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through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인식 및 요구도 분석

  • 박소윤 (대전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 서현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0.11.17
  • Accepted : 2021.01.04
  • Published : 2021.04.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for 350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4 years university located in Busan, Ulsan, and Gimhae. And through this, the purposes of study are to provide basic data based on the current level of pre-school teachers for instructors leading simulated instruction and to seek effective management plans for simulated instruction to improve teach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simulated instructions were necessary in teacher training course and helped to improve teaching ability, but they did not actively agree to expand simulated instructions and were not very satisfied with the methods of instructors in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They wanted to receive feedback from instructors who have practical teaching knowledge and skills based on field experience at least two times during preparation stage and evaluation stage of the simulated instructions. And they wanted to be guided specifically on principles and methods of preparing educational plans, effective interactions and questions with young children. They wanted the feedback, the most preferred form of feedback is form of participations by all class members and instructors. In addition to instructor's feedback, they required experience of simulated instruction in which infants and toddlers participate together.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김해 지역에 소재한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 모의수업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예비유아교사의 현재 수준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모의수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모의수업은 교원양성교육에서 필요하며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모의수업 횟수를 늘리는 것에는 찬성하지 않고 있었으며 교수자의 모의수업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매우 만족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경력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 수업지식과 기술이 있는 교수자에게 모의수업 준비단계와 평가단계의 최소 2회의 피드백을 받길 원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과 유아와 효과적 상호작용 및 발문에 대해 지도받고자 하였다. 피드백은 학급 구성원 모두와 교수자가 함께 참여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교수자 피드백 이외에는 영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모의수업 경험을 요구하였다.

Keywords

Ⅰ. 서론

유아교육기관에서 질 높은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강조되는 것은 교수자로서 수업에 대한 전문성이다[1]. 교사에게 수업은 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교육의 성패를 판가름하는 기준이 된다[2][3]. 유아교육에서 수업이란 교사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마련한 흥미영역에서 유아 또래 혹은 교사와 상호작용하는 자유선택활동이나 교사와 유아가 함께하는 대소집단 활동을 포함하고 있으며[4], 유아의 경험 대부분은 이 시간에 형성되기 때문에 교사는 수업의 효과성 측면에서 “어떤 내용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교육과정 및 교수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5].

유아교육현장은 초․중등과 같이 정규 교과목을 시수에 맞춰 규칙적으로 가르쳐야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어떤 교사들보다 교육과정 운영에 자율성이 부여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율성은 기관의 특수성이나 개인차를 고려하여 융통성 있는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 유아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따라 수업의 질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6]. 또한 유아 대상 수업은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전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유아들의 발달 특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놀이 중심, 아동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의 주도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예측불허하고 복합적인 문제들이 교수학습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매 순간마다 유아교사가 이미 배운 이론이나 지식으로 적절하게 대처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7]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더욱 중요한 문제로 강조되고 있다. 교육부 역시 대학 교원양성기관의 평가 시 수업 행동분석실 구비 및 활용,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시연 능력평가, 다양한 수업영상 녹화를 통한 수업분석 및 토론, 모의수업과 같은 현장중심형 교수법 실시 등을 비중 있게 제시하여 수업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8][9].

