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기지원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7초

경제적 위기 상황에서 결혼 만족도에 대한 가족 외부 지원과 경제적 압박의 상호작용 효과 (Interaction of External Family Support and Economic Pressure on Marital Satisfaction Under the Economic Crisis)

  • 권희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5호
    • /
    • pp.59-68
    • /
    • 2009
  • External social support for family can be an important resource for families to overcome economic pressure, and can be a way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process of family resilience in the context of Korean economic crisis. To explore the role of external social support that alleviates the negative effects of economic pressure on marital satisfaction, the buffering effects were tested in two ways. Firs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ternal social support and economic pressure on marital satisfaction was tested using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 Second, the scores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plotted by the median scores of economic pressure and external social support. Results from the analyses of 191 couples (382 husbands and wives) indicated that external social support help families by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economic pressure on marital satisfaction by interacting with economic pressure.

긴급재난지원금 현금수급가구의 소비 효과 (Cash-Receiving Households' Responses to Covid-19 Transfers)

  • 이영욱
    • 노동경제논집
    • /
    • 제44권1호
    • /
    • pp.135-167
    • /
    • 2021
  • 본 연구는 긴급재난지원금을 현금으로 수급한 취약계층의 긴급재난지원금 사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코로나 위기에 대응하여 전체 가구에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은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수급가구에게는 현금으로 지급되었으며, 현금수급가구는 전체 수급가구의 12.9%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현금수급가구 대상 설문조사 결과, 긴급재난지원금을 대부분 소비지출로 사용하였고, 평균 한계소비성향은 0.217로 코로나 위기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을수록 높게 추정되었다.

  • PDF

재가와 시설의 양육미혼모 정부지원 차이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s of the Government Social Support for Unmarried Mother Child-rearing between at the Home and in the Facilities)

  • 박영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93-50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재가 양육미혼모와 시설 양육미혼모의 사회적 지지 중 정부지원의 차이를 조사하고 정책대안을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최근에는 양육미혼모들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부의 지원은 충분하지 못하며, 가장 기초적인 생계유지에도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양육미혼모에 대한 정부지원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재가 양육미혼모가 시설 양육미혼모보다 연령과 학력이 높았으며, 직업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월령 또한 재가 양육미혼모의 아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지원과 친자검사를 제외한 정부지원은 시설 양육미혼모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재가 양육미혼모가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육미혼모들의 안정된 정착을 위한 현실성 있는 정부정책을 제언하였다.

가출위기청소년의 자립생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적 변인연구 - 쉼터 청소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cological Variables that Affect Runaway Youths at Risk in Preparation for a Independent Life - Centering on Youths at Shelters)

  • 오수생;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2호
    • /
    • pp.195-205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쉼터에 입소한 가출위기청소년의 자립생활준비에 관해 살펴보고 가출위기청소년의 개인적 특성과 자립에 영향을 주는 자립의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경제적 자립, 교육적 자립, 심리적 자립, 사회적 자립의 다차원적 관점에서 가출위기청소년의 자립에 대한 의식과 욕구수준을 파악하고 성공적인 자립을 위한 필요요인을 확인하여 자립생활 준비를 위해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립생활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시체계 변인이 자립생활 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준비행동에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시체계 변인이 자립생활 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준비행동에는 자립준비프로그램 참여, 시설지원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출위기청소년의 진로성숙에는 교사와의 관계, 자립준비프로그램 참여만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시체계 변인이 자립생활 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준비행동에는 지역사회조직 참여, 서비스 연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출위기청소년의 진로성숙에는 지역사회조직 참여만이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을 살펴본 결과 가출위기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는 중간변인과 거시변인이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책적 개입으로 가출위기청소년들의 자립생활준비를 위해 문제해결능력과 직업능력개발과 역량강화 교육이 필요하고 쉼터교사의 전문인력이 확대, 배치가 필요하다. 쉼터의 특성을 고려한 자립준비프로그램이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프로그램개발확대가 필요하고, 지역사회의 인적자원과 서비스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와의 지지망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출위기청소년들의 가출을 독립을 위한 전단계로 사회가 이해하고 성인이 될 때까지 사회에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주택지원이 주택복지차원에서 필요하다. 가출위기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건강, 심리, 학습, 자활활동을 위한 맞춤교육으로 전문인을 양성하는 직업진로교육의 지원이 필요하다.

