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he Balanc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Model -on the basis of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participating in Dream Start-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드림스타트 저소득 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 김유화 (연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 곽영숙 (연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10.20
  • Accepted : 2016.11.24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the language education program model - based on balanced language education approach - on development of literacy of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specially participating in Dream Start public welfare service. Development of this languge education program was based on the basic view and characteristis of balanced language education. It was progressed in accordance with Analyze-Design-Develop-implement-Evaluate(ADDIE), which is an widely-u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Educational contents including reading skills of picture books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and well-structured reading and writing sequenc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cluding the principles and the strateg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atic evaluation method are proposed in viewpoint of balanced language teaching approach.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targeting 20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Dream Start welfare service from June 2015 until early Novemb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ord reading inspection and nonsense word reading inspection developed by Ko, Yeon-Kyung(2002) were performed. The reflective thinking journal of visiting teachers and the satisfaction reported by parents were analys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reading skills of young children were improved. The superiority of the program - prefernce for the picture book, interests in written languages,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language education method - was demonstrated by qualitative analysis of reflective journal.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n presenting the executable language education model for literac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based on balanced language education approach.

본 연구는 드림스타트에 참여하는 저소득 가정의 유아들을 위해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균형적 언어교육의 기본 관점 및 교수학습방법의 특징을 기초로 하였으며 교수체제 개발의 일반적인 모형인 ADDIE에 근거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관점에서 총체적 그림책 읽기와 구조화된 읽기, 쓰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내용,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등의 교수학습방법, 교수학습평가체제가 제시되었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2015년 6월부터 11월 초반까지 드림스타트에 참여하는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유아 읽기 발달 검사, 교사 저널, 부모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적용된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적용결과, 유아들의 읽기 발달에 있어서 향상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교사저널의 질적 분석 결과 책 선호도, 글자에 대한 관심, 개별화된 언어교수법의 효과성 등 문해 발달의 기초적 능력의 향상에서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관점에서 저소득 가정 유아의 문해 발달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실행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숙, 조애저, 배화옥, 김효진, 홍미, 한국의 아동빈곤실태와 빈곤아동지원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2. R. H. Bradley, R. F. Corwyn, H. P. McAdoo, and C. S. Coll,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I: Variations by age, ethnicity and poverty status," Child Development, Vol.72, No.6, pp.1844-1867, 2001. https://doi.org/10.1111/1467-8624.t01-1-00382
  3. 허남순, 오정수, 홍순혜, 김혜란, 박은미, 정익중, 빈곤 아동과 삶의 질, 학지사, 2005.
  4. 보건복지부, 2014년도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2015.
  5. 공나원, 드림스타트 이용아동의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 보건복지부, 2015년도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2016.
  7. 최은영, 이지현,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유아의 초기 문해기술,"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pp.61-86, 2011.
  8. 황현이, 가정의 소득수준과 아동의 언어능력 및 가정문해환경,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S. Bracken and J. Fischel, "Family reading behavior and early literacy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from low-income background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Vol.19, No.1, pp.45-67, 2008. https://doi.org/10.1080/10409280701838835
  10. 이은해, 이정림, 김명순, 전혜정, "저소득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과 학업수행에 관한 종단적 연구," 아동학회지, 제31권, 제1호, pp.65-82, 2010.
  11. 김광혁, 차유림, "가구빈곤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1호, pp.29-51, 2007.
  12. 임선아, "저소득층 아동의 인지와 사회-정서 발달이 읽기와 수학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아동권리연구, 제16권, 제1호, pp.149-172, 2012.
  13. 임세희, "장기빈곤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4권, pp.55-78, 2007.
  14. J. A. Brizius and S. A. Foster, "Generation: Reading the promise of family literac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ED 357 869), 1993.
  15. 이신희, 김명순, 손승희,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능력과 어휘력 및 인쇄물 개념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34권, 제3호, pp.75-92, 2013. https://doi.org/10.5723/KJCS.2013.34.3.75
  16. 오지영, 만 5세 유아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7. 이숙희, 박혜경, "균형적 유아 읽기 프로그램 적용효과," 교육과학연구, 제39권, 제2호, pp.113-135, 2008.