유아교사가 수업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교과 지식과 더불어 수업실행능력, 학급 운영 및 학생 지도 능력 등을 충분히 갖추어야 하며, 이는 저절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7] 예비유아교사 시절부터 오랜 기간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측면의 노력이 필요하다[10]. 교육 현장에 실천적 지식을 지닌 교사를 길러내는 것은 대학에서 담당해야 하는 과제이며, 수업의 전문성은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발달 될 수 있다[11]. 예비유아교사가 갖는 지식, 교수행위,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은 이후 교사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모든 영역에 영향을 주며 교수 실제의 질적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12][13]. 따라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유아 교사가 유아교육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문제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방안을 끌어낼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현장 참여와 반성적 사고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실천적 교수 방법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7][14][15].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이와 같은 방향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 오랫동안 적용되어 온 교수방법 중 하나는 모의수업(simulated instruction)이다[16]. 모의 수업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유롭게 교육현장에서 수업을 할 수 없는 여건에서 자신의 쌓아온 학습 내용과 교수법을 적용해 보고 교사들과 유사한 경험을 해 봄으로서[17] 수업역량을 함양하는 실천적 교수방법이다. 일반적인 모의수업 운영 절차는 수업계획, 수업실행, 수업 평가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수업계획 단계에서 예비유아 교사들은 20~30분 정도 소요시간을 예상하고 의도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도입-전개-마무리 형식으로 수업 계획안을 작성하고[18] 수업에 필요한 교수 매체를 준비한다. 수업실행단계에서는 교사와 유아로 역할을 나눠 준비한 수업을 시연하며, 수업 평가단계에서는 교수자와 동료들과의 토론 및 피드백과정을 통해 목표와 내용에 타당한 수업 전개과정, 교수매체의 적절성,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교사의 태도 등을 평가한다[16][18]. 평가 시에 교수자에 따라서 수업동영상 녹화를 통한 수업분석 보고서 작성, 반성적 저널 쓰기 등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예비유아 교사들은 유아의 연령과 특성에 알맞은 수업을 운영해 보고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수업기술을 개선시킬 수 있다[19][20].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모의 수업 시연이 의미 있는 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모의수업 과정을 어떻게 이끌어 가야하는지에 대한 방향제시가 중요하다[21]. 국외 연구들에서도 교사가 교실 상황에서 자신의 가르침과 그 근거, 결과로서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끊임없이 사고하는 반성적 교수과정[22]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교수자가 반성적 사고 없이 형식적인 과정을 그대로 적용하여 모의수업을 진행한다면 학생들의 교수전문성 신장과 같은 의미 있는 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살펴보고 수업역량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정보를 얻어 교육과정 운영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모의 수업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모의 수업에 나타난 예비유아 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18][23], 예비 유아 교사 모의 수업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탐색[24-28], 모의 수업 참여 경험의 의미 탐색[7][29-31]을 통해 모의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히고, 모의수업이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실천적 교수 방법임을 밝히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연구[9][16][32] 등을 통해 예비유아 교사들이 모의 수업 경험을 통해 교수실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모의수업 참여가 수업에 대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좋은 수업의 요소 및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한 생각을 정립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밝히고 있다.

한편, 예비유아교사가 모의수업 시연과정에서 느끼는 다양한 어려움을 밝힌 연구들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수업 계획을 세우는 것과 수업 실행 시 실제 유아를 대상으로 할 수 없는 현실적 한계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33].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학습자 중심으로 수업계획안을 작성하고 평가계획을 세우는 것, 수업 시연 시 자신의 계획되로 진행되지 않는 것에 난감함을 느끼고 있었다[34]. 위의 선행 연구들은 모두 질적 연구로 예비유아교사들이 모의수업 시연을 수업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과 모의 수업 실행 시의 어려움에 대해 심도 있게 밝혔지만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모의수업 운영 방식, 모의수업의 교육 내용 및 교수 방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힌 양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 과학 지도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35]가 진행된 바 있으나 특정 교과 수업이 교육실습에 도움이 된 정도나 이론 강의보다 실제 현장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한 선호에 대해 조사하여 전반적인 모의수업 운영에 대한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좋은 수업을 이끌기 위해서는 교과목에 대한 지식과 함께 학습자에 대한 관심이 중요하며 학습자가 지향하는 수업양식과[36] 교수방법 같은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유아 교사들의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 모의 수업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예비유아교사의 현재 수준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모의수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시연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시연에 대한 요구도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 울산, 김해 지역에 소재한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350명을 임의표집 하여 대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에 동의한 유아교육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총 350부의 설문지 중에 322부가 회수되어 92%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회수된 322부 중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20부를 제외하고 총 302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면, 학년은 2학년이 146명으로 48.2%, 성별은 여자가 296명으로 98.0%, 학력은 2-3년제 재학이 238명으로 78.8%, 실습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가 202명으로 66.9%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N=302)