  • PDF

고사위기 학술출판, 활로찾기에 부심

  • 박천홍
    • 출판저널
    • /
    • 통권238호
    • /
    • pp.4-5
    • /
    • 1998
  • 불리한 출판환경에서 악전고투하고 있는 학술출판사들이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번역자가 적극적으로 저작권 계약 중재에 나서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내거나, 외국정부와 공익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간하는 경우, 또 인세 후불제와 개별적 노력이 학술출판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

  • PDF

지방 주택 시장의 회복은 정부의 지원이 선결돼야

  • 김진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7호
    • /
    • pp.28-31
    • /
    • 2007
  • 지금 지방의 주택 시장에서는 주택건설업체들의 연쇄부도에 대한 위기의식이 팽배해 있다. 이는 대규모 미분양이 누적돼 건설업체들의 지금 사정이 어려운 상태에서, 올 9월 이후 분양가상한제 등의 추가적인 규제가 시행되면 이들의 재무구조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현실인식에 기초한다.

  • PDF

MFP시대에 늦어지고 있는 판매점의 체질개선

  • 한국광학기기협회
    • 광학세계
    • /
    • 제14권2호통권78호
    • /
    • pp.46-47
    • /
    • 2002
  • MFP시대의 도래는 판매점에 있어서도 위기이고 찬스라는 모순적인 양면을 가지고 있다. MFP시대를 찬스로 할것인가 말것인가는 바로 판매점에 달려있다. 메이커에서 그런 노력을 하는 판매점을 지원하는 것은 가능해도 최후까지 돌봐주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 PDF

위기가족지원 서비스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역량강화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blic Services for Families in Crisis - focused on the Family empowerment program at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

  • 정지영;박정윤;고선강;이희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3호
    • /
    • pp.101-11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urrent performance of the public services for families in crisis by analyzing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in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We analyzed performance data of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provided by 25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from 2011 to 20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families in crisis which received public services from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by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2013 were less than the number in 2011, but increased from 2012. Second, according to the types of crisis, school violence was the most service needed family crisis in 2011, and it was suicide in 2012 and 2013. Third, in the specific services in emergency support for families and family function recovery progra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ervices were the most offered services during 3 years. Accordingly, efficiency of the programs and services in terms of budget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services. Fourth, analys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amily empowerment services in 2014, we found that its network is still heavily weighted in certain side by the lack of the utilization and the foundation of the network.

남성 노숙 청년의 성인기 독립 이행 실패와 원가족 경험 (Failure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mong Homeless Young Men and their Family Experience)

  • 김소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213-240
    • /
    • 2017
  • 청년들의 독립에 있어 가족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가족자원이 취약한 청년들에게 가족자원의 부재가 독립 이행 실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숙이라는 독립 이행의 극단적 실패를 경험하고 있는 청년 8명의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지체계로서의 가족, 독립의 계기, 독립의 과정, 독립의 위기상황이라는 주제(theme)에 대해 공통된 패턴을 찾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년들은 독립의 디딤돌 역할을 해 줄 가족 지원체계가 없었고, 가족으로부터 어떠한 동력도 얻지 못한 채 준비 없이 독립을 시작하였으며, 독립의 과정에서도 경제적, 정신적으로 버거운 홀로서기의 과정을 겪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독립의 위기상황은 청년들이 버틸 수 없는 상황에서 처하도록 하였다. 위기상황에서 가족이라는 안전망도 존재하지 않았고 이들이 노숙이라는 상황에까지 추락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가족 지원의 부재상황은 청년의 독립에 있어 가족의 역할과 자원이 성인기 독립 이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반사실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으며, 지지체계가 부재하거나 취약한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에 있어 공적 지원체계가 절실함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한 청년들을 돕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