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출속도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5초

Formulation of omeprazole using omeprazole-ethylenediamine complex of omeprazole for its stabilization

  • Rhee, Gye-Ju;Hwang, Sung-Joo;Oh, Sea-Jong;Park, Seong-Bae;Park, Sun-Hee;Woo, Jong-Soo;Lee, Chang-Hyu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2-132
    • /
    • 1995
  • OMPED의 결합비는 1:1 몰비로 복합체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수용액중(pH 7.0)에서 OMP는 분해속도 k=1.542$\times$$10^{-2}$$hr^{-1}$, shelf life=6.81hr 이었고 OMPED는 k=2.088$\times$$10^{-4}$$hr^{-1}$, shelf life=502.8hr이며 중성은 물론 약산성에서 안정하였다. HPMCP로 장용피한 OMPED pellet은 산저항성이 완벽하고 용출속도가 양호하였으며, OMPED 정제에서는 CAP로 코팅한 정제가 가장 큰 AUC값을 나타내었다. Witepsol H-15 기제를 사용한 각 좌제의 생체이용율은 OMPED 좌제가 86.53 $\mu\textrm{g}$ㆍmin/$m\ell$ 로서 OMP 좌제 61.9 $\mu\textrm{g}$ㆍmin/$m\ell$ 및 OMP-$\beta$-CD 좌제 68.8 $\mu\textrm{g}$ㆍmin/$m\ell$이다.

  • PDF

개시제와 교차결합제 농도의 변화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물리적 성질과 약물용출 농도의 변화 (Changes in Drug Elution Concentr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ft Contact Lenses Depending on the Initiator and Crosslinker)

  • 박현주;이현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5-151
    • /
    • 2014
  • 목적: 개시제와 교차결합제의 농도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을 변화시켜서 재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특성 및 약물의 용출량 및 속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HEMA에 개시제인 AIBN과 교차결합제인 EGDMA의 농도을 변화시켜서 콘택트렌즈를 제작하였다. 항균물질인 노플록사신(norfloxacin)은 고분자 중합 시 0.1% 농도로 단량체와 함께 혼합하였다. 재질변화에 따른 물리적 성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약물용출 농도, 함수율, 굴절률, 단백질 흡착량 등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개시제의 농도을 변화 시킨 콘택트렌즈는 함수율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굴절률의 값에도 별 변화가 없었다. 교차결합제 농도이 증가하면 함수율이 낮아지고 굴절률이 높아졌다. 약물용출의 농도를 살펴보면 개시제의 변화에 의해서는 많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함수율이 높을수록 용출되는 농도가 증가하였다. 단백질 흡착양은 개시제에 의한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함수율이 낮을수록 흡착되는 양이 증가하였다. 결론: 개시제의 농도에 대한 변화는 특성 변화에 영향력이 거의 없었으며, 교차결합제 농도에 따라서는 많은 변화를 보였다. 교차결합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함수율은 감소하며 굴절률은 증가하였다. 또한 함수율의 증가에 따라 약물이 많이 용출되었으며 단백질의 흡착량은 감소되었다.

광미/광폐석 처리를 위한 고형화 공정 실증 실험

  • 전지혜;최애정;김인수;이민희;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6-1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광미/광폐석을 처리하기 위하여 고형화 실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형화 공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MSG-E, MSG-N을 고화제로 사용하였으며 현장 광미 및 광폐석을 대상으로 고화체를 양생하고 고화체의 압축강도 및 중금속 용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화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광미/고화제 비율, 배합수/고화제 비율 그리고 고화체 양생기간을 실험인자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광미/고화제의 비율 1:1 만을 고려하더라도 중금속 용출의 급격한 감소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광미/고화제의 비율을 3:1 이하로 유지시키는 경우, 고화체의 압축강도가 현행 폐기물 관리법(20조 관련)에서 규정하고 있는 차단형 매립시설 내부막의 압축강도 기준인 $0.21kgf/mm^2$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pH를 갖는 수용액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고화체의 중금속 용출률을 측정한 결과, 수용액의 pH가 1과 13인 강산/강염기 용액에서 일부 중금속의 용출 농도가 지하수 생활용수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pH와 3 - 11인 경우에는 중금속 용출률이 급격히 감소하여 모두 기준치 이하를 나타내었다. 또한, pH가 1과 13인 수용액의 경우에도 고화체와 반응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고화체의 buffering 효과에 의해 수용액의 pH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접촉수의 pH가 강산이나 강염기라 하여도, 고화체의 buffering 효과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용액의 pH가 낮아져 고화체로부터의 중금속 용출은 매우 감소할 것임을 의미한다.ss of an active application defined using the model. The technique is developed in a platform- and language-independent way, and it is algorithmic and can be automated by computer program. We give an example dealing with network auction to illustrate the use of the model and the verification technique.품으로 내부 온도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유한차분법 프로그램으로 대류열전달계수를 결정하였다. 대류열전달계수는 792에서 2,107 W/m$^2$로 분석되었다. 대류열전달 계수는 액상식품과의 상대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고,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감소하였다.ce of precision/recall of 90.99%/92.52%, and 93.39%/93.41% respectively. 의한 변성에 부분적으로 보호 작용을 나타 낼 것으로 추정된다.경(製麴72時間頃)의 활성(活性)은 보리쌀국(麴), 밀가루국(麴), 찹쌀국(麴), 고구마국(麴)의 순이었다.험 결과 오전용 사료는 관행적인 산란계 배합사료에서 Ca공급제를 제외한 것을 급여하고, 오후용 사료는 Ca공급제를 3배 첨가한 T2처리로 15:00~16:00시에 교체급여를 하면 사료섭취량 감소와 사료비 절감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고에너지-고단백질-저Ca의 분말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펠렛사료를 혼합급여하면 산란계의 사료