CCTHCV_2021_v21n4_370_t0001.png 이미지

2. 연구도구

본 연구는 모의수업시연에 참가한 예비 유아 교사들이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모의수업시연에 대한 인식 문항은 김호 (2011)[37]와 장영순(2013)[38]의 유치원 수업 컨설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기본 범주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 2인이 연구대상과 목적에 맞게 설문내용을 재구성하였다. 모의수업 요구도에 관한 문항은 이영만(2014)[39] 의유치원 초임교사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를 참고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범주와 내용을 정리하였다. 1차적으로 제작된 설문지는 모의수업시연의 필요성 및 인식, 모의 수업 시연 요구도로 2영역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모의수업시연을 진행해 본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과 교수 2인으로부터 내용의 적절성 여부에 대한 검토를 받았으며 이후 수정된 질문지를 본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예비유아교사 8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모의수업 시연 시 원하는 지도 영역 중 교육과정계획 영역과 교육내용 영역의 문항의 내용과 의미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교육내용 영역의 문항을 생략하고 모의수업시연 준비단계와 관련된 문항을 ‘교육과정계획’, 모의수업시연 진행에 관련된 문항을 ‘교수학습방법’, 모의수업시연 후와 관련된 문항을 ‘교육 활동평가’로 분류하여 재조직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정된 설문지는 모의수업시연 인식, 모의수업 요구도의 2영역 총 1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응답형태는 선다형 문항과 5점척도로 평정하도록 되어있다. 척도의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Cronbach a는 .86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설문지 내용구성은 [표 2]과 같다.

표 2. 설문지 내용 구성

CCTHCV_2021_v21n4_370_t0002.png 이미지

3. 연구절차 및 자료분석

선정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2019년 5월 15일부터 2019년 6월 8일까지 부산, 울산, 김해 지역에 소재한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평정형으로 제작된 문항의 경우에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시연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필요하다’가 297명(98.3%)으로 가장 많았으며, ‘필요하지 않다’가 5명(1.7%)로 나타났다.

한 학기에 적절한 모의수업시연 과목을 살펴본 결과 ‘2과목’이 173명(57.3%)로 가장 많았으며, ‘3과목’ 69명(22.8%) 순으로 조사되었고 과목당 적절한 모의 수업 시연 횟수는 ‘1회’가 190명(62.9%)로 가장 많았으며, ‘2회’ 85명(28.1%) 순으로 응답하였다. 모의 수업 시연의 적합한 형태는 ‘1인 모의수업’ 112명(37.1%), ‘3-4인 모의 수업’ 104명(34.4%)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모의수업시연 교육의 확대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필요하다’가 112명 (37.1%)로 가장 많았으며, ‘보통이다’가 110명(36.4%), ‘매우 필요하다’ 67명(22.2%) 순으로 응답하였다. 모의 수업 시연이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본 결과 ‘도움 된다’가 151명(50.0%)으로 가장 많았으며, ‘매우 도움된다’ 101명(33.4%) 순으로 조사되어 모의 수업 시연이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모의수업 지도방법에 대해 만족하는지 살펴본 결과 ‘그렇다’ 134명(44.4%), ‘보통이다’ 107명 (35.4%) 순으로 나타났다.

표 3.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N=302)

