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 선호도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교육진흥원 역할과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견해 분석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Role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velopment Institute)

  • 이혜정;이인회;이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743-6750
    • /
    • 2015
  • 본 연구는 세종시 유아교육진흥원의 역할과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 58명, 학부모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의 96% 이상이 세종시 유아교육진흥원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며, 주된 역할은 유아체험활동지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진흥원 프로그램운영은 유아의 흥미유발과 창의성 신장을 중심으로 누리과정과 연계될 필요가 있고, 주말체험프로그램은 문화 예술체험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지원은 교사들의 전문성 및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학부모지원은 자녀와의 의사소통방법과 유아발달단계이해를 위한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세종시 유아교육진흥원의 설립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요구도가 상당히 높고, 역할 및 운영에 관한 대부분의 문항에서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의견의 일치도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성과 교사 변인에 따른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5-year-old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in Relation to Their Gender and Teachers' Background)

  • 조부경;고영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33-84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어떠하며, 유아의 성과 교사의 학력, 경력, 과학적 소양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유치원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기초 배경과 과학적 소양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유아 180명에게는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문항을 토대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교사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학에 대한 선호는 교사의 과학적 소양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교사들이 양성 교육과 현직 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분석 (A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김수정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47-654
    • /
    • 2018
  • 본 연구는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위해 보육교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실 내의 영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육교사들을 지원하는 목적을 가지는 교사재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한 선행 연구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행 연구들은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보육교사와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언어적인 상호작용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다; 2) 선행 연구들은 보육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측정 도구 혹은 코딩 스킴을 개발 및 적용하여 왔다; 3) 선행 연구들은 교실 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는 교사의 지원 방안으로서, 멘토링이나 컨설팅과 같이 개별적인 접촉을 선호하여 제안하였다; 4) 선행 연구들이 제안한 교실 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교사의 건설적인 자기 성찰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학부모의 인식, 실태 및 요구 (Awareness of Parents with Preschoolers on Multiple-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the State of Multiple-intelligences Education and their Needs)

  • 하순련;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1-355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기 다중지능의 발굴과 지원에 있어서 유아 학부모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유아 학부모가 바라보는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요구 조사를 통해 유아기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소재 6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의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학부모들의 다중지능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 학부모들은 자녀의 강점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유아교육기관과 유아용 학습지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았다. 셋째 유아 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 시기는 만2세-만7세 이하가 적절하며 유아의 심리와 욕구에 대한 이해가 있는 교사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유아자녀의 다중지능 교육에의 참여와 이와 관련한 부모교육을 희망하였다. 그러나 일부 유아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을 영재교육이나 특수교육의 일환으로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 부모의 다중지능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도모와 또한 다중지능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지하고 이후 다중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드림스타트 저소득 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Development of the Balanc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Model -on the basis of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participating in Dream Start-)

  • 김유화;곽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600-621
    • /
    • 2016
  • 본 연구는 드림스타트에 참여하는 저소득 가정의 유아들을 위해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균형적 언어교육의 기본 관점 및 교수학습방법의 특징을 기초로 하였으며 교수체제 개발의 일반적인 모형인 ADDIE에 근거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관점에서 총체적 그림책 읽기와 구조화된 읽기, 쓰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내용,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등의 교수학습방법, 교수학습평가체제가 제시되었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2015년 6월부터 11월 초반까지 드림스타트에 참여하는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유아 읽기 발달 검사, 교사 저널, 부모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적용된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적용결과, 유아들의 읽기 발달에 있어서 향상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교사저널의 질적 분석 결과 책 선호도, 글자에 대한 관심, 개별화된 언어교수법의 효과성 등 문해 발달의 기초적 능력의 향상에서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관점에서 저소득 가정 유아의 문해 발달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실행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구매자의 가치에 따른 유아동복 평가기준과 이미지 및 색조 선호도 (Evaluation Criteria and Image-Tone Preference of Infant and Children's Wear according to Buyer's Value)

  • 이지연;김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060-1068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purchasing behavior of infant and children's wear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features of children and consumer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female buyers of infant and children's wear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55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a SPSS 18.0 statistic program with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ree types of groups by values were identified: mental-social achievement oriented group, social achievement oriented group, and pleasure value oriented group.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hysical criteria and aesthetic criteria. 3.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relation of groups in fancy, neat, and easy-active images. 4. The results showed for all groups that consumers of infant and children's wear prioritized soft pastels most.

