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ilure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mong Homeless Young Men and their Family Experience

남성 노숙 청년의 성인기 독립 이행 실패와 원가족 경험

  • Received : 2017.06.16
  • Accepted : 2017.08.08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In the harsh period for young adults to prepare their successful lif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experiences of independence transition among homeless young adults. Also this article explored how their family perform as a supportive system for their independence. Using in depth interview materials of 19~39 aged 8 young homeless males, the research analyzed their family's weak support; no family members, no economic support and breaking relationship. As to occasion of independence, the participants sometimes experienced loss of house, evacuation by their family or runaway from their home. It was abrupt and unexpected leaving home. Also their process of independence was beyond their capacity that they suffered from instability job and destitute rather than continuous mental trauma and isolation. In the end they faced serious risky situations that they cannot manage without any hel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would be more important than economic capital from family and transition to adulthood of vulnerable young adults who don't have family support need much alternative supportive system and social capital.

청년들의 독립에 있어 가족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가족자원이 취약한 청년들에게 가족자원의 부재가 독립 이행 실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숙이라는 독립 이행의 극단적 실패를 경험하고 있는 청년 8명의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지체계로서의 가족, 독립의 계기, 독립의 과정, 독립의 위기상황이라는 주제(theme)에 대해 공통된 패턴을 찾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년들은 독립의 디딤돌 역할을 해 줄 가족 지원체계가 없었고, 가족으로부터 어떠한 동력도 얻지 못한 채 준비 없이 독립을 시작하였으며, 독립의 과정에서도 경제적, 정신적으로 버거운 홀로서기의 과정을 겪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독립의 위기상황은 청년들이 버틸 수 없는 상황에서 처하도록 하였다. 위기상황에서 가족이라는 안전망도 존재하지 않았고 이들이 노숙이라는 상황에까지 추락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가족 지원의 부재상황은 청년의 독립에 있어 가족의 역할과 자원이 성인기 독립 이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반사실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으며, 지지체계가 부재하거나 취약한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에 있어 공적 지원체계가 절실함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한 청년들을 돕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진.유호선, 2011, "청년층의 학교에서 고용으로의 이행 특성: 성, 학력별 이행과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8(1): 1-31.
  2. 금재호.전용일.조준모, 2007, 한국형 니트(NEET) 개념을 통한 한국형 청년 실업의 경제학적 고찰, 서울: 고용노동부.
  3. 김소영, 2016, "남성 청년의 노숙진입 시기에 따른 노숙 경로", 사회복지연구, 47(4): 151-181.
  4. 김영, 2013, "관계의 빈곤과 청년의 홈리스화: 동경지역 청년 홈리스 8인의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림일본학, 23: 19-251.
  5. 김영.황정미, 2013, "'요요 이행'과 'DIY 일대기': 이행기 청년들의 노동경험과 생애 서사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사회, 14(1): 215-260.
  6. 김영미, 2016,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사회과학논집, 47(2): 27-52.
  7. 김은정, 2014, "20대 청년층의 새로운 생애 발달단계로서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에 관한 탐색 연구", 담론 201, 17(3): 83-129.
  8. 김은정, 2015, "부모자녀 관계를 통해서 본 20대 청년층의 성인기 이행과정 연구", 가족과 문화, 27(1): 69-116.
  9. 김인숙, 2016,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세종: 집문당.
  10. 김종성, 2013,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의 계층화에 대한 연구-사회계층별 부모의 개입 전략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종성.이병훈, 2014, "부모의 사회계층이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동향과 전망, 90: 296-330.
  12. 변금선, 2015, "가구 소득계층에 따른 청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 취업 이행기간 및 임금수준을 중심으로",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1): 129-161.
  13. 윤형호.김성준, 2009, "부의 대물림? 가계소득과 사교육이 자녀소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21(1): 49-68.
