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평가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33초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조유진;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06-813
    • /
    • 2021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개정누리과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의 공,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원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과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활용, 평가목적 순으로 차이를 인식하였다. 인식에 관한 항목의 일부는 교사의 교육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자율성'을 유아평가의 중점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유아평가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평가를 위한 요구는 양방향적 동료 간 워크샵, 평가사례 공유, 연수 및 컨설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를 담당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한 유아정서지능 평가도구의 오차요인 분석 (An Analysis of Error Sources and Reliability Estimation in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김경철;최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65-571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정서지능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오차 분석을 통해 유아의 정서지능을 평가하는 도구의 적절성을 검증하고 유아 대상의 검사도구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도구 관련 정보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만5세 14학급 198명의 담임교사 14명과 어머니가 유아의 정서지능을 평가한 자료이다. 이병래[14]의 유아정서지능검사를 사용하여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활용하여 평가자, 평가문항, 평가대상 유아, 검사도구 그리고 각 요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분산추정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아의 정서지능 개인차가 평가결과에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하위요인중 '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조절능력' 등은 단일국면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유아 정서지능을 평가할 때 교사뿐 아니라 부모도 평가자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일부 하위 요인의 경우에는 오차변인의 비율이 크게 나와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도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앞으로 정서지능 평가도구의 제작 및 활용시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한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오차요인 분석 (An analysis of error sources and reliability estimation in self-control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최연철;김경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07-512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오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도구뿐만 아니라 유아를 대상으로 한 평가도구를 활용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만5세 16학급 259명의 담임교사 16명과 어머니가 유아의 자기통제력을 평가한 자료이다. Kendall과 Wilcox[1]가 개발한 자기통제력 평가도구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평가자, 평가문항, 평가대상 유아, 검사도구 그리고 각 요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분산추정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의 경우 유아 각자의 자기통제력 차이가 평가결과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자 오차변인의 경우, 분산성분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부모와 교사의 평가결과가 일치하고 있으며 따라서 부모를 평가자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검사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하위 요인 문항의 경우 오차변인의 비율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도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탐색을 통해 평가도구의 제작 및 활용 시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마련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부모와 유아교사의 평가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Distributive Justice)

  • 공인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1
    • /
    • 2007
  •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이용하여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래동화는 유아교육의 중요매체이며, 부모와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전래동화를 선택하고 들려줌으로써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부모와 유아교사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40명의 부모와 7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6편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일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유아에게 유익한지와 가치관형성에 적합한지에 대해서 부모의 평가가 유아교사의 평가보다 높았지만, 전반적으로는 부모와 유아교사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가 일치하는 편이었다. 이는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가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초임 유아교사의 유아관찰 평가의 실천과 반성 (Child Observation Assessment Practice and Reflections of a First-year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 양정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9-170
    • /
    • 2020
  • 유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직 입문 과정에서 초임 유아교사들은 충분한 배경지식이나 실제적 지도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하여 한 초임 유아교사가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신념과 실제를 반성적으로 바라보고 실천적으로 개선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실행연구의 순환과정을 통해 참여교사는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접근방식을 반성적으로 들여다봄으로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유아교사의 교직 입문을 지원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협력적 실행 연구의 적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유아 웹 사이트 인터페이스의 사용 편의성 연구 (A Study of usability for Kids Sites Interface)

  • 이경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41-844
    • /
    • 2004
  • 본 논문은 성인과 다른 기저를 가진 미취학 연령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웹사이트들의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이드라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관련 연구를 통해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현재 가장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유아사이트를 대상으로 사용 편의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평가 대상이 인지능력과 언어발달이 완전하지 않은 미취학 연령인 유아인 점을 고려하여 관찰 및 모니터링 방법으로 사용성 평가를 하였으며 평가결과를 토대로 인터페이스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안했다.

  • PDF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척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on Scal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or Childcare Teachers)

  • 김현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가족부에서 발간한 2005년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긍정적 상호작용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그 적합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어린이집에서 만 3세 이상의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05명이 연구대상이며,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각각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낮잠시간배려', '화장실 사용배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 '식사와 간식시간배려'등으로 명명되었다.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도구의 신뢰도는 .94이며, 제작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영역들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Validity of the Teacher's Scales for Gifted Preschool Children)

  • 이채호;최인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483-49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5곳에서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57명과 이들의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 그리고 부모였다.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계수 및 상관계수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요인(언어능력, 창의성, 과제집착력, 예술적 능력, 리더십)으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문항은 20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둘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의 준거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부모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결과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의 변별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영재와 일반유아 간의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점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영재가 일반유아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판별되었다. 넷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82~.91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척도가 유아 영재성을 측정하는 데 신뢰롭고 타당한 것임을 보여준다.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의 양육태도간의 관계 연구

  • 박선혜;박혜원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9-14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녀양육에 있어서 창의적인 유아로 키울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9곳의 만 5세 96명(창의적인 유아 40명, 일반 유아 56명)과 아버지 96명이었다. 유아의 창의성검사는 Torrance 창의력 도형검사를 사용하였고, 아버지양육태도검사는 이종승, 오성심(1982)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0.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에 전반적 창의성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분석시 유창성과 독창성, 개방성요인에서는 창의적인 유아가 일반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두 집단간 창의성에 있어서 성차는 없었다. 둘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의 자녀창의성 인식에서는 전반적 독창성 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유창성, 추상성, 정교성의 차원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여 창의성수준을 부모들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인 유아에 대한 아버지와 교사의 인식에서는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보다 현장에서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의 창의성수준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와 교사간 평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아버지의 평가수준이 매우 객관적인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셋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 아버지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애정-적대요인과 자율-통제요인에서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 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분석결과 애정적 양육태도와 유창성, 독창성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집단별 분석시 창의적인 유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어린이집 보수교육프로그램 평가 (The Evaluation of Day Care Center In-servi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 김보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하여 어린이집 유아교사가 이수한 보수교육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충남 및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은 목표제시와 사전분석과 같은 교육상황은 다른 평가영역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아교사 개인요인과 같은 교육과정은 상대적으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영역으로 평가 되었다. 유아교사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교육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교사의 현장과 실태를 고려하여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의 현장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의 평가를 통해 보수교육프로그램의 실정과 추후 보다 바람직한 어린이집 보수교육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보수교육 내실화를 위한 유아교사의 자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