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판매원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4초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 판매원의 직무능력이 판매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김혜정;최선형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48
    • /
    • 2001
  • 고객의 가치를 창조해나가기 위해 고객을 중시하 는 시장지향적인 기업문화가 확산되며, 이와 함께 판 매현장 최일선에서 고객을 직접 응대하며 기업의 시 장지향성을 실현하고 고객을 관리하는 패션판매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장지향 적인 기업문화와 판매원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본 연구는 의류업체의 시장 지향성의 유형을 밝히고, 이러한 시장지향적 노력이 판매원의 능력과 함께 의류업체의 판매원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규명을 통해 궁극적으 로 기업의 성과에 기여하는 판매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지향성의 유형과 판매원의 능력 유형을 밝혀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적 기업문화 실현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적인 조사연구방법이 사용 되었고, 연구대상은 서울과 분당에 위치한 L백화점의 여성복 의류매장에 근무하고 있는 삽마스터 60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고 의류 업체에 맞게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최종 분석된 설문지는 547부이다. 자료분석은 SPSS pc + 8.0올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요인분석, 중다회 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수거된 질문지를 통계처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을 요인분석한 결과 '시장정보의 획득'시장정보의 확산', '시장정보에 대 한 반응'의 세 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시장정보를 획득하는 활동에는 매장의 소비자조사. POS시스템 의 활용. 삽마스터 회의에의 관심, 경쟁 브랜드 조사 그리고 판매사원을 통한 고객의 반응 조사 등의 내 용이 포함된다. 시장정보를 확산시키고자하는 활동 에는 매장에서 본사로 상황을 보고하고, 고껴의 시정 요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 판매원이 제시하는 소 비자동향의 반영, 그리고 삽마스터 회의 등씩 내용이 포함되며, 시장정보에 대한 반응은 풍부한 물량공급 과 히트상품의 지속적인 공급을 활동 내용으로 한다' 둘째,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은 판매원의 만족도 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의류업체가 시장정 보 수집에 적극적이고, 매장과 긴밀한 정보교류를 하 며, 수집된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상품개발이나 공급 등의 노력을 보일 때 판매원이 회사에 대해 강한 신 뢰감을 느껴 만족감을 느끼게 되고 이것이 바로 성 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판매원의 회사전략 인지능력, 의류제조과정 인지능력. 고객서버스 능력, 자율적인 목표설정 능력. 고정고객관리능력이 클수록 직무자체와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판매원의 직무한력은 판 매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는 의류업체에서 능력 있는 판매원을 육성하거나 영 입하는데 힘써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 PDF

미국의류 점포내에서의 고객서비스에 대한 한국소비자들의 지각;판매규정과 고객기대에 따른 고객 만족도 및 의류점포 서비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Korean Customers' Perceptions of Service in U. S, Apparel Stores : Store Polices and Customer Expectations on Satisfaction and Retail Store Service)

  • 이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170-1181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의류점포의 판매규정과 고객의 점포에 대한 기대가 판매원과 소매점에 대한 만족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먼저 시각적으로 분위기가 다른 두 점포에 따른 고객의 서비스에 대한 기대를 측정하기 위해 슬라이드를 보여주고 의류업체의 판매규정에 따른 의류에 관련된 문제상황을 설명해주는 시나리오(판매원 노력에 의한 문제 해결 또는 소비자 노력에 의한 문제해결)를 읽게 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그 결과 업체의 판매규정이 판매원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 의류점포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의류매장에서 판매자의 감성 및 사회 네트워크가 신뢰와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eller's Emotional Index and Social Network on Sales Performance in Clothing Shop)

  • 임병학;권홍철;홍한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88-398
    • /
    • 2015
  • 본 연구는 감성지능이론, 사회적 관계이론에 기반을 두고, 의류매장에서 판매자의 감성지능, 사회 네트워크, 그리고 고객에 대한 신뢰가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의류매장에서 판매원의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고객에 대한 지식기반인 인지적 신뢰와 감정기반인 감성적 신뢰가 높아져, 고객에 대한 인지적 신뢰는 판매원의 영업성과를 향상시키고 있지만, 고객에 대한 감성적 신뢰는 영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판매원의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판매원과 고객 간 강한 사회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류매장의 판매원과 고객간 사회 네트워크는 인지적 신뢰와 감성적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지만, 인지적 신뢰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감성적 신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의류 영업매장 관리자에게 필요한 매장 판매원의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각종 교육 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백화점 판매원의 고객지향성과 판매원 교육이 판매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구지역 백화점 의류 판매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ustomer Orientation and Sales Training on Salespeople Performance - Focused on Apparel Salespeople at Department Stores in Daegu -)

  • 박광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14-320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stomer orientation on salespeople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sales training on customer orientation and salespeople performance. Data were obtained from 297 apparel salespeople working at 6 department stores in Daegu,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es. The unanticipated result was found that the customer orientation of salespeople did not influence their performance. Though there was found the significance of the anticipated results that sales training affected customer orientation and salespeople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not strong.