CCTHCV_2021_v21n4_370_t0003.png 이미지

2. 모의수업에 대한 요구도

모의수업지도 시 교수자가 갖춰야 할 자격요소로는 ‘현장경력을 바탕으로 한 수업 관련 실제적 지식과 기술’ 178명(47.1%)으로 가장 많았으며, 모의수업 시연 지도 시 피드백을 원하는 시기는 ‘수업 계획 및 준비단계와 모의수업이 끝난 후 2회’ 289명(54.2%), ‘모의 수업이 끝난 후 1회’ 133명(24.9%)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피드백 형태는 ‘학급 구성원 모두와 교수자가 함께 진행’ 171명(53.8%), ‘수업진행 학생과 교수자의 개별미팅’ 94명(29.6%) 순으로 조사되어 수업시간 중에 전체 학생들과 함께 진행하는 피드백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모의수업시연 준비 및 실행시 교수자에게 원하는 지도영역을 살펴본 결과 교육과정계획 하위영역에서 교육과정계획 하위영역에서는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M=2.94, SD=1.0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유아의 보편적 발달 수준 이해(M=2.90, SD=1.13)’, ‘교재교구 매체 준비(M=2.85, SD=.92)’, ‘교육목적 이해(M=2.75, SD=.78)’,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내용(M=2.73, SD=.75)’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방법 하위영역에서는 ‘효과적 상호작용 및 발문 (M=2.91, SD=1.1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유아 개별화 지도 계획(M=2.83, SD=.94)’, ‘교사로서의 표정 및 태도, 언어표현(M=2.82, SD=.97)’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평가 하위영역에서는 ‘수업 활동 기록 및 분석(M=2.81, SD=1.03)’, ‘평가 결과의 활용(M=2.79, SD=.89)’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의수업시연을 위해 지도교수의 피드백 이외 필요한 방법을 살펴본 결과 ‘영유아가 참여하는 모의수업 (M=2.83, SD=.8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료와 수업 연구공동체 형성을 통한 토론(M=2.77, SD=.95)’, ‘유치원 원장선생님, 원감선생님의 멘토링 지도 (M=2.72, SD=.87)’, ‘현직 유치원 선생님의 수업 피드백(본인 수업 영상촬영 자료 활용)(M=2.70, SD=.92)’, ‘수업관련 수상경력이 있는 강사를 초청하여 강의를 듣는 방법(M=2.66, SD=.81)’, ‘자신의 수업 내용을 비디오 촬영한 후 돌려보며 분석(M=2.65, SD=.83)’, ‘반성적 저널쓰기(M=2.61, SD=.82)’, ‘피드백 후 수정하여 수업 재실시(M=2.54, SD=.95)’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4. 모의수업지도 교수자가 갖춰야 할 자격요소(다중응답) (N=378)

CCTHCV_2021_v21n4_370_t0004.png 이미지

표 5. 모의수업시연 지도 및 피드백시기(다중응답) (N=533)

CCTHCV_2021_v21n4_370_t0005.png 이미지

표 6. 교수자의 지도 및 피드백 형태(다중응답) (N=318)

CCTHCV_2021_v21n4_370_t0006.png 이미지

표 7. 모의수업시연 시 원하는 지도영역 (N=302)

CCTHCV_2021_v21n4_370_t0007.png 이미지

표 8. 교수자의 피드백 이외 필요한 방법 (N=302)

