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웰빙태도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웰빙생활태도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Tourism Satisfaction Mad to a Well-being Lifestyle)

  • 이익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17-425
    • /
    • 2010
  •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라이프 스타일을 결정하게 되는 큰 화두고 떠오르고 있는 웰빙이라는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최근 1년 이내에 관광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웰빙생활태도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증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웰빙생활태도의 차이는 성별과 수입에 의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웰빙생활태도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웰빙환경, 웰빙구매, 웰빙관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소비자의 웰빙 수준과 웰빙 태도가 레스토랑의 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How Well-Being Influences Consumer Behavior and Restaurant Choice)

  • 손영진;홍기운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09-22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웰빙 트랜드에 따라 인식하는 외식 소비자의 웰빙 수준과 웰빙 태도가 레스토랑의 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외식업체들의 외식 소비자들의 웰빙에 대한 수준과 태도를 이해함으로써 향후 외식 소비자에 대한 판매 활동과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갖고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고 웰빙 수준이 외식 소비자의 태도 및 레스토랑 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웰빙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레스토랑의 선택에 대한 기준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레스토랑을 선택함에 있어서 웰빙과 관련된 메뉴 선택과 건강 및 위생측면을 강조하여 레스토랑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외식업체의 경우 이러한 소비자들의 웰빙 트랜드에 맞춰서 메뉴 개발에 있어서 웰빙 트랜드와 건강을 고려한 메뉴 개발을 수행해야 할 것이며 식자재 위생에 대해 좀 더 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웰빙 현상은 단기적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심리적 웰빙을 추구하는 개인적 웰빙이나 사회적 웰빙을 추구하는 로하스의 형태는 사회의 다양한 현상과 함께 상품을 개발함에 있어서 사회의 모든 활동과 관련해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한계점은 표본 집단의 설정이 서울지역에서만 실시하였기에 지역적 한계성과 함께 웰빙에 대한 개념적인 정의가 이루어진 다음 다양한 변수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웰빙 라이프스타일, 웰빙태도, 삶의 만족도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Well-Being Lifestyle, Well-Being Attitude, Life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박광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39-4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s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y lifestyle and attitude towards well-being on life satisfaction,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well-being lifestyle factors, well-being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against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gave a questionnaire survey to adults between the ages of 10 and 60 who lived in the Seoul, Daegu and Kyungbuk regions of South Korea. Data collected from the 285 respondents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t-tests, ANOVA, factor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lifestyle for well-being was categorized into four areas, social welfare oriented activity, u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self-esteem enhancement, and sports activity. Three of these fact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 towards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healthy lifestyle and attitude towards well-being affected people's life satisfaction.

소비자의 웰빙태도 및 웰빙상품에 대한 만족도 :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Consumer Attitude and Satisfaction with Well-being Products: A Focus on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Paradigm)

  • 남수정;유현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1-1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ell-being attitude and use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model to assess consumer satisfaction with well-being products. The consumer expectations,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scales were composed of 7 items of 5-likert scales. Consumer satisfaction with well-being products was measured with one-item-measuremen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well-being attitude consists of 4 factors. : consumption of the well-being products, pursuit of mental well-being, criticism of commercial fashion, and pursuit of harmony with natural life. 2. Well-being attitude influences the consumers' expectati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well-being products. 3. Consumer expectation for well-being products has no influence on satisfaction, but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have a high degree of influence on satisfaction.

소비가치, 웰빙태도가 웰빙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and Well-being Attitude on Well-being Oriented Behavior)

  • 박광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3-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s on well-being attitude and the effect of well-being attitude on well-being oriented behavior. This study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survey to adults between 10s and 60s who lived in Seoul, Daegu, and Kyungbuk region. Data collected from 285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tests, factor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model of the study was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results of SEM revealed positive effects of soci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on well-being attitude and positive effect of well-being attitude on well-being oriented behavior. The results of t-tests and ANOVA tes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ption values, well-being attitude, and well-being oriented behavior among marital status,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groups.

한국 디자인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소고: '웰빙'과 '심신일원론' (An Inquiry into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Design: 'Well-Being' and 'Body-Mind Monism')