소비자가 지각하는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 : 측정도구 개발 및 관련변인 (Consumers'′ Evaluation toward Retail Salespeople Attributes :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nd Some Related Variables)

  • 진병호;홍병숙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4권3호
    • /
    • pp.65-86
    • /
    • 2000
  • 관계마케팅 파라다임에서 판매원은 단순히 판매뿐 아니라 고객에게 가치를 창조해 주고 장기적인 관계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판매원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매상황에서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을 파악하고, 이의 측정도구를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개발하고, 그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아울러 백화점 의류판매원 속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변인으로 소비자 지식과 제품관여 및 인구통계적 특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속성차원은 개별면접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백화점 고객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은 서비스 마인드, 판매노력, 수수한 인상, 판매유도기술 및 제품지식의 5차원으로 밝혀졌다. 백화점 고객은 의류판매원의 서비스 마인드를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판매노력, 제품지식, 수수한 인상, 판매유도기술의 순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지식, 제품관여 및 인구통계적 변인은 소비자의 의류판매원 속성 지각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학문적, 경영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과 판매원의 직무능력이 판매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ket Orientation of Apparel Firms and Salesperson's Job performance on the Job Satisfaction)

  • 김혜정;최선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market orientation of apparel firm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rket orientation, and salesperson's job performance on the salesperson's job satisfaction. Data were obtained from 547 shop-masters working at L' Department Stores in Seoul and Bundang.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nbach'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rket orientation of apparel firms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information generation,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the responsiveness to market information. (2) Market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lespeople's job satisfaction. (3) salespeople's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lespeople's job satisfaction.

백화점 판매원의 고객지향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판매원관점 대 고객관점 (The Effect of Customer Orientation of Department Store Salespeople on Customer Satisfaction: Salespeople versus Customer Perspectives)

  • 김혜원;박경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70-1278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perspectives of salespeople and of customers on the perception of salespeople's customer orient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ustomer orient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 turn on store revisit intention. Data were obtained from the two groups of department store salespeople and their customers. A total of 300 pair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24 pair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alespeople's perception of the customer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ustomer's perception. The customer orientation affected the customer satisfaction with salesperson and with store while the sales orientation did not.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turn, affected the store revisit intention, and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with store was higher than that with salesperson.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customers and salespeople in such effects was observed. Generally the effects had higher predictabilities for the customers.

백화점에 종사하는 샵마스터와 판매원의 현황과 역할분석 (A Study on Shop Masters and Sales Persons Working in Department Stores)

  • 박혜선;임진범;김용균;박정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45-152
    • /
    • 1997
  • 백화점에서 의복을 판매하고 있는 샵마스터와 판매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역할의 차이, 직업만족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샵마스터가 판매원보다 연령, 판매경력, 그리고 월수입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상의 차이점에서는 전문적인 역할 분담은 없고, 샵마스터가 매장 디스플레이, 의류교체 제안 및 의류주문, 전반적인 매장관리의 역할을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대한 보람과 긍지 면에서는 샵마스터가 판매원보다 높았으며,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 PDF

의류 판매원의 감정 노동에 관한 질적 연구 -패스트 패션 판매원을 중심으로-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of Fashion Sales Personnel -Focused on Fast Fashion Sales Personnel-)

  • 이승희;김지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34-548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otional labor of fast fashion sales personnel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10 sales personnel (managers, coordinators, head cashiers, and sales associates) who experienced fast fashion brands from July to October in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at fast fashion brands do have specific feeling rules and display behavior. Even though the sales personnel spend an extremely short time (about 1 minute) to serve customers, most of them experience exhaustion, fatigue, burnout and self-alienation because of emotional dissonance. Sales personnel do deep-acting and surface acting simultaneously and interviewees who have longer and more sales experience express less emotional dissonance. To reduce the negative results of emotional labor, the company plays an important role through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deep-acting could be recommended for a beginner until they are comfortable with s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elements of emotional labor in a fast fashion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store operation and sales personnel training.

고객의 관여도 수준 및 의류판매원과의 성격 유사성이 판매효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ale Effect at the Similar of the Personality between the Level of Customer's Involvement and Apparel Salesperson)

  • 홍병숙;박성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3_4호
    • /
    • pp.576-58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nsequences of the sale effect derived from similar type of personality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apparel salesperson. For the purpose of the verifications, random survey is made to 225 people over 20 years in age among the residence in the district of Seoul and using SPSS program, the reliability, frequency and crosstab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 In the fashion apparels of higher level of involvement, lower assertiveness but carefulness and analytic attitude of the salesperson is preferred rather than the customer's personality. 2) Difference are shown of the consequence of the sale effect by the corresponding type of the personality,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involvement. 3) As for the level of the influence of the sale effect by the concordance of personality type depending on profession, student group are more conscious rather than the professional group in the aspect of concordance of personality type with salespe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