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울성향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9초

노인의 스마트 폰 게임 중독 경향에 따른 뇌파 비대칭(asymmetry)와 연결성(Coherehnce)의 정량화뇌파(QEEG) 비교 분석 (Comparison of QEEG between EEG asymmetry and Coherehnce with elderly people according to smart_phone game Addiction Tendency)

  • 원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44-652
    • /
    • 2017
  • 본 논문은 노인의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 여부에 따른 뇌파 비교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즉 정량화 뇌파 결과에서 비대칭과 연결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이 뇌파와 수면 문제와 우울 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이 있는 노인1명과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 1명 총 2명이다. 참여자의 스마트폰 중독 성향은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고 뇌파분석은 정량화 뇌파분석(QEEG)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 노인의 뇌파는 개폐안시 모두 비대칭(asymmetry)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노인은 개폐안시 연결성에 있어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뇌파분석 비교를 통해 스마트폰 게임사용이 뇌의 인지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을 실시함으로써 노인성 인지장애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양상을 탐색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이야기치료 집단 프로그램이 품행장애 성향 청소년의 공격성, 우울 및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roup Narrative Therapy on Aggression,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Tendency)

  • 유성자;최연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4-135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narrative therapy on aggression,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tendency. Methods: Group narrative therapy was conducted from March 7, 2011 to May 3, 2011. The participants were 66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tendency living in D c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32) and the control group (n=34).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8-session group narrative therapy intervention. Using the SPSS/WIN 17.0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Qui-square test, t-test and ANCOVA. Results: After attending the group narrative therap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aggression, depression, and resilience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2.77, p=.006; F=2.22, p=.027; F=2.67, p=.008). Conclusion: Group narrative therapy increased resilience and decreased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group narrative therapy programs ar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school adaptation in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tendency.

칼슘섭취가 60세 전후 성인의 우울 및 불안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en the Effect of Ca Intake on Depression and Anxiety)

  • 박귀선;이경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1호
    • /
    • pp.45-52
    • /
    • 2002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correlation of serum Ca, with depression and anxiety ; and 2) the effect of Ca intake on those symptoms. The subjects were three females and two males who were 53-66 years old with the severe subjective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y have taken more than twice Ca of RDA(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daily for 6 months(dietary treatment). The prestudy Ca intake of the subjects was low: 60% of RDA for Koreans. Their serum Ca concentration was also low: 6.67 $\pm$ 0.15mg/d1 before the dietary treatment. They expressed severs depression and anxiety, with high self scores in a psychological test. Their serum Ca concentration increased to 8.32 $\pm$ 0.17mg/dl after six months of dietary treatment, while the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wo months and nearly disappeared after six months. This result seemed to be an effect of the dietary high Ca intake. Serum Ca and the psychological states of depression and anxiety correlated negatively, and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were high in the results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depression and anxiety by serum Ca. Therefore the serum Ca concentration could be a good marker to predict depression or anxiety relatively well. The continuous high Ca intake could decrease the probability of developing depression or anxiety and mitigate their symptoms because serum Ca concentration increased, while the state of depression and anxiety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Ca intake.

손자녀가 지각하는 조모/외조모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학령기 아동의 심리적 적응 (Characteristics of Paternal and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nd its Impact on School-aged Grandchildren′s Psychological Adaptation)

  • 민하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3호
    • /
    • pp.23-3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aternal and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nd their school-aged grandchildren's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5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Daegu.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paired t-test, ANOV A, Scheffe's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chool-aged children perceived that their maternal grandmothers rendered more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than their paternal grandmothers. 2. P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the grandchild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 frequency of face-to-face contact, the frequency of phone contact, and the friendship between the paternal grandmother and the mother.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the grandchild, on the other hand, varied significantly by the level of grandmother's education, the frequency of face-to-face contact, and the frequency of phone contact. 3. Perceived paternal and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had indirect impacts on grandchildren's depression, which was mediated by their mothers' parenting.

