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aration of the Functional Beverages by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Characteristics

기능성 발효 음료 제조 및 관능적 특성

  • 박금순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안상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최경호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정지숙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박찬성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 최미애 ((주)고려식료 식품연구소)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As an attempt to develop new functional beverages, various ingredients including pine needle, P Japonica, C. Militaris, black tea, artemisia, cocoa, and persimmon leave tea, were used to make fermented beverages and their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acidity of beverages produced was the highest in the one with C. Militaris, and the lowest in the ones with persimmon leave tea and pine needle. The pH of P Japonica beverage, 2.54, was the lowest among all. The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one of C. Militaris and the lowest in cocoa-used one. In sensory evaluation, the fermented beverages prepared with persimmon leave tea, pine needle, and artemisia were significantly more preferable in acceptability than the others (p<.001). For purchase intention, the beverage prepared with persimmon leave tea got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the ones with pine needle and artemisia, and the scores of those three beverag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p<.001). Hunter color test showed that fermented beverage added Black tea was the lowest in lightness, but the highest in redness and yet-lowness(p<.001). The beverages with high scores in sweet odor, sweet tast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more favored in the sensory evaluation looking at the correlation among the sensory properties. And the lightness in col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dness and yellownes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ppearance quality of the beverages. Chemical properties like pH and acid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eptability, and the sugar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weet odor.

기능성 산형 음료의 산도는 번데기 동충하초 음료가 0.52로 가장 높았으며 감잎과 솔잎음료가 0.19로 가장 낮았다. 산형 음료의 pH는 동충하초 음료가 가장 낮았으며 코코아 음료가 3.12로 가장 높았다. 당도는 코코아 음료가 5.8로 가장 낮았으며 눈꽃 동충하초 음료가 10.3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외관의 색상(color)은 홍차 음료가 6.5로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탁도(turbidity)는 코코아가 가장 높았다. 달콤한 향(sweet odor)은 홍차, 감잎차 음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새콤한 향(acidic odor)은 코코아 음료가 6.3으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단맛(sweetness taste)은 감잎차 음료가 5.6으로 가장 달다고 평가했으며, 신맛(sourness taste)과 떫은 맛(astringent taste)은 눈꽃 동충하초 음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외관(appearance)의 기호도, 향(odor)의 기호도, 맛(taste)의 기호도, 전반적인(overall) 기호도 모두 감잎차 발효 음료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솔잎음료, 쑥 음료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구매의사 면에서도 감잎차 >솔잎 >쑥 음료 순으로 나타나 구매의사가 높았다(p<.001). 색도는 홍차 발효 음료의 명도(L)가 가장 낮았으며, 솔잎 발효음료의 명도(L)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적색도(a)와 황색도(b)는 홍차발효음료가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와 기호도 항목간의 상관관계에서 달콤한 향, 단맛, 마신 후의 구매의사가 높을수록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 측정과 관능검사간의 상관관계는 명도가 높을수록 외관의 기호도가 좋았으며, 적색도와 황색도가 높을수록 탁도와 외관의 기호도는 낮게 평가되었다.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간의 상관관계에서는 pH가 낮을수록 산도는 높을수록 선호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당도는 달콤한 향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감잎차, 솔잎, 쑥 발효음료가 가장 수용도가 높아 기능성 음료로서의 상품화가 가능하겠으며, 음료 제조시 pH가 낮고 산도가 높은 음료는 당을 좀 더 첨가하여 신맛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