  • 고영란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169-176
    • /
    • 2004
  • 최근 우리나라의 ‘웰빙’ 현상이 상품화된 웰빙의 유사 이데올로기라는 점에서는 논의의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웰빙철학의 기저에서 낚아 올릴 수 있는 한국 디자인의 문화적 컨텐츠로서의 잠재적 가치마저 간과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행복’과 ‘안녕’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 웰빙은 마음의 평안과 정신적 풍요로움을 지향함으로써 ‘심신일원론’적 라이프 스타일을 옹호하고 있다. 소비주의에 편승한 유행으로서의 웰빙의 상품미학을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유한 대안 담론으로 승화시켜 우리나라 디자인 컨텐츠의 고유모델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웰빙이라는 보편적 기호가 담지하고 있는 양질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발굴이 요청된다. ‘자연의 도’를 따르는 생활태도와 다름 아닌 웰빙은 동아시아의 탈-이원론적 사유방식의 전형인 것이다. 동아시아의 일원론적 사상과 조형의식 속에 이미 자리하고 있는 웰빙의 흔적을 역으로 추적함으로써 작금의 웰빙 현상과 심신일원론을 연결하는 계보를 좁게는 한국, 넓게는 동아시아의 문화적 전통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몸과 마음이 본디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동아시아의 일원론적 사유체계를 서구로부터 수입된 웰빙 현상의 이론적 모태로 삼을 경우, 한국의 디자인 담론이 탈-식민화 되는 단초가 마련될 전망이다. 서구 중심의 이원론적 패러다임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새로운 가치를 모색해야 하는 성찰적 근대화의 시대에 일원론적 인식에 기반하는 웰빙이 국내외 디자인계에 던져줄 잠재적 의미성에 기대를 걸어볼 일이다.

  • PDF

충북지역 대학생소비자의 웰빙태도와 웰빙상품에 대한 기대 및 만족도 (The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and Expectation-Satisfaction on Well-Being Products)

  • 김기남;최종명;유현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61-77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sumers' attitude and expectation-satisfaction on well-being products, Consumers' expectation,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scales were composed 7 items of 5-likert scales. Consumers' Satisfaction on well-being products was measured with one-item-measurement scale, The consumers' well-being attitudes were composed 4 dimensions such as (1)consuming the well-being products, (2)pursuit of mental well-being, (3)criticism about commercial fashion, (4) pursuit of harmony with natural lif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well-being attitudes were contrast with a positive attitude and negative attitude, Especially, criticism about commercial fashion was highly remarked. 2. There were statistic differences in the consumers' expectation and performance on well-being products, The Expectation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It means that consumers' high expectation on the well-being products will bring about the lower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3. Consumers' Satisfaction on the well-being products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groups by the well-being attitudes.

  • PDF

#오운완, Z세대의 헬시플레저: 사회적 비교성향과 과시적 자기애, 자존감을 중심으로 (Healthy pleasure in Zs: focused on social comparison and narcissism, self-esteem)

  • 이은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11-16
    • /
    • 2024
  • 최근, 규칙적인 운동이나 식단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고 이를 SNS에 인증하는 헬시플레저(Healthy-pleasure) 트렌드가 MZ세대에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 특성이 건강관리 인증행위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먼저 1) SNS 인증 태도와 의도 모두에 유사비교 성향과 과시적 자기애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향비교 성향은 SNS 인증 변수 모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2) 주관적 웰빙 모두에 사용자의 자존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과시적 자기애는 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사비교 성향은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유사한 사람들과의 비교는 대학생들의 건강관리 인증과 주관적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반면, 자기 존중이 아닌 자기 과시나 타인의 인정을 위한 건강관리는 오히려 그들의 주관적 웰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2030세대를 겨냥한 마케팅 시장뿐만이 아닌 MZ세대가 건강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는 미디어 및 문화 환경을 위해 적극 반영 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과 일본 소비자의 웰빙의식과 외모관리에 따른 한방화장품 태도 연구 (The Effects of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on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 이유리;정혜정
    • 복식
    • /
    • 제62권2호
    • /
    • pp.87-10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ceptual constructs of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two variables on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for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fe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and a total of 500 response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 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CFA and the reliability test on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clearly showed factorial structures on each of the variant assessments. 2) In regards to the well-being consciousness,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highly tended to perceive well-being as a benefit to the physical health and an eco-friendly lifestyle respectively. In the area of appearance management,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had similar patterns that showed high scores of skin care and weight control. Both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showed favorable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 products. 3) The consumers' well-being consciousness reveale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oth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4) As a result of MGA, the well-being consciousness had more positive impacts on Korean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than the appearance management variable when compared to the Japanese respondents. On the other hand, appearance management had more positive impacts on Japanes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than well-being consciousness when compared to the Korean respon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herbal cosmetics are crucial when targeting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urses'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Moral Sensitivity on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 조계화;김연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4호
    • /
    • pp.223-231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인간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임종간호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1개 도시의 3차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172명을 편의 표집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에는 품위 있는 죽음, 도덕적 민감성, 임종간호수행을 포함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로서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덕적 민감성, 품위 있는 죽음태도, 교육수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이 높고, 품위 있는 죽음 태도가 긍정적이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수행 정도가 높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웰빙에서 웰다잉으로 사회적 관심이 옮아가는 시대적 요구에 비추어 볼 때, 임종간호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을 배양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의료현장의 복합적인 의사결정 과정에서 간호사의 옹호자 역할 수행을 위해 의사-간호사간의 상호 역기능적 갈등을 조정하는데 필요한 효율적인 임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