  18. 이인용, ADDIE 모형에 기초한 웹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9. 전유영,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0. 현정희, 이지현, "유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의미중심 접근법과 균형적 언어 접근법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9권, 제6호, pp.317-339, 2014.
  21. C. E. Bompadre, "The effectiveness of systematic reading programs on the achievement of students in grades K-2.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mmaculata College, Pennsylvania, 2002.
  22. B. B. Frey, S. W. Lee, N. Tollefson, L. Pass, and D. Massengill, "Balanced literacy in an urban school distric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98, No.5, pp.272-280, 2005. https://doi.org/10.3200/JOER.98.5.272-280
  23. V. L. Hoover, Program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dated balanced literacy program in 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2006.
  24. 최민경, 학령전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과 일반아동의 표현 어휘능력 비교 연구: 이름대기 및 정의하기 과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5. 신혜영, 김명순,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 발달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과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9권, 제4호, pp.199-212, 2010.
  26. 윤영은, 저소득 가정 유아와 일반 가정 유아의 언어능력 및 가정문해환경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7. 곽아정, 김유화, "저소득층 유아 문학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에 대한 탐색," 어린이 문학교육 연구, 제11권, 제2호, p.67-90, 2010.
  28. 김유화, 김지영, "방문교사 및 부모가 인식한 저소득 가정 영유아를 위한 가정방문 문학 프로그램의 효과와 기대," 아시아 아동복지연구, 제10권, 제3호, pp.1-25, 2012.
  29. 박찬화, 김명순, "그림책읽기 언어중재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아동학회지, 제31권, 제3호, pp.117-138, 2010.
  30. 이민주, 저소득 가정의 유아를 위한 그림책읽기 중재 활동이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1. P. A. Freppon and K. L. Dah, "Balanced instruction: Insights and considerations(Theory and research into practice)," Reading Research Quarterly, Vol.33, No.2, pp.240-251, 1998. https://doi.org/10.1598/RRQ.33.2.5
  32. 임부연, 최남정, 박향원,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텃밭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2권, 제1권, pp.135-164, 2008.
  33. 정재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분석: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시사점 논의," 교과교육학연구, 제2권, 제2호, pp.80-97, 1998.
  34. 이옥섭, 균형 있는 문해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쓰기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5. 이지영, 유치원.초등학교 연계에 기초한 균형적 문식성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6. D. Fowler, "Balanced reading instruction in practice," Educational Leadership, Vol.55, No.6, pp.11-12, 1998.
  37. D. Strickland, Teaching phonics today: A primer for education,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998.
  38. S. Blair-Larsen and K. Williams, The balanced reading program: Helping all students achieve success,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997.
  39. 김은심, 조정숙, 영유아 언어교육의 실제, 정민사, 2015.
  40. G. Tompkins, Literacy for the 21th century a balanced approach.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010.
  41. 이차숙,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학지사, 2004.
  42. 김정규, 정남미, "문학에 기초한 통합적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제2권, 제2호, pp.87-107, 1998.
  43. 이경우, 총체적 언어교육, 창지사, 1997.
  44. 김지영, 곽아정, 김유화, "저소득 가정 유아의 그림책 읽어주기 가정방문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13-142, 2010.
  45. 고연경, 3,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 능력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6. 노상혜,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에 기초한 문해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읽기.쓰기 발달에 미치는 효과 및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7. 이성진, 가정 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988.
  48. 김은희, 균형 있는 언어 교육 접근법이 유아의 읽기.쓰기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9. 이진경, 노마디즘1, 휴머니스트, 2002.
  50. 마쯔이 다다시, 어린이 그림책 (이상금 역), 샘터사 (원서 1987 출판), 1990.
  51. Mihaly Csikszentmihalyi, 몰입의 즐거움(이희재 역), 해냄출판사, 2010.
  52. 박숙희, 염명숙,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학지사, 2014.
  53. 이지현, 마송희, 김수영, 정정희,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공동체,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