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Market Transition and Factors Influencing Labor Market Transition of Injured Workers

산업재해근로자 노동시장이행의 성격과 영향요인 연구

  • Received : 2017.03.30
  • Accepted : 2017.06.12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is study is purpos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injured workers' labor market situation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labor market transition of those workers. Using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Data ver.1~3 which was surveyed by the Korean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in 2013-2015, this study analyzed 1,668 injured worker cases. The study shows that workers who have experience job retention at least once are 36.8% of all, 51.5% of them have experienced re-employment, and 36.9% have done unemployment. One result of the longitudinal analysis is that socio-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years, convalescence period, ability on job performance, company size, term of service, temporary employment, daily-workers status before job accident and job training were associated with return to pre-injury job. The other result is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to be the unemployed are gender, age, levels of disability, convalescence, ability on job performance, term of service before job accident, job rehabilitation service utiliz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we need to develop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s for supporting return-to-work and labor market transition of injured workers.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를 경험한 근로자의 경제활동형태 변동과 그 특성을 기술하고, 산재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과 관련하여 산재보상서비스를 비롯한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재보험패널 1~3차(2013년-2015년)자료를 활용하여, 요양을 종료한 1,668명의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번이라도 원직장 복귀를 경험한 사람은 36.9%, 재취업 경험자는 51.5%, 미취업 경험자는 36.9%였다. 경제활동형태 전이확률은 현재 원직장 복귀자가 다음 기에도 원직장을 유지할 확률은 88.1%, 재취업자의 재취업 유지 확률 88.9%, 미취업자가 다음 기에도 미취업자가 될 확률은 60.0%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활동형태 변화에서 재취업 대비 원직장 복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학력, 요양기간, 현재 업무수행능력, 산재전 직장규모, 근무기간, 종사상 지위 중 임시직, 일용직 그리고 직업훈련 총 횟수였다. 재취업 대비 미취업을 선택할 확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 연령, 장해등급, 요양기간, 현재 업무수행능력, 산재 전 근로기간, 직업재활서비스 이용 경험이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와 노동시장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2016, "산업재해율", http://www.moel.go.kr
  2. 근로복지공단, 2016, 2016 근로복지공단 한.영 사업안내서
  3. 김선미.김은하, 2015,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4): 389-411.
  4. 김지혜 역, 2015, 사회보장론 입문, Pieters, Danny, Social Security: An Introduction to the Basic Principles, 2006, 서울: 사회평론.
  5. 도성화, 2014, "산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서비스 지원 방략",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2): 249-269.
  6. 민인식.최필선, 2013, 패널데이타 분석, 서울: 지필미디어.
  7. 민인식.최필선, 2015, 고급 패널데이타 분석, 서울: 지필미디어.
  8. 박석돈, 2011, "독일의 산재장해인 직업재활과정과 우리나라 산재장해인 직업재활 발전방향", 재활과학 연구, 29(1): 37-54.
  9. 박수경, 2012, "산재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복귀 과정과 관련 요인", 재활복지, 16(3): 293-318.
  10. 박은주, 2014, "산재근로자의 재해 이후 취업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연구, 30(2): 191-220.
  11. 배화숙, 2014, "산업재해 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관련 요인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눈문지, 15(12): 7093-7100.
  12. 배화숙, 2015, "산업재해 후 실직.비경제활동인구의 욕구분석과 노동시장이행서비스 개선방안", 직업재활연구, 25(2): 87-105.
  13. 석상훈, 2008, "저임금 근로의 동태적 분석 : 상태의존성 검증", 산업경제연구, 21(2): 691-709.
  14. 성재민, 2011, "저소득자 노동시장 지위 변화에 대한 동태적 분석", 사회보장연구, 27(4): 165-189.
  15. 신혜리.김명일, 2015,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에 미치는 효과: 성향점수매칭(PSM)을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25(1): 105-130.
  16. 심현진.이현실, 2016, "산재보험 재활사업 프로그램 질적 정보격차가 직무와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정",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0(1): 143-154.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1.143
  17. 양재성.오순복.임성수, 2012,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요양종결 후 장해판정자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8(3): 153-177.
  18. 이상진, 2010, "우리나라 산재장애인 직장복귀정책 강화방안", 직업재활연구, 29(3): 1-34.
  19. 이승욱.박혜전, 2007,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직업재활연구, 17(1): 69-99.
  20. 이예린, 2015, "보편적 근로생애를 위한 복지국가의 노동시장 조건: 이행노동시장이론을 적용한 OECD 14개국 비교연구", 사회보장연구, 31(1): 137-168.
  21. 정병석, 2010, "한국 노동시장정책의 평가와 발전방안 : 이행노동시장 이론의 활용", 노동정책 연구, 10(2): 155-185.
  22. 정원미.박정일.구정완.노영만, 2003,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 예측요인",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15(2): 119-131.
  23. 조성재.이승욱.송창근.박유진, 2015, "산재근로자와 사업주의 산재보험 재활서비스 욕구조사: 근로복지공단 재활서비스를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25(1): 85-103.
  24. 최윤영, 2009, "산재근로자 재활서비스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직업재활연구, 19(1): 121-142.
  25. Gross, D. P., J. Zhang, I. Steenstra, and Barnsley, 2013, "Development of a computer-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tool for selecting appropriate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for injured workers",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23(4): 597-609. https://doi.org/10.1007/s10926-013-9430-4
  26. MacEachen, E., A. Kosny, S. Ferrier and K. Lippel, 2012, "The 'ability' paradigm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hallenges in an Ontario Injured Worker Retraining Program",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22(1): 105-117. https://doi.org/10.1007/s10926-011-9329-x
  27. MacEachen, E., A. Kosny, S. Ferrier and K. Lippel, 2013, "The ideal of consumer choice in social services: Challenges with implementation in an Ontario injured worker vocational retraining programm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5(25): 2171-2179. https://doi.org/10.3109/09638288.2013.771704
  28. Schmid, G., 2006, "Social risk management through transitional labor markets", Social-Economic Review, 4: 1-33. https://doi.org/10.1093/SER/mwj029
  29. Sears, Jeanne M., Thomas M. Wickizer, and Beryl A. Schulman, 2014. "Injured Workers' assess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before and after retraining", Journal of Rehabilitation, 24: 458-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