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료

Search Result 1,76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전주지역 중학생의 음료 섭취 실태와 식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 송문자;안은미;손희숙;김숙배;차연수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63-1063
    • /
    • 2003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음료기호와 빈도 등에 따른 음료 섭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주시에 재학하고 있는 중학생으로서 남학생 303명, 여학생 276명을 조사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음료섭취의 빈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물은 하루 평균 8.55회 섭취하였으며, 우유 및 요구르트 3.01회, 스포츠 음료는 2.13회, 탄산음료는 1.93회, 과일 및 야채 쥬스는 일주일에 1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탄산음료 및 스포츠음료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과 우유 및 쥬스와 전통음료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생들은 식사시 주로 물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우유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실태에 따른 음료의 섭취는 규칙적인 운동이나 3시간 이상 운동 시 1시간 이하 운동시보다 탄산음료 또는 스포츠음료 및 우유와 요구르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를 마시는 때는 주로 운동시였고 그 다음으로 쉬는 시간에 스낵과 함께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잘못된 음료섭취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차원에서의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한국의 전통 - 전통 음료의 세계화

  • Kim, Jeong-Hun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2 no.2
    • /
    • pp.34-37
    • /
    • 2009
  • 한식의 세계화와 함께 꾸준히 관심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전통 음료의 세계화’이다. 전통 음료의 세계화는 우리 고유의 음료를 한식과 함께 세계에 알림과 동시에, 세계 음료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탄산 및 과즙 음료 시장에 한국의 전통 음료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 PDF

Yearly Trend of Sugar-Sweetened Beverage(SSB)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by SSB Intake Level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중학생의 가당음료 섭취량 변화 추이와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상태 평가: 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 Kim, Sun Hyo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3 no.1
    • /
    • pp.63-79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yearly trend of sugar-sweetened beverage(SSB) intake and compared nutritional status by SSB intake level in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2~14 years(n=2,543) using the data from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SB included carbonated drinks, sports drinks, and caffeinated drinks contained added sugar.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SSB intake level obtained from 24-hour recall method: SSB 1(SSB intake 0 g/d), SSB 2(0 g/d < SSB intake < 50th percentile) and SSB 3(SSB intake ≥ 50th percentile). Result of daily intake of SSB was 76.1±6.2 g/d for boys and 59.5±4.7 g/d for girls and i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or boys(p-trend 0.0004) and girls(p-trend 0.0038) by year. The most intakes were carbonated drinks followed by fruit juices and sports drinks for boys and girls. Percentage of daily intake compared to the dietary reference was increased for energy and iron while was decreased for calcium and vitamin C toward SSB 3 group. Ratio of excess intake of energy/fa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or boys(p=0.0091) and girls(p<0.0001) toward SSB 3 group. Ratio of calcium deficiency was 86.8~94.9% for boys and girls and it was very high. Therefore, it should be emphasized to reduce SSB intake and drink plain water without added sugar, etc. and milk as a source of calcium for improving nutritional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dietary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Food Group and Dietary Nutrient Intakes by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Level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고등학생의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식품군 및 영양 섭취 실태)

  • Kim, Sun Hyo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3 no.2
    • /
    • pp.95-113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food group and dietary nutrient intakes by sugar-sweetened beverage(SSB) intake level in high school students aged 15~18 years(n=2,377) using the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SSB(included carbonated drinks, sports drinks, and caffeinated drinks that contained added sugars) intake level obtained from 24-hour recall method: SSB 1(SSB intake 0 g/d), SSB 2(0 g/d < SSB intake < 50th percentile) and SSB 3(SSB intake ≥ 50th percentile). Result of daily intakes of SSB were 160.6±10.5 g/d for boys and 98.6±7.1 g/d for girls and it increased for boys(p<0.0001) and girls(p=0.0280) by year. The highest intakes were carbonated drinks followed by fruit juices for boys and girls. Intakes of carbonated drinks increased as 2.7 times for boys(p<0.0001) and 1.6 times for girls between 2007 and 2015 year. Daily intakes of vegetables were the lowest in SSB 3 of three groups for boys and girls(p<0.0001), and those of fruits were lower in SSB 2 and SSB 3 than SSB 1 for boys(p=0.0013). Daily intakes of milk & milk products decreased toward SSB 3 group for boys(p<0.0001) while those were the lowest in SSB 3 of three groups for girls. Daily intakes of dietary fiber(21.3~25.3%) and calcium(49.6~59.8%) were very low compared to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Percentage of daily intakes compared to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increased for energy for boys and girls(p<0.0001) while decreased for vitamin C toward SSB 3 group for boys(p<0.0001) and girls(p=0.0382). Those of calcium were the lowest in SSB 3 of three groups for boys(p<0.0001) and girls(p=0.0008). Ratio of excess intakes of energy/fat increased toward SSB 3 group for boys and girls(p=0.0002). Ratio of calcium deficiency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but that was very high(85.9~92.5%). Therefore, it should be emphasized to reduce SSB intakes in order to improve diversity in food group and dietary nutrient intak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dietary education and government support.