  14. 은기수.박건.권영인.정수남, 2011, 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11-R21-2.
  15. 이선이.김현주.이여봉, 2015, "성인기 이행과정의 부모자녀관계 유형", 가족과 문화, 27(3): 191-227.
  16. 장상수, 2008, "청년층의 학교-직장 이행." 한국사회학, 42(6): 106-139.
  17. 정민우.이나영, 2011, "청년 세대, '집'의 의미를 묻다", 한국사회학, 45(2): 130-175.
  18. 정수남.권영인.박건.은기수, 2012, "'청춘'밖의 청춘, 그들의 성인기 이행과 자아정체성: 빈곤청년을 대상으로", 문화와 사회, 12: 35-103.
  19. Avramov, D., 1998, Youth Homelessness in the European Union, FEANTSA.
  20. Barker, J. D., 2012, Social capital, homeless young people and the family, Journal of youth studies, 15(6): 730-743. https://doi.org/10.1080/13676261.2012.677812
  21. Bell, L., Burtless, G., Gornick, J., and Smeeding, T. M., 2006, A Cross-national Survey of Trends in the Transition to Economic Independence, Network on Transitions to Adulthood Research Network.
  22. Biggart, A. and Walther, A., 2006, "Coping with Yo-yo transitions: Young adult's struggle for support, between family and state in comparative perspective", 41-62, in A New Youth? Young People, Generation and Family Life, edited by Leccardi, C. and Ruspini, Hampshire: Ashgate.
  23. Bois-Reymond, M. and Lopez Blasco, A., 2003, "Yo-yo transitions and misleading trajectories: Towards integrated transition policies for young adults in Europe", 19-41, in Young People and Contradictions of Inclusion, edited by Blasco, AL., McNeish, W., and Walther, A., The Policy Press.
  24. Busch-Geertsema, V., 2010, "Defining and measureing homelessness", 19-39, in Homelessness Research in Europe, edited by Quilgars, D., and Pleace, N., Brussels: FEANTSA.
  25. Cameron, S. V. and Heckman, J. J., 2001, "The dynamic of educational attainment for Black, Hispanic, and White Mal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9(31): 455-466. https://doi.org/10.1086/321014
  26. Coles, B., 2005, Youth and Social Policy: Youth Citizenship and Young Careers, Tayler & Francis e-Library.
  27. Fahmy, E., 2006, Youth,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Britain: The Millennium Survey, Bristol: The Policy Press.
  28. Greenberger, E., O'Neil, R. and Nagel, S. K., 1994, "Linking workplace and homeplace; Relations between the nature of adults' work and their parenting behaviors", Developmental Psychology, 30(6): 990-1002. https://doi.org/10.1037/0012-1649.30.6.990
  29. Iacovou, M. and Richard, B., 2001, Young People's Lives: A Map of Europe, ISER Essex Colchester Institute for Social Economic Research.
  30. Mayock, P., Corr, M. L. and O'Sullivan, E., 2011, "Homeless young people, families and change: Family support as a facilitator to exiting homelessness", Child & Family Social Work, 16(4): 391-401. https://doi.org/10.1111/j.1365-2206.2010.00753.x
  31. Meier, A. and Allen, G., 2008, "Intimate relationship develop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Differences by social class", 25-39, In Social Class and Transitions to Adulthood.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Vol. 119), edited by Mortimer, J. T., A Wiley Company
  32. Park, H. and Sandefur, G. D., 2005, "Transition to Adulthood in Japan and Korea: An overview", Sociological Studies of Children and Youth, 10: 43-73.
  33. Swartz, T., 2008, "Family capital and the invisible transfer of privilege: Integnenerational support and social class in early adulthood", 11-24, In Social Class and Transitions to Adulthood.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Vol. 119), edited by Mortimer, J. T., A Wiley Company
  34. Scabini, E., Marta, E. and Lanz, M. 2006.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nd Family Relations: An Intergenerational Perspective,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35. Whitbeck, L., Hoyt, D. and Huck, S., 1994, "Early family relationships,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nd support provided to parents by adult children",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9: 8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