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기대응

Search Result 65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amining Tourists' Behavior Using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Health Belief Model: Covid-19 Crisis (보호동기이론(PMT)과 건강신념모델(HBM)을 이용한 관광객 위기대응 행동 분석: COVID-19 위기)

  • Woo, Eun-Ju;Lee, Sang-Ta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
    • v.13 no.1
    • /
    • pp.301-315
    • /
    • 2022
  • Purpose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ourists behavior by applying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health belief model during COVID-19 pandemic.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how risk perception of COVID-19 affects tourists' protection motivation and travel avoidance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obtain perception and behavior regarding COVID-19 pandemic situation. A total of 48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SEM analysis was applied in order to examine seven hypotheses. Findings-The results showed that COVID-19 risk perception is a significant antecedent of threat appraisal, coping appraisal, and cue to action (H1, H2, H6). Moreover, protection motivation is affected by threat appraisal and coping appraisal (H3, H4) and influences on travel avoidance intention (H5). However, cue to action does not affect protection motivation (H7).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provides insightful implications for tourism industry practitioners who will prepare the post-corona field and the results enrich knowledge of the tourist behavior during pandemic situation.

Survey on Understanding of Disaster Management Terminology (Focusing on Students and Workers in Related Departments) (재난관리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 조사(관련학과 학생 및 종사자를 중심으로))

  • Kim, Young-Min;Lee,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19-420
    • /
    • 2022
  • 재난관리현장 및 관련 학문 분야에서는 사건(incident), 사고(accident), 위험(risk), 위기(crisis), 재해(disaster), 재난(disaster)과 같은 유사성이 있는 전문용어들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문용어의 경우 관련 학과 학생 및 종사자들은 그 내용과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와 관련한 전문용어의 정의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지침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제 3조에서 재난에 대한 정의는 명시하고 있지만, 재난과 재해와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 수 없으며, 위험과 위기에 대한 차이점을 또한 파악하기 어려움에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관련 학과 대학생 및 관련 업종 종사자들이 재난에 사용되는 용어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명하지 못하고, 명확하게 구분하지 아니하고 사용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판단에 이르게 되었다. 용어의 혼용은 국민들에게 재난에 관한 의식의 혼란을 유발하고, 혼란스러움으로 인한 무관심이 발생, 그 무관심에 의해 재난에 관한 의식이 저하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의식의 하락으로 비롯되는 대응의 부적절함을 방지하기 위해 1) 관련 학과 학생 및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용어의 이해도 조사, 2) 관련 용어의 정의를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Korea's Terrorist Environment and Crisis Management Plan (한국의 테러환경과 위기관리 방안)

  • Jang, Sung Jin;Kim, Young-Hyun;Shin, Seung-Cheol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52
    • /
    • pp.73-91
    • /
    • 2017
  • This study is based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andpoint of each country, Use advanced equipment to prevent new terrorism from causing widespread damage, In order to establish a countermeasures against terrorism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of Korea, which is effective in responding to terrorist attacks, Korea conducted a SWOT analysis of the terrorist environment and terrorist environment through specialists. First, internal strengths of Korea 's terrorist environment include stable security situation, weakness of religious and ethnic conflicts, strong regulation and control of firearms, and counter terrorism capabilities and know - how accumulated during major international events. Second, the internal weaknesses of the terrorist environment in Korea include the insecurity of the people, the instability caused by the military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the absence of anti-terrorism law system, the difficulty of terrorism control and management by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IT technology. Third, the external opportunities for Korea 's terrorist environment are as follows: ease of supplementation and learning through cases of foreign terrorism failure, ease of increase of terrorist budget and support with higher terrorism issues, strengthening of counterterrorism through military cooperation with allied nationsRespectively. Fourth, the external threats to the terrorist environment in Korea are the increase of social dissatisfaction due to the continuous influx of defectors and foreign workers, the goal of terrorism from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s through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Increased frequency of incidents, and increased IS coverage of terrorism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the SWOT in - depth interviews on the terrorist environment of the expert group were conducted to diagnose and analyze the problems, terrorism awareness and legal system in the Korean terror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basic law on terrorism should be enacted.Seco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anti-terrorism organization.Third, securing and nurturing specialized personnel in response to terrorism.