  • PDF

이부프로펜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고체분산체 제조방법에 따른 물리화학적 성질 및 용출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Release Behavior of Ibuprofen Solid Dispersion with Cellulose Acetate Prepared with Various Methods)

  • 이은용;오명준;김세호;성경열;이영현;김수진;서한솔;이동원;강길선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13-118
    • /
    • 2011
  • 고체분산체는 난용성약물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 용출특성을 고분자의 성질, 고분자의 함량 및 물리화학적 성질에 의하여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부프로펜과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분무건조와 로터리 증발법을 사용하여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고체분산체의 표면성질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X선 회절기(X-RD)와 사치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결정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고체분산체의 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적외선 분광기(FTIR) 분석을 하였으며, 수분 친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분접촉각 측정을 하였다. 용출 특성은 인공정액(pH 6.8) 및 인공위액 (pH 1.2)에서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약물의 결정성은 고분자의 비율이 증가하면 결정성이 감소하였으며, 화학적 변화는 없었다. 수분 친화도는 고분자비율과 비례하였으며, 분무건조로 제조된 고체분산체의 경우가 조금 높은 수분 친화도를 가졌다. 용출실험 결과 인공위액에서는 고분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용출률이 증가하였으며, 인공장액에서의 용출속도는 고분자의 비율과 반비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Lorazepam제제(製劑)의 용출속도(溶出速度)에 미치는 인자(因子) (Some Factors Influencing the Dissolution Rate of Lorazepam Formulations)

  • 이창기;송인정;최정용;서성원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1권2호
    • /
    • pp.16-19
    • /
    • 1981
  • The effect of diluents and lubricants on the dissolution rate of lorazepam was stud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An average order of dissolution rate can be stated as; lactose> avicel> starch> kaolin. 2. The effects of lubicants is not significant generally but in the case of starch the dissolution rate is greatly effected by magnesium stearate.

  • PDF

용매침착법을 이용한 페닐부타존의 용출속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solution Rate of Phenylbutazone Deposited on Excipients by Solvent Deposition Method)

  • 용재익;손영옥
    • 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4-129
    • /
    • 1985
  • A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phenylbutazone deposited on Avicel and dibasic calcium phosphate by solvent deposition method were studied. The solvent deposition was confirm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vicel was superior to dibasic calcium phosphate as excipient in dissolution rate. Total amount of phenylbutazone dissolved from Avicel deposition system at 30minutes were enhanced 1.2-1.6 times compared with physical mixtures of them. The dissolution rate of 10% solvent deposition system was highest and that of 75% solvent deposition system was lowest in Avicel system and dibasic calcium phosphate system. Dissolution profile of commercial products was dependent on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dissolution rate of 10% Avicel system was greater than that of commercial products.

  • PDF

Acetaminophen 속용정의 제제개발 연구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etaminophen Quick-dissolving Tablets)