한국의 전통 - 건강을 지켜주는 여름철 전통 음료

  • Lee, Chun-Ja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2 no.2
    • /
    • pp.28-33
    • /
    • 2009
  • 계절에 따라 혹은 상황에 따라 다른 음식에 앞서 먼저 찾게 되는 것이 음료다. 음료를 마심으로써 더위를 식히기도 하고 추위를 녹이기도 한다. 그리고 좋은 사람들을 만났을 때, 한 잔의 음료를 두고 마음의 문을 열어 교감하기도 한다. 밥을 대접하기가 번거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한 잔의 음료를 대접하는 일은 귀찮아하지 않는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곳에만 음료가 있는 게 아니라 혼자 있을 때에도 한 잔 앞에 두고 깊은 사색에 잠기기도 하는 것이 음료다.

  • PDF

Preparation of the Functional Beverages by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Characteristics (기능성 발효 음료 제조 및 관능적 특성)

  • 박금순;안상희;최경호;정지숙;박찬성;최미애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6 no.6
    • /
    • pp.663-669
    • /
    • 2000
  • As an attempt to develop new functional beverages, various ingredients including pine needle, P Japonica, C. Militaris, black tea, artemisia, cocoa, and persimmon leave tea, were used to make fermented beverages and their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acidity of beverages produced was the highest in the one with C. Militaris, and the lowest in the ones with persimmon leave tea and pine needle. The pH of P Japonica beverage, 2.54, was the lowest among all. The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one of C. Militaris and the lowest in cocoa-used one. In sensory evaluation, the fermented beverages prepared with persimmon leave tea, pine needle, and artemisia were significantly more preferable in acceptability than the others (p<.001). For purchase intention, the beverage prepared with persimmon leave tea got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the ones with pine needle and artemisia, and the scores of those three beverag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p<.001). Hunter color test showed that fermented beverage added Black tea was the lowest in lightness, but the highest in redness and yet-lowness(p<.001). The beverages with high scores in sweet odor, sweet tast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more favored in the sensory evaluation looking at the correlation among the sensory properties. And the lightness in col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dness and yellownes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ppearance quality of the beverages. Chemical properties like pH and acid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eptability, and the sugar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weet odor.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ended tea with added pan-firing Rhus verniciflua seeds and changes in its antioxidant activity during storage (볶은 옻씨를 첨가한 차 음료의 품질특성 및 저장 중 산화방지 활성의 변화량 측정)

  • Jin, Hee-Yeon;Moon, Hye-Jung;Kim, Su-Hwan;Lee, Sang-Cheon;Huh, Chang-Ki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9 no.3
    • /
    • pp.318-323
    • /
    • 2017
  • While manufacturing blended tea, the temperature for pan-firing Rhus verniciflua seed (RVS) is important. The pan-firing duration was fixed to 15 minutes according to a sensory test. We then prepared four types of blended teas with varied ratios of RVS; all the four types showed similar pH, $^{\circ}Bx$, and hunter's color valu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nsory test, A-type tea blended with RVS was the most preferr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type blended tea was evaluated during storage. The changes in the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y by DPPH and ABTS assays were monitored during storage at 4, 25, and $40^{\circ}C$ for 28 days. After 28 days of storage, values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similar to the initial values. Moreover, microbial growth was not observed during that period.