CCTHCV_2021_v21n4_370_t0008.png 이미지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교원양성기관에서 모의수업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예비 유아 교사의 현재 수준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모의 수업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모의수업시연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98.3%는 모의수업시연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모의수업시연이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모의 수업 시연 실시 횟수는 학기 당 2과목이나 3과목에서 1회만 실시하는 것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의 수업 시연 교육확대 필요성은 필요하다와 보통이다가 비슷하게 집계되어 모의수업시연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확대되는 것에는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의수업시연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지만 실제 수업시연은 부담스럽고 어렵게 느끼고 있다는선행연구[33][40] 와 유사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모의수업시연의 양적인 측면보다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모의 수업 시연을 위해서는 수업 목표와 내용의 적절성, 적절한 교수매체 선정 및 제시, 수업 내용 연결의 논리성,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방법 등을 모두 포함하여 수업 계획안을 작성해야 하며, 작성된 계획안을 동료들 앞에서 시연하고 교사 평가와 동료 평가 등 다면적 평가를 받아야 하는 심층적 단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업계획, 실행, 평가 단계마다 피드백 과정을 거치고 이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지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거의 모든 과목에서 모의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통과의례처럼 인식되거나 수동적으로 실시되는 경향이 있다[33]. 따라서 모의 수업의 횟수보다는 모의 수업의 질적인 측면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 특히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가 놀이한 내용 유아들의 놀이 관찰,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의 내용과 연계하여 활동을 지원하는 방법, 유아의 놀이 지원 등 유아로부터 만들어나가는 수업이 필요하므로 이 부분에 대한 질적인 모의수업시연 지도 모형과 효과적인 교수법 모색이 요구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시연의 적합한 형태로 1인 모의수업(37.1%) 그리고 3-4인 모의수업 (34.4%) 순으로 응답하였다. 전체 학생이 한 명씩 나와 교사 역할을 하는 1인 모의수업의 비중이 높다는 것은 모의 수업시연을 할 때 자신에게만 해당되는 개별적 피드백을 필요로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정해진 강의시간 안에서 모의수업 시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없기 때문에 1인 모의수업보다 교사 참여자 1인과 유아역할 참여자 다수로 구성된 소그룹 활동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41]. 이렇게 소그룹 활동으로 진행되다보면 교사역할 참여자는 수업의 전반적인 흐름과 유아와 상호작용 및 평가자의 피드백으로 인하여 수업의 전문성을 증진시킬 수 있지만 유아 역할참여자들은 간접경험에 그칠 수 밖에 없다. 모의 수업은 수업계획, 준비, 시연에 이르는 비교적 긴 시간이 요구되는 과정이므로 저학년부터 1인 모의수업을 진행하여 모든 과정을 혼자 감당하기보다 3-4인 모의수업을 진행하되 진행과정에서 조원들 간의 의견교환, 문제 해결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모의수업에 익숙해진 고학년에는 교과목 특성을 반영하여 1인 모의 수업을 진행하는 등의 방안 등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1인 모의수업 진행시 개인 당 소모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모의수업 전에 교수자는 구체적인 피드백을 준비하고 개인 당 피드백 시간을 정하여 모든 학생이 충분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모의수업시연이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본 결과 그렇다(50.0%), 매우 그렇다(33.4%) 순으로 나타나 대다수가 모의수업시연은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가 모의수업시연 과정을 통해 수업에 대한 새로운 안목과 교수기술을 습득하고 동료평가와 지도교수의 조언 등을 통해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고 교수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실질적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선행연구[42]와 흐름을 같이한다. 한편 교수자의 모의수업 지도방법에 대해 만족하는지 살펴본 결과 그렇다(44.4%), 보통이다(35.4%) 순으로 응답하여 크게 만족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모의수업 지도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여 개선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2. 모의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요구도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지도 시 교수자가 갖춰야 할 자격요소로 현장경력을 바탕으로 한 수업 관련 실제적 지식과 기술(47.1%), 예비유아교사에 대한 이해와 공감능력(28.8%)으로 응답하였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는 깊이 있는 지식전달에 중점을 두기보다 수업이 흘러가는 맥락적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업전략을 적용해야하기 때문에 수업 중간에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특별한 상황 제시나 실제 유아들의 반응과 같이 실제적인 부분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교수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 수업을 다수의 학생들 앞에서 엄숙하게 진행해야 하는 부담되고 두려운 관문으로 느끼기 때문에[40] 긴장하지 않게 배려해주고 수용적인 자세로 예비유아교사를 대해주는 교수자의 태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둘째, 모의수업 시연 지도시 피드백을 원하는 시기는 수업 계획 및 준비단계와 모의수업이 끝난 후 2회 289 명(54.2%), 모의수업이 끝난 후 1회 133명(24.9%) 순으로 나타났다. 모의 수업 준비단계에서 피드백을 통해 검토된 내용은 본 수업에 즉시 반영하여 수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41] 예비유아교사들에게 필요한 과정이며, 모의 수업 후 평가는 수업내용 및 자료, 수업시연, 수업태도 등과 관련한 전반적인 사항과 자신의 장점 및 단점을 돌아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모의수업 중의 피드백은 전반적으로 선호도가 낮았는데 이는 교수자가 중간 개입을 하면 수업 시연 중에 흐름이 끊기거나 교수자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살피면서 수업을 진행하는 부담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기타(3%)사항으로 ‘피드백 받고 싶을 때 무제한’으로 기재한 학생들이 있었고 모의 수업 전과 후의 2회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는 것을 고려할 때 예비유아교사들이 피드백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피드백에 대한 요구가 큼을 알 수 있다.