  • PDF

Disaster situation and damage status DB design and mobile disaster site information collection app development (재난상황·피해현황 DB설계 및 모바일 재난현장 정보수집 앱 개발)

  • Jang, Cho Rok;Cho, Jung Yun;Song, Ju Il;Jang, Moon Yu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7-237
    • /
    • 2021
  • 2020년의 경우 6월부터 8월 중순까지 54일 동안 전국에 걸쳐 대규모 폭우가 집중적으로 내리면서 산사태·침수·저수지 붕괴 등이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특히 집중호우와 같은 풍수해의 경우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유형으로서 안전점검과 같은 대비를 위한 활동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난으로 인한 반복적인 피해로 인해 국가의 재난대응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재난대응을 위하여 재난유형별로 위기관리 매뉴얼을 구축하였으며, 13개 협업기능을 통해 효율적인 재난대응을 실시하고자 정부 및 각 지자체, 유관기관 등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복합적이고 큰 규모의 재난이 발생하면 현장과 상황실 간에 정보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재난이 발생하면 지자체에서 재난대응 및 상황관리를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재난현장에 파견한 현장담당자의 경우 잦은 보직이동으로 재난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와 전달해야하는 필수정보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해 재난현장에서 수집해야할 정보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등 재난대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또한 현장대응 담당자들이 초기 대응에 집중 할 수 있는 정보전달 체계가 존재하지 않아 상황실에서 재난현장으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현장대응 지원체계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과 상황실 간 원활한 소통뿐 만 아니라 재난현장담당자들이 재난현장 및 피해현황 정보 등을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재난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수집되어야하는 정보 DB(Database)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기반 재난현장 정보수집 앱을 개발하여 현장대응 지원체계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특집(2)ㆍ조류인플루엔자 알고 대처하자-HPAI 발생 이후 재입식 요령

  • Korea Poultry Associatio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9 no.1 s.447
    • /
    • pp.94-96
    • /
    • 2007
  • 본고에서는 AI 종식이후 농가들이 재입식 절차요령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고자「가축질병 위기대응 실무메뉴얼」에 실린 사후관리와 재입식 요령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게재하였다. HPAI가 발생한 위험지역 내에서 다시 재입식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즉, AI의 최대 잠복기가 3주이기 때문에 그동안 추가 발생이 없으면 위험지역은 경계지역으로 전환되고, 이후 1달간의 상황을 지켜본 후 이상이 없으면 이동제한 조치가 추가로 해제된다. 이동제한 조치가 풀렸다고 해서 AI발생지역에서 재입식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동제한 조치가 풀린뒤 21일간의 입식시험을 거쳐야 하고 시험사육뒤 검역원에 21일간의 정밀검사를 받은 후에 비로소 입식을 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은 추가 발생이 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루어진다.

  • PDF

농협개혁 시리즈3-사업계획 및 수지예산 편성지침 완전정복-예산 대의원총회 대비 특강(1)

  • 한민수
    • 월간 한농연
    • /
    • s.73
    • /
    • pp.32-39
    • /
    • 2008
  • 매년 11월말까지 1,200여 일선 조합의 예산 대의원총회가 개최된다. 2009년 우리 조합 관내의 농업을 발전시키고 조합 살림을 꾸려가기 위한 사업계획을 짜야하는 중요한 회의다. 특히 9월 중순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위기의 여파가 올 연말부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면 국내 경기가 더욱 침체될 전망이다. 이 때문에 대출 금리 인상과 농산물 소비 감소 등, 조합과 조합원의 주변 여건은 크게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 때문에 조합 경영 및 농가경젱 여건 약화를 철저히 대비한 사업계획 및 수지예산 편성이 절실하다. "월간 한농연"은 농축협 이감사.대의원 교육의 내용을 총 4회에 걸쳐 요약.정리한 특강 시리즈를 연재할 예정이다. 예결산 대의원총회의 철저한 준비와 대응을 통해 조합의 민주적이며 투명한 경영을 확립하여, 다가올 경제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조합원 실익증진에 힘써야 할 것이다.