음료$\cdot$다류 산업

  • 손헌수
    • Food Industry
    • /
    • s.180
    • /
    • pp.27-64
    • /
    • 2004
  • 국내 제조업 전체에서 식음료품은 $6.31\%$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을 기준으로 식품산업의 총매출실적을 보면 32조 3,463억원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 식료품은 26조 921억원, 알콜올음료를 포함한 음료품은 6조 2,516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2001년, 음료시장의 규모는 약 2조 7,900억원 정도였다. 빠르게 성장하던 전체 음료시장의 매출은 IMF 이후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지속적으로 매출액이 상승하여 2002년에는 3조 4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이것은 사이다, 후레바, 정통주스, 냉장주스, 스포츠 음료, 두유 및 기능성음료 등이 성장을 주도하였다. 2003년 상반기, 1조 6,50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3\%$ 감소하였지만 2003년 전체 실적은 대략 지난해와 비슷한 3조 5,000억원 규모로 전망된다. 내수량의 경우 탄산음료와 과즙음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전체적으로는 증가하였다. 다류시장의 규모는 약 650억원, 캔커피시장의 규모는 2,400억원 정도로 나타났다. 이처럼 음료$\cdot$다류 시장은 전체적으로 약 4조원의 거대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어, 점차 시장규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음료 및 다류의 시장규모가 전체의 $20\%$에 달할 정도로 신장하였으며, 기능성음료 및 다류의 특허출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비단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기능성음료 및 다류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은 시대가 변하면서 현대인들의 생활방식과 식생활 변화, 질병형태 다양화 등 여러 사회적 여건이 변화되고 있는데 기인하며,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음료시장의 쾌속성장과 틈새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현재 세계 건강기능성 식품의 시장 규모는 약 160조원이며, 국내의 경우 약 1조원에 이르는 실정이다. 이 중 기능성음료 시장은 국내에서 약 4천억원 규모로 기능성식품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기능성음료 시장은 최근 연간 $7\%$ 정도의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6.7\%$의 실질 연간 성장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해질(이온)음료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다이어트음료에서 출발한 기능성음료는 숙취해소, 성인병 예방, 스트레스 해소에 이르기까지 각종 질병의 치료 및 예방으로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는 BT 및 나노 기술 등을 이용한 신기능 소재들에 대한 다각적인 효능의 규명에 따른 음료$\cdot$다류 소재의 개발과 더불어 체질개선, 다이어트, 숙취해소 등의 특정한 기능성과 관련한 음료$\cdot$다류의 특허출원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복잡한 한약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하여 티백이나 캔 형태로 만든 맛과 기능이 조화된 음료$\cdot$다류 분야의 연구개발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시장 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기능성과 간편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신세대 소비자들의 성향을 겨냥하여 기존의 음료$\cdot$다류 전문 업체 외에도 제약회사 등의 비음료 업체도 다양한 형태의 음료$\cdot$다류 기술개발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신기능성 소재를 개발하는 것은 고부가가치 기술로써 BT, NT 등의 최첨단 기술의 발전과 도입으로 인해 그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기능성 소재들도 국내 기업들의 축전된 기반기술을 통하여 대거 참입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러 업체의 음료$\cdot$다류시장 진출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비위생이고 효능이 불확실한 식품의 유통, 업체간의 과열경쟁에 따른 유통질서 문란 등은 모처럼 활기를 되찾은 음료$\cdot$다류 분야의 기술개발을 위축시킬 수도 있으므로 정부차원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료적인 측면에서의 무역 불균형은 반드시 해소되어야 할 부분이다. 대부분이 수입 기능성 원료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내의 BT 기술 확충에 더욱 많은 투자와 노력이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적으로 경쟁이 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과 이를 통한 신기능 음료의 개발은 단순한 수학적 계산을 넘어서 국가의 기술력을 홍보할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음료$\cdot$다류 분야에 대한 열기가 식품시장을 주도하면서, 시장이 안정적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 PDF

Survey on the High-Caffeine Energy Drink Consumpt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서울 지역 대학생의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소비 실태 조사)

  • Yoo, Hyun Suk;Sim, Ki Hyeon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24 no.3
    • /
    • pp.407-420
    • /
    • 2014
  • A survey was carried out regarding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high-caffeine energy drinks in an effort to identify and improve problems as well as provide basic data. Most of the subjects had previous experience of energy drink consumption. Studies showed that most students consumed energy drinks when studying. Regarding frequency of energy drink consumption, most students' responded "1~6 times a year"; female students showed lower frequency of energy drink consumption than male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used convenience stores to purchase energy drinks. In most cases, students became aware of energy drinks through advertisements on TV, radio, newspapers, and magazine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ir energy drink purchase and consumption status was taste. The most frequent adverse effect they experienced after drinking an energy drink was unusual heart-pounding, whereas the biggest problem caused by energy drink consumption was addic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students sh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excessive and prolonged high-caffeine intake. In addition, instructions for proper purchasing and consumption of high-caffeine energy drinks should be provided as well as education and campaigns concerning symptoms caused by high-caffeine energy drink consumption so that students may refrain from excessive consumption. Further, civi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need to devise effective measures for proper regulation of high-caffeine energy drink consumption.

Convergence Study on Beverage Intake and Or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한국 청소년의 음료 섭취와 구강건강에 관한 융합적 연구)

  • Yun, Jung-W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9
    • /
    • pp.45-50
    • /
    • 2020
  •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5th (2019)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drink intake and oral symptoms in adolesc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25.0 program, a software for statistical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oral symptoms as a dependent variable revealed that gender, school classification, academic performance, dental treatment experience, carbonated beverages, energy drinks, and sweet drink intake were associated with oral symptoms.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nsumption of carbonated beverages, energy drinks, and sweet beverage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oral symptom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oral health education related to drinking intake will be needed by setting guidelines for sugar in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