  • 신현종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25
    • /
    • 2000
  •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은 p-aminophenol 유도체로서 (그림 1) 두통, 치통, 신경통 등의 통증에 널리 사용되는 해열진통제인데 아스피린과 같은 정도의 해열 진통 효과를 나타내며, 이것은 중추신경계의 체온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피부혈관을 확장함으로써 열의 확산을 증가시키는 해열작용과 시상 및 대뇌피질에의 통각역치를 높여 진통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 된다. 아세트아미노펜은 백색의 결정 또는 결성성 가루로 물에 조금 녹고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잘 녹으며 수산화나트륨 시액에 녹고 에텔에는 매우 녹기 어렵다 (표1). 대한약전에서는 정제가, 미국약전에는 캅셀제, 좌제, 경구현탁액제, 발포성 건조시럽, 정제 등이 수재되어 있고, 세계 각국에서 OTC 제품으로 1정당 160mg의 츄잉정까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정제등은 붕해되어 용출되는데 오랜시간이 소요되어 대한약전에는 약 30분간에 80%이상의 용출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며, 독특한 쓴맛 때문에 microencapsulation 한 제피세립을 사용하고 있으나 역시 1 정당 300mg 이상의 확산정이나 속용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붕해속도가 빠르고 특히 진통효과가 빠르며 물없이 구강내에서 간편히 녹여 복용하거나 또는 씹어서 또는 물과 함께 복용할 수 도 있는 $\ulcorner$알카펜$\lrcorner$ 속용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림2).

  • PDF

정제(錠劑)의 과립도(顆粒度) 및 임계타정압(臨界打錠壓)이 용출속도(溶出速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Compression and Granule Size on Dissolution Rate of Acetaminophen, Fenbufen, and Mefenamic Acid Tablets)

  • 류장하;김종갑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3권4호
    • /
    • pp.191-195
    • /
    • 1983
  • Acetaminophen, fenbufen, and mefenamic acid tablets were formulated with the same additives, granulated to different sizes, ranging $30{\sim}200mesh$, and compressed by pressure of $0.5{\sim}2.0\;ton{\cdot}cm^{-2}$. The hardness and disintegration time of the three tablets were determined. The dissolution rates of the three tablets at critical point of pressur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fenbufen, and mefenamic acid tablet had critical compression pressure of $1.0\;ton{\cdot}cm^{-2}$, but acetaminophen tablet had that of $1.5\;ton{\cdot}cm^{-2}$. Neverthless, three tablets were disintegrated within 5 min. Among the three tablets, mefenamic acid tablet followed zero order of dissolution and the rate constants were as fellows; $1.68 \;mg{\cdot}min^{-1}\;(30{\sim}50mesh),\;1.76mg{\cdot} min^{-1}\;(50{\sim}80\;mesh)\;and\;4.85\;mg{\cdot}min^{-1}\;(80{\sim}200mesh)$.

  • PDF

Piperacillin Monohydrate Polymorphs의 용출속도(溶出速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Dissolution Rate of Polymorphs of Piperacillin Monohydrate)

  • 김종갑;어경남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5권4호
    • /
    • pp.186-197
    • /
    • 1985
  • Polymorphs of piperacillin monohydrate were prepared by various sedimentation methods from piperacillin bas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piperacillin preparations for oral use. Solubility and dissolution rate of each form of the polymorph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t was found that Form IV showed the highest solubility and the fastest dissolution rate among four forms of polymorphs. In general, the solubility and dissolution rate of two amorphous forms, Form IV and II were higher than those of two crystal forms, Form I and III. The apparent dissolution rates in the artificial gastric juice within 60 minutes were $0.65{\times}10^{-6}mole{\cdot}min^{-1}\;cm^{-2}$ for From IV, $0.36{\times}10^{-6}mole{\cdot}min^{-1}{\cdot}cm^{-2}$ for From II, $0.30{\times}10^{-6}mole{\cdot}min^{-1}{\cdot}cm^{-2}$ for From III and $0.18{\times}10^{-6}mole{\cdot}min^{-1}{\cdot}cm^{-2}$ for From I, respectively.

  • PDF

Sulfamerazine-Sugar Glass Dispersion의 용출속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n the Dissolution Rate of Sulfamerazine from Sugar Glass Dispersion System)

  • 구영순;성경수
    • 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2-198
    • /
    • 1990
  • Three sugar glass dispersions of sulfamerazine were prepared using dextrose, galactose and sucrose as the carriers, with the ratio of the drug to the carrier was 1:9. The chemical stability of sulfamerazine in the glass dispersion system was studied using TLC. TLC revealed no additional spot and there was good correspondence with the Sulfamerazine itself. While time required to dissolve 50%($T_{50%}$) of sulfamerazine powder was 390 min that of dextrose glass dispersion system was 1.5 min. and galactose system was 4.0 min. in distilled water. 23) $T_{50%}$ of physical mixture with dextrose, galactose and sucrose were 26.4 min., 26.5 min., and 26.0 min. respectively in distilled water. $T_{50%}$ of control was 54 min. and those of all of the glass dispersion systems were within 1 min. in 0.1N HCl. The dissolution rates of sulfamerazine from sugar glass dispersion system in distilled water was greater than that in 0.1N HC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