이선 (2008)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과 소통경험을 통해 본 정신건강의 역동성.' '2008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 김태현.김동배.김미혜.이영진.김예순 (1999) '노년기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I).' '한국노년학' 19(1): 61-81
  11. 민경자 (2003) '충남거주 외국인 주부의 정책지원 방안 연구'. 충남여성정책개발원
  12.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 (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13. 석현호.이정환.이혜경.정기선 (2007) '해외 한국기업과 현지인 노동자: 중국 및 동남아지역'. 서울: 집문당
  14. 석현호.정기선.장준오 (1998) '외국인 노동자의 노사관계와 사회적 적응'.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9집: 집문당
  15.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16. 설동훈.이혜경.조성남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17. 설동훈.윤홍식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출신국가와 거주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4(2): 109-133
  18. 안효자 (2008) '일개시 농어촌 다문화가족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4): 383-391
  19. 오성희.박기환 (2007) '이민자들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계 호주이민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55-69
  20. 이순형.문무경.최연실.이숙정.정하나.우현경 (2006) '농촌 여성결혼이민자 정착지원방안'. 농림부
  21. 이영주 (2008)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적응요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3(1): 79-101
  22. 이승은.서현 (2008)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들의 교육실태 및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9(4): 147-166
  23. 왕한석.한건수.양명희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및 문화적응 실태 연구.' 국립국어원
  24. 정기선.김영혜.박경은.이은아.박지혜.이승애.이지혜 (2007) '경기도내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시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5. 정기선 (1994) '해외일시취업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28(가을호):115-141
  26. 정기선 (1999) '국내 외국인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적응.' '한국사회심리학회지: 산업과 조직' 12(2): 61-78
  27. 정기선 (2008)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특성과 이민생활적응: 출신국가별 차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 69-102. 호안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8. 조영달.윤희원.박상철.최영인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9. 차승은.김두섭 (2008) '혼인이주 여성의 출산 및 경제활동과 우울증: 일본, 중국, 베트남 아내의 비교' '한국인구학' 31(3): 131-157
  30. 통계청 (2007) '2006년 혼인통계 결과'
  31. 통계청 (2009) '2009년 혼인통계 결과'
  32. 한건수 (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33.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1): 5-68 https://doi.org/10.1111/j.1464-0597.1997.tb01087.x
  34. Berry, J. W., U.C. Kim, T. Minde, and D. Mok (1987)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1(3): 491-511 https://doi.org/10.2307/2546607
  35. Birman, Dina and Nellie Tran (2008) 'Psychological Distress and Adjustment of Vietnamese Refugees in the United States: Association with Pre- and Postmigration Factors.'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8(1): 109-120 https://doi.org/10.1037/0002-9432.78.1.109
  36. Bhugra, D. (2003) 'Migration and Depression.'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8(Suppl. 418): 67-72 https://doi.org/10.1034/j.1600-0447.108.s418.14.x
  37. Campbell, A., P.E. Converse, and W. L. Rodgers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38. Derogatis, L.R. (1977) SCL-90: Administration, Scoring and Procedures Manual-I. Baltimore: Clinical Psychometric Research Unit. Johns Hopkins University
  39. Myers, D.G. and E. Diener (1995) 'Who is happy?'Psychological Sciences 6: 10-19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
  40. Furnham, A. and S. Bochner (1986) Culture Shock. London: Routledge
  41. Han, G.S. (1999) 'Immigrant Life and Work Involvement: Korean Men in Australia.'Journal of Intercultural Studies 20(1): 5-29 https://doi.org/10.1080/07256868.1999.9963468
  42. Hurh, W.M. and K.C. Kim (1990) 'Adaptation Stages and Mental Health of Korean Male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4(3): 456-479 https://doi.org/10.2307/2546369
  43. Jasinskaja-Lahti, Inga, Karmela Liebkind, Magdalena Jaakkola, and Anni Reuter (2006) 'Perceived Discrimination, Social Support Network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ree Immigrant Groups.'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7(3): 292-311
  44. Jon, S.H. (1997) 'Conseq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Adult Korean Immigrants.'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45. Leavey, Gerard, Linda Rozmovits, Louise Ryan, and Michael King (2007) 'Explanations of Depression among Irish Migrants in Britain.'Social Science & Medicine 65: 231-244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7.03.022
  46. Min, J.W., A. Moon, and J.E. Lubben (2005) 'Determinants of Psychological Distress over Time among Older Korean Immigrants and Non-Hispanic White Elders: Evidence from a Two-wave Panel Study.'Aging & Mental Health 9(3): 210-222 https://doi.org/10.1080/13607860500090011
  47. Rack, P. (1982) Race Culture and Mental disorder. London: Tavistock
  48. Redfield, R., R. Linton, and M.J. Herskovits (1936) ‘Memorandum for the Study of Acculturation.'American Anthropologist, 38(1):149-152 https://doi.org/10.1525/aa.1936.38.1.02a00330
  49. Zolobina, A., N. Basabe, D. Paez, and A. Fumham (2006) ‘Sociocultural Adjustment of Immigrants : Universal and Group-specific ㅖredi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9: 317-337 https://doi.org/10.1016/j.ijintrel.2005.05.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