셋째, 모의수업 피드백 형태로는 학급 구성원 모두와 교수자가 함께 진행하는 피드백(53.8%)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와 동료가 함께 수업 평가에 참여하면 수업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나 교수 방법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18]. 학급 구성원은 친구가 아닌 교사로서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며 자신의 경우에 대입해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고 이러한 경험은 교사로서의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43] 교수자와 학급 전체의 의견을 한정된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평가해볼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모의수업시연 준비 및 실행 시 교수자에게 원하는 지도영역을 살펴본 결과 교육과정계획 하위영역에서는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유아의 보편적 발달 수준 이해, 교재교구 및 교수매체 준비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결과는 예비유아 교사들은 수업설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고 [34][44] 수업계획안 작성법에 대한 교수학습 요구를 가장 많이 하고 있다[45]는 선행연구와 흐름을 같이한다. 교과수업의 특징에 따라 짜여진 구조화된 수업계획안 작성은 추상적으로 알고 있었던 교수법, 상호작용 등을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수업경험이 없는 학생들에게는 어려움으로 다가올 수 있다[26]. 따라서 좋은 수업을 계획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하는 진행되고 있는 생활주제와의 논리적 전개, 일과 및 활동의 발달적 적합성, 목표와 활동과의 관련성, 유아와의 상호작용 유형, 유아들의 참여도[46] 등의 요소에 대한 교수자의 세심한 피드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의 보편적 발달적 수준을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면 유아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를 사용한다거나 수준에 맞지 않는 활동을 계획할 수 있기 때문에[27] 이에 대한지도 역시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재교구 및 교수매체 준비에 대해 지도받기 원한다는 것은 유아들과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수업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교수매체를 중요한 요소로 인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업시연 뿐만 아니라 교재교구 및 교수매체 측면에도 구체적인 피드백이 요구된다.

교수학습방법 하위영역에서는 유아수준에 맞는 적절한 상호작용 방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는 대체적으로 작성된 수업계획안을 외워서 그대로 진행하는 수업방식을 보이고 있으며 [41][42], 수업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질문이나, 수업과 관계없는 이야기를 할 때 이에 대한 대처능력이 부족하여 상황에 맞는 교육적 판단을 하기 보다는 자신이 계획했던 방향으로 수업을 진행하려는 융통성이 결여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29]는 선행 연구와 맥을 같이한다. 이러한 교사주도식 수업은 유아들과 쌍방향적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고 계획안을 숙지하지 못하면 수업 중간에 중단되는 상황을 겪게 되므로[27] 계획안을 세세하게 작성하여 외우기보다는 교육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발문하며 유연하게 수업을 이끄는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은 현장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가 습득하기 어려우므로 교원양성기관에서는 현장의 수업 참관기회 확대 및 유아 교사들의 수업 동영상 시청, 유아교사와 멘토링, 실제 유아와 함께하는 수업 진행 등의 기회를 확대해 줄 필요가 있다.