유아동 마스크 선호도 및 착용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Preference and Wearing Satisfaction for Children's Masks)

  • 김지은;이은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2-91
    • /
    • 2023
  • The children who are part of this study are compelled to wear masks at educational facilities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s they continue to be exposed to Asian dust, fine dust, and COVID-19. However, use of masks is currently causing them a lot of inconvenience. This study aimed to gather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ask that is suitable and comfortable for children to wear. A total of 331 children aged 1 to 9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ir parents in terms of their lifestyle, mask wearing and purchasing status, mask preferences, mask inconvenience, and mask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survey on mask use, the proportion of children aged 1-3 years old and wearing ultra-small/XS masks, 4-6 year olds wearing small/S, and 7-9 year olds wearing small/S was the highest. More than 80% of children were wearing masks with a standard filter of KF80 or higher. The purchase criteria for children's masks were found to be excellent in terms of wearing comfort and meeting the filter standards. According to the survey on inconvenience of wearing masks, the majority of those surveyed expressed the need to develop children's masks of different sizes. Furthermore, they experienced various kinds of inconveniences from adult masks, such as the material quality and length of earring bands; it was deduced that these aspects need to be taken care of. The vertical folding type was the most popular in the mask design for children. Children have to wear masks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but they are experiencing lot of inconvenience, which need to be addressed.

유아의 인종적 신체 특징 인식, 외모와 언어 단서에 따른 내집단 범주화 및 선호도 (Children's Awareness of Racial Features, Racial In-Group Classification and Racial Preference According to Visual and Language Features)

  • 이정민;이강이
    • 아동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5-10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racial features, racial in-group classification and preference by Korean children.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89 children aged 3-5 years. The children performed photograph description and choice task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lde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younger children to use racial feature and less likely to use general physical feature to describe the stimuli. Second, children tended to select the South-Asian person speaking in Korean language as a Korean, rather than the Korean person speaking in English. Third, children tended to select the person of Korean appearance speaking in English as a playmate. The result revealed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racial awareness. Furthermore the correspondence of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children's in-group classification whereas the correspondence of appearance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children's preference.

지능형제품의 쾌락적 속성과 실용적 속성이 소비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donic Versus Utilitarian Attributes on the Consumer Acceptance of Intelligent Products)

  • 곽소나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33-345
    • /
    • 2016
  • 최근 정보통신 기술 및 로봇 기술이 기존 제품에 접목된 지능형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에게 보다 수용 가능한 지능형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 또는 지능화 부분을 고려한 지능형제품디자인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지능형제품은 모체제품이라고 불리는 기존 제품을 기반으로 하므로, 제품 속성 관점에서의 효과적인 지능형제품디자인방법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품 속성에 따른 지능형제품 유형이 소비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용 실내화를 사례로 하여, 쾌락적 지능형제품과 실용적 지능형제품을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제품선호도에 대해 피험자는 실용적 지능형 유아용 실내화를 쾌락적 지능형 유아용 실내화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보다 높은 구매의사와 지불의사 금액을 나타냈다. 이는 유아용 실내화가 유아용 제품이라는 점에서 쾌락적 가치가 요구될 수도 있으나, 층간 소음이라는 사회적 문제와 관련된 제품이므로 실용적 가치가 보다 중요한 가치로 인식된 것으로 해석된다.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인식 및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through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 박소윤;서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70-381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김해 지역에 소재한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 모의수업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예비유아교사의 현재 수준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모의수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모의수업은 교원양성교육에서 필요하며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모의수업 횟수를 늘리는 것에는 찬성하지 않고 있었으며 교수자의 모의수업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매우 만족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경력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 수업지식과 기술이 있는 교수자에게 모의수업 준비단계와 평가단계의 최소 2회의 피드백을 받길 원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과 유아와 효과적 상호작용 및 발문에 대해 지도받고자 하였다. 피드백은 학급 구성원 모두와 교수자가 함께 참여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교수자 피드백 이외에는 영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모의수업 경험을 요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