한국비행 청소년의 가정환경 및 개인내적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MILY ENVIRONMENT AND CHARACTER TRAIT AMONG DELINQUENT ADOLESCENTS IN KOREA)

  • 김헌수;김현실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57-69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청소년의 가정환경, 개인내적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청소년 비행행동의 원인요인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써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지조사법, 학생생활기록부, 소년원생활기록부 참조와 필요시 면담방법을 병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현재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재학중인 학생 청소년 1,236명과 소년원, 분류심사원에 재소중인 비행, 범죄청소년 707명을 선정하였으며 연령범위는 12세에서 18세 사이였다. 표본추출방법은 비례층화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지역(서울-지방) 및 조사기관의 유형(중학교, 고등학교, 소년원, 분류심사원)을 함께 고려하여 조사대상집단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총표집 대상자 1,943명중 불충분한 응답자 80명을 제외한 1,86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응답률은 95.9%(비행군:92.9%, 학생군:97.6%)이었다. 자료처리는 연구자와 보조연구원들이 면담, 설문지법, 학교생활기록부나 기타 소년원재원기록에서 얻은 자료를 종합검토하여 불충분한 자료는 제거한후 SAS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방법은 Chi-square 검정과 주성분 분석등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행청소년의 가정환경은 학생청소년의 가정환경보다 보다 더 역기능적이었다. 즉 비행청소년은 학생청소년에 비해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이 일관성이 적었으며 가정안정도는 낮았고 부모-자녀 관계 및 가족간의 관계도 원만하지 않았으며 가족원의 가정만족도도 낮았다. 그러나 본 조사결과에서는 비행청소년의 모친이 학생청소년의 모친보다 사회활동이 낮게 나타나 비행청소년의 모친이 학생청소년의 모친보다 사회활동이 높을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받지 못하였다. 2) 비행청소년의 성격특성은 학생청소년의 성격보다 더 부적응적이었다. 즉 비행청소년은 학생청소년에 비해 욕구좌절, 반사회적 성격양상,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 우울성향은 높은 반면 사회성향은 낮았다.

  • PDF

율동적 운동요법이 유방절제술 환자의 퇴원후 적응상태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Rhythmic Movement Therapy for Adaptation State in Mastectomy Patients)

  • 이명화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7-85
    • /
    • 1995
  •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 환자의 퇴원후 적응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율동적 운동요법은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이 유방절제술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지를 규명하기 위해 스트레스 적응모형을 사용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로 시도하였다. 1994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부산시내에 소재하는 고신대학 부속 고신의료원 일반외과 외래에서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대조군, 실험군을 선정하였고 실험군은 부산 송도 에어로빅에서 율동적 운동을 주2회 35-40분씩 6주동안 실시하여 10회 이상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율동적 운동요법을 실시하지 않았다. 자료수집은 적응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신체증상 측정도구와 관절각도지수, 신체상, 우울척도, 스트레스 지각측정도구, 사회적 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율동적 운동요법 전에 사전조사를 하고 10회가 끝난 후 사후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x^2-test$, t-test, two-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율동적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은 신체적 적응 수준에서 신체적 증상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관절각도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율동적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은 심리적 적응 수준에서 우울, 신체상, 스트레스 지각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율동적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은 사회적 적응 수준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율동적 운동요법이 매개변수인 건강통제위 종류에 따른 적응수준의 차이는 율동적 운동요법은 타인통제위 성향이 있는 군에서 우울을 더 감소시켰고 사회적 적응수준을 더 증진시켰다. 다섯째, 제 적응수준간의 상관관계에서 신체적 증상과 신체상, 신체상과 사회적 적응은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스트레스 지각정도는 사회적 적응, 우울과 신체상, 우울과 사회적 적응은 부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 PDF

전전두엽 알파(α)파·베타(β)파 비대칭과 BIS/BAS에 기초한 유아들의 정서·행동 특성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comparing Alpha wave and Beta wave Asymmetry at Prefrontal Lobe and with BIS/BAS)

  • 임현순;채명신;박병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588-2597
    • /
    • 2011
  • 우울증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적 특성이나 BIS/BAS 같은 행동성향 특성과 관련하여 전전두엽에서 뇌파 비대칭 연구는 주로 알파(${\alpha}$)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알파(${\alpha}$)파 만으로 이러한 특성을 구분하는 것에 대한 한계점이 제기 되면서 베타(${\beta}$)파와 같은 다른 밴드를 중심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만4세 유아 44명을 대상으로 전전두엽에서 뇌파를 측정하여 알파(${\alpha}$)파 비대칭성과 베타(${\beta}$)파 비대칭성을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BIS/BAS적 경향성과 비교 분석하였고, 이들 세 가지 특성을 조합하여 유아의 정서와 행동 성향을 8가지로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N의 계수해석으로 BIS적 특성은 베타(${\beta}$)파 비대칭으로, BAS적 특성은 알파(${\alpha}$)파 비대칭 특성으로 판별하는 것이 확률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정서적 특성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같이 알파(${\alpha}$)파 비대칭으로 판단하였다. 이것은 뇌 발달 과정에서 만 4세 유아의 시냅스 형성이 좌뇌가 우뇌보다 활발하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살: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조망 (Cultural Psychological Exploration on Suicide)