교육활동평가 하위영역에서는 수업활동 기록 및 분석, 평가 결과의 활용 순으로 나타났으나 그 요구도가 다른 영역에 비해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유아 교사는 수업평가에 대한 이해가 상당히 부족하다는 선행연구[47]를 뒷받침해 준다. 유아교육에서는 같은 교과 영역을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고 지필과 같은 평가의 의무가 없기 때문에 타 영역에 비해 평가의 중요성을 적게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놀이하며 배우는 유아의 실제 경험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기록해야 하며 수집된 관찰 및 기록을 평가의 목적, 방법, 대상, 결과활용 측면에서 정리하고 유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배움과 성장에 도움이 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48]. 따라서 예비유아 교사들에게 수업의 실천이 단지 가르치는 것이 아닌 유아들의 경험과 배움을 자율적인 방식으로 기록하고 평가하는 전문성을 요하는 업무임을 인식시켜 주고 이에 관한 구체적인 지도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모의수업시연을 위해 지도교수의 피드백 이외 필요한 방법을 살펴본 결과 영유아가 참여하는 모의 수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동료와 수업 연구공동체 형성을 통한 토론, 유치원 원장선생님, 원감 선생님의 멘토링 지도, 현직 유치원 선생님의 수업 피드백(본인 수업 영상촬영 자료 활용)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들 앞에서 모의 수업을 하는 형태를 가장 많이 원한다는 선행 연구 [40][49]와 흐름을 같이한다.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모의 수업 방법은 실제 현장 상황과 유사한 현실성 있는 수업을 체감할 수 있고, 수업 수행능력 향상, 예비유아 교사의 모의수업에 대한 동기 및 열의 증진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49]를 줄 수 있지만 수업 준비도가 낮은 저학년에 실시되었을 경우 예비유아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발생하는 문제를 간과할 수 없으며[33] 기관 섭외의 어려움, 지도교수의 지도강화와 유아교사의 지원 연계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41]. 따라서 유아참여 수업을 확대하기 전에 유아들과의 래포형성, 지도교수와 사전 피드백을 통한 내용 수정[49], 현장 유아교사의 사후 피드백 및 개선사항 논의 등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가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목 당 일회성 행사로 그치는 것이 아닌 유아교육기관과 정기적인 협력을 통해 꾸준하게 수업을 진행할 기회를 준다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동료와 수업 연구공동체형성을 통한 토론을 원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현직교사가 아닌 예비유아교사들의 토론은 수업 개선에 대한 깊이 있는 수준까지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단점이지만[50] 이론적 지식과 경험 등의 조건이 비슷하여 더 많은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51] 토론으로 인한 효과는 높을 수 있다. 수업연구공동체 안에서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교수자뿐만 아니라 동료 예비유아교사 사이에서도 서로 수평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수업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하며[18] 수업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을 공유하고 수용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토론을 위해서 교수자가 수업에서 봐야 할 구체적인 요소들이 적힌 체크리스트나 기록지를 전달하여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해 준다면 외양과 같이 단순한 요소가 아닌 수업의 목적, 내용 및 운영 등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해결책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치원 원장선생님, 원감 선생님의 멘토링 지도, 현직 유치원 선생님의 수업피드백(본인 수업 영상촬영 자료 활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법은 현직 교사들에게는 새로운 자극과 반성적 성찰의 기회가 되며 예비유아 교사들에게는 수업에 대한 실제적인 조언을 통해 수업에 대한 기대감과 자신감이 상승하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 [52]. 하지만 고 경력자와 예비유아교사와의 관계에 있어서 현직 교사가 수업에서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나 그에 대한 즉각적인 해결책을 제공해 주는 식의 일방적인 피드백이 전달된다면 예비유아교사가 수동적인 태도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서로간의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모의수업이 교원양성 교육에서 필요하며 자신의 수업능력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모의수업 횟수를 늘리는 것에는 찬성하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모의수업의 양적인 확대보다 질적인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현장경력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 수업지식과 기술이 있는 교수자에게 모의수업 준비단계와 평가단계의 최소 2회의 피드백을 받길 원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과 유아와 효과적 상호작용 및 발문에 대해 지도받고자 하였다. 피드백은 학급 구성원 모두와 교수자가 함께 참여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교수자 피드백 이외에는 영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모의 수업 경험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원양성기관의 효과적인 모의수업 운영방안과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논의 및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제한 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부산과 경남지역에 소재한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으로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표집을 전국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학년, 모의수업 참여횟수와 같은 변인을 고려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요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으나 이러한 요구를 직접적으로 실행하는 사람은 교수자이므로 연구의 범위를 넓혀 교수, 외래교수, 현직교사의 모의수업 실시 및 지도 방법에 대한 요구 및 한계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References