  • PDF

농협개혁 시리즈4-사업계획 및 수지예산 편성지침 완전정복-예산 대의원총회 대비 특강(2)

  • 한민수
    • 월간 한농연
    • /
    • s.74
    • /
    • pp.44-50
    • /
    • 2008
  • 매년 11월말까지 1,200여 일선 조합의 예산 대의원총회가 개최된다. 2009년 우리 조합 관내의 농업을 발전시키고 조합 살림을 꾸려가기 위한 사업계획을 짜야하는 중요한 회의다. 특히 9월 중순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위기의 여파가 올 연말부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면 국내 경기가 더욱 침체될 전망이다. 이 때문에 대출 금리 인상과 농산물 소비 감소 등, 조합과 조합원의 주변 여건은 크게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 때문에 조합 경영 및 농가경제 여건 악화를 철저히 대비한 사업계획 및 수지예산 편성이 절실하다. "월간 한농연"은 농축협 이감사.대의원 교육의 내용을 총 4회에 걸쳐 요약.정리한 특강 시리즈를 연재할 예정이다. 예결산 대의원총회의 철저한 준비와 대응을 통해 조합의 민주적이며 투명한 경영을 확립하여, 다가올 경제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조합원 실익증진에 힘써야 할 것이다.

  • PDF

HPAI 마지막 발생후 최소 3개월 뒤 입식가능

  • Korea Poultry Associatio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0 no.6 s.464
    • /
    • pp.101-103
    • /
    • 2008
  • 본고에서는 AI 종식이후 농가들이 재입식 절차요령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고자 "가축질병 위기대응 실무메뉴얼" 에 실린 사후관리와 재입식 요령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게재하였다. HPAI가 발생한 위험지역 내에서 다시 재입식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즉, AI의 최대 잠복기가 3주이기 때문에 최종 살처분이 이루어진 이후 추가 발생이 없으면 3주후에 위험지역은 경계지역으로 전환되고, 이후 1달간의 상황을 지켜본 후 이상이 없으면 이동제한 조치가 추가로 해제된다. 이동제한 조치가 풀렸다고 해서 AI발생지역에서 재입식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동제한 조치가 풀린뒤 21일간의 입식시험을 거쳐야 하고 시험사육뒤 검역원에 21일간의 정밀검사를 받은 후에 비로소 입식을 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은 추가 발생이 되지 않는다는 전제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난 5월 12일 경남 양산지역에서 마지막 발생되었으므로 3km이내 가금산물을 모두 폐기처리 한 5월 22일부터 최소 3개월이 흐른 8월 20일 경에야 비로소 입식을 할 수 있을 전망이다. AI 청정화도 이 시기 전후에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the Guideline of Risk Management utilizing BCP technique for Airport Corporation (공항전문기업의 BCP기법을 활용한 위기대응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Seo, Byung Seok;Shin, Do Hyoung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7 no.2
    • /
    • pp.67-78
    • /
    • 2015
  •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corporation's Business Continuity Plan(BCP) is to maintain corporations' own business and establish the response plan in order to resume operation in a short time period when crisis situations occur due to natural disaster and human error. This study has presented all types of procedures and criteria which are needed to establish the airport crisis response system in order to maintain the business continuity by utilizing BCP technique. Basically the risk response procedures must b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1) preparation stage, (2) plan development stage, (3) documentation stage, (4) test & maintenance stage. The guideline has been suggested that each stage must be carried out in the sequence of Policy & Planning Responsibility, Business Impact Analysis, Recovery Strategy & Plans, Emergency Plan & SOP, Training Awareness and Maintenance & Review

대규모 지진 등 재난재해 발생시 선박활용 방안

  • Jang, Un-Jae;Kim, M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58-260
    • /
    • 2013
  • 이 연구는 대규모 지진 등 재해재난 발생시 선박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 신안 등에서 진도 4.9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한반도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될 수는 없다. 대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 도로교통 등이 마비되었을시 긴급을 요하는 환자의 후송 및 대피시설에 대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실제 지난 한신아와지 대지진시 선박을 이용하여 이러한 조치들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도로교통 마비시 선박을 현장지휘를 위한 지휘선(실습선), 병원선 및 카페리선(피난선)을 활용한다면 보다 적극적인 위기대응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