  • 김효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2호
    • /
    • pp.165-178
    • /
    • 2010
  • 복잡한 사회적 현상 중 하나인 자살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한국인의 자살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았다. 자살이 자살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적 행위라고 볼 때, 자살의 결행 여부, 자살의 방법 등에 대한 결정은 문화적 영향을 받는다. 왜냐하면 의사결정 과정에는 개인의 가치체계와 판단체계가 관여하는데, 이때 개인의 가치체계와 판단체계는 사회화 과정을 통해 습득되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동반 자살 중에 가족 동반 자살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 관한 한국인들의 독특한 인식 때문이다. 한국인들은 부모-자식 관계를 부모와 자식이라는 각기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존재로 인식하지 않으며 부모-자식을 하나로 여긴다. 둘째, 자살 촉발 사건에 대한 분석 결과,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대인 관계적 문제로 인한 자살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개인주의적인 성향보다는 관계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한국인의 대인 관계 형태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취약성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음주 문제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음주로 인한 문제를 가벼이 여기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다. 넷째, 남성의 경우 경제적인 문제로 인한 자살이 높게 나타난 반면, 여성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적 질환으로 인한 고통으로 자살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가족 부양에 대한 책임은 남성에게 그리고 가사 노동에 대한 책임은 여성에게 있다는 한국 문화의 독특한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 사회에서 자살을 유발하는 부정적인 정서는 서구사회와는 달라서 서양 문화권에서는 불안과 우울이 자살을 유발하는 부정적인 정서가 되지만 우리 문화권에서는 화가 자살을 유발한다.

  • PDF

운동선수에 있어 체중조절필요성에 따른 식사특성, 성격특성, 우울성향 및 기타병리의 차이에 대한 연구 (The Study for Differences of Eating Trai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d Other Psychopatology According to Need for Weight Control in Athletes)

  • 이영호;박세현;정영조
    • 정신신체의학
    • /
    • 제3권1호
    • /
    • pp.39-48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weight control in the formation of underlying pathology in eating disorder or eating related problems. The subjects were 304 college athletes(Male : 187. Female: 121)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need for weight control(Weght control group: 110, Weght non control group: 194). The authors used self report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epidemiologic data, food habit scale, eating attitude test, scale for locus of control for weight, scale for food preference and eating behavior. And we also used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of Korean standardized edition for assessmen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scale of hypochondria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ody mass index and the amount of cigarrett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but not by need for weight control. 2) Eating habit of female athletes was the worst in all athletes. The score of eating attitude test of female athlete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athlet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need for weight control. Food preference and eating related behavior was also different by sex.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scales of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scale of hypochondriasis between two groups which were divided by need for weight control. Neuroticism score was higher in female atheletes and psychoticism score was the highest in weight control male atheletes.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population with abnormal EAT score(to-tal score$\geq$26) between two groups which were divided by need for weight control. 5) The score of eating attitude tes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psychoticism and the tendency of depression in weight control male athletes but not in non-weight control male athletes. In non-weight control male athletes, the score of eating attitude tes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lie scale. so its correlation is different from those of weight control male athletes. But in female athletes, the score of eating attitude tes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psychoticism in both group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of eating traits in athletes are depend upon the sex difference, not upon the need for weight control. and that the role of weight control in eating disorder or abnormal eating attitude differs according to sex.

  • PDF

자기성장집단 상담이 우울성향 아동의 자아개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 -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Depressed Children)

  • 오명희
    •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119-13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elf-concep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depress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 total 20 children who were screened by CDI criter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N=10) and the control group(N=10).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ten week perio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as follows: 1-1 : The scores on the self-concept mea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1-2 : The post-test scores on the self-concept mea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s. 2-1 : The score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sure of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2-2 : The post-test score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higher than pre-test scores. 3-1 : The scores on CDI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3-2 : The post-test scores on CDI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lower than pre-test scor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the self-concep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su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among the self-concept measure, the score of the emotional self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econd,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cores of the self-concep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sures of the post-test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pre-test. Third, the scores on CDI measures also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interventions were functioned as for improving the self-concep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or decreasing the depressed level of childre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were ma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