  1. 박해미,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6호, pp.539-555, 2009.
  2. 조미헌, "초등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1호, pp.435-446,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1.435
  3. 강숙희,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520-52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520
  4. 이미경, 이시자,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37-161, 2014.
  5. 엄미리, 김명랑, 장선영, 박인우,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제15권, 제1호, pp.107-132, 2009.
  6. 이은진, 김정희,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 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0권, 제4호, pp.97-118,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4.097
  7. 김경철, 김안나,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한 수업분석의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제14권, 제2호, pp.399-424, 2010.
  8. 이명순, "유아주도성 발현을 위한 모의수업과정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17권, 제2호, pp.323-348, 2013.
  9. 정남미,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제20권, 제5호, pp.201-222, 2016.
  10. G. D. Borich, Effective teaching methods, New Jersey: Prentice-Hall, 2000.
  11. 박계신, "반성적 수업시연과 분석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탐색," 특수교육, 제11권, 제1호, pp.215-240, 2012.
  12. 김낙홍, "유아교사양성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제12권, 제2 호, pp.195-212, 2008.
  13. 김남희, 손유진, "실천적, 반성적 유아교사교육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2권, 제1호, pp.193-215, 2008.
  14. 이정아, 강한나,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1권, 제1호, pp.105-129, 2012.
  15. 황해익, 송연숙, 조영기,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과학교육 강좌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및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8권, 제4호, pp.129-150, 2004.
  16. 황정희, 이정희 "모의수업 평가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 요소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47-67, 2012.
  17. 조부경, 김정화,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 경험의 통합 운영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 교사 및 담당 교수의 반응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139-162, 2000.
  18. 서윤희,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pp.19-47, 2015.
  19. 조희정, 이대균 "ASSURE 이론에 기초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연구, 제33권, 제3호, pp.83-105,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3.33.3.004
  20. 주삼환,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장학의 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3.
  21. 권은주, 최윤정,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 수업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pp.57-82, 2010.
  22. A. A. Agoro, "Reflective practice: A tool for enhanching quality assurance in science education at nigerian colleges of education," J. of Educational and Social Research, Vol.3, No.7, pp.205-209, 2013.
  23. 윤지영, 임승렬,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음악모의수업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분석," 음악교육연구, 제41권, 제3호, pp.227-249, 2012.
  24. 김은아, 고경미, 이선경,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모의수업 분석경험: 유아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9권, 제3호, pp.245-269, 2015.
  25. 권혜진, "마이크로티칭 분석에 기초한 예비교사의 수업반성 및 자기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제74권, pp.77-99, 2013.
  26. 성소영, 심향분, "예비 유아교사의 수업시연 및 실제 교육활동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91-114, 2014.
  27. 이대균, "예비유아교사들의 첫 모의수업에 나타난 수업의 특징과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수업분석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267-288, 2012.
  28. 김은정, 김경철, "예비유아교사들의 첫 모의수업에 나타난 수업의 특징과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수업분석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267-288, 2012.
  29. 마지순, 고은현,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과 현장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탐색,"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1호, pp.249-271, 2010.
  30. 서현, 이승은,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333-363, 2015.
  31. 강숙희, "모의수업 활동에 기반한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1호, pp.209-228, 2012.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1.209
  32. 조형숙, 문가영, "유아교사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제23권, 제1호, pp.5-29, 2019.
  33. 조희정, 이대균,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563-587, 2012.
  34. 배성아, 안정희,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11호, pp.393-417, 2014.
  35. 이은진, 김정희,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0권, 제4호, pp.97-118,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4.097
  36. 임경희, "예비교사의 성격, 학습양식, 수업선호 및 지향하는 수업양식의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81-104, 2006.
  37. 김호, "유치원 수업컨설팅 현황 및 교사의 요구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8권, 제3호, pp.257-280, 2011.
  38. 장영순, 유치원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실행과정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9. 이영만, 유치원 초임교사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0. 김근혜,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53-74, 2020.
  41. 유희정,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 경험과 학교현장실습 중 수업수행을 기반으로 한 모의수업에 대한 생각,"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2권, 제1호, pp.217-250, 2020.
  42. 김경철, 김은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모의수업의 의미 탐색,"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제8권, 제9호, pp.627-636, 2018.
  43. G. D. Borich, Observation skills for effective teaching(5th ed.), New Jersey: PEARSON, 2008.
  44. 김경철, 박혜정,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에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제18권, 제3호, pp.309-334, 2014.
  45. 이연승, 유희정, 강민정, "2.3년제 대학의 교육 실습과 관련된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도," 어린이미디어연구, 제9권, 제2호, pp.1-18, 2010.
  46. 박성덕, 김은정, 김경철,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4권, 제4호, pp.197-228, 2015.
  47. 안부금, "수학수업분석에 기초한 컨설팅 경험이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 연구, 제35권, 제5호, pp.255-280, 2015.
  48.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2019.
  49. 견주연, 임상도,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의 수행과정 및 수업 만족도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36권, 제4호, pp.5-27, 2016.
  50. 방정숙, 선우진, "예비유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625-6477, 2015.
  51. 김남균, 유제정,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관점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제54권, 제1호, pp.1-11, 2015.
  52. 견주연,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 교육혁신연구, 제29권, 제3호, pp.405-425,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