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모향상행동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북한이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 이인숙;양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73-284
    • /
    • 2015
  • 본 연구는 북한이탈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 및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북한이탈여성 총 2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40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심도는 5점 만점에 3.20점이며,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67점으로,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외모관리행동에서는 외모관리 하위 영역별 차이는 있으나, 연령, 성형관심도, 재북시 직업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과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모관심도는 외모관리행동,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외모관리행동은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대상자의 외모관리행동을 44.7%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인 북한이탈여성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외모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신체활동 참여 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dy Imag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 서수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87-193
    • /
    • 2022
  • 본 연구는 신체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집략 무선표집법을 사용하여 6개월 이상 신체활동에 참여한 남학생 109명, 여학생 189명, 총 298명을 표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남학생은 외모, 체력, 건강요인과 외모향상형, 여학생은 외모관리형과 대인관계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예체능 계열이 외모, 체력에서 용돈이 많은 대학생이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이미지는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신체이미지는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행동은 앞으로 행복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여자대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과 신체이미지가 외모향상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Sociocultural Influence of Appearance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인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0-82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facial management, clothing selection, and weight/figure management).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378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May $23^{rd}$ to June $10^{th}$ 2013. A SPSS 18.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nalyze data along wit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ocultural influences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media influence, peer influence, and parental influence. Overall sociocultural influ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Second, body image was divided into: appearances-management, body-satisfaction and body confidence. Sociocultural influe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body image. Third, body image positively affected overall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대학생의 성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외모향상행동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조혜란;최종명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825-83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4 college students in Cheong-ju area, Korea. Frequency, descriptive analysis, $x^2$ and t-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Mal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height but not with their weight, while female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height and weigh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ir skin color: male student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ir skin color other than female students. The body satisfaction degree of college students depended on gender: the male students showed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physical condition than the female students. Of the college student's improving-appearance behaviors such as face-lifting by plastic surgery, make-up by cosmetics and skin care, their preferable choice depended on their gender. When purchasing clothes, they considered if the clothes could cover their defects of their body line and improve their physical appearance. The levels of body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s.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이 여대생의 신체불만족과 외모향상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on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 박은정;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3호
    • /
    • pp.361-375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parental influence, media influence, peer influence) on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s(clothing selection, skin care, make-up, hair care, weight management).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562 female college students in Gwangju, Chonnam area and Chonbuk area, Korea, from May 23 to June 10, 2011. To analysis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on body enhancement behavior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Second, overall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had positive effects on body dissatisfaction. Third, the overall effects of body dissatisfaction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did not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th, the effects that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mediated body dissatisfaction appeared to be insignificant.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과 신체이미지가 외모향상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 박은정;정명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49-561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s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s (facial management, clothing selection, and weight/figure management).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562 female college students in Gwangju City, Chonnam area and Chonbuk area, Korea, from May 23 to June 10, 2011. To analyze the data, a SPSS 18.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ocultural influences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parental influence, media influence, and peer influence. Overall sociocultural influ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Second, body image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weight-concern and appearance-concern. Sociocultural influenc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body image. Third, body image appea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Body Image Management Behavior, Self Respect, the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 For Adult Males-)

  • 안채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20-631
    • /
    • 2019
  • 현대 사회에서는 남녀를 불문하고 외모관리가 중요한 사회적인 영향력과 경쟁력으로 대두되면서 외모관리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외모관리행동은 전통적으로 여성을 중심으로 받아들여지고, 거의 모든 소비시장의 주체가 여성이라는 인식이 최근까지 확산되어져 왔으나 1990년대 이후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의 변화와 여성들의 사회 진출로 인해 독립적인 성향이 강해지면서 남녀의 지위와 역할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남성들은 여성적 영역에 있어서 과거보다 긍정적인 시각과 포용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남성들도 자신의 외모를 가꾸고 자신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외모관리행동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화장품 모델에서도 남자가 등장하는가 하면 그루밍족, 노무족, 로엘족 등 연령대에 상관없이 외모에 관심을 갖는 남성 인구가 증가하고 더 나아가 직장인 남성들에게 외모는 승진이나 연봉 등 직업적 성취를 위한 경쟁력 요소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사회생활의 주체인 남성들은 호감 가는 외모와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후광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는 두 가지 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외모관리를 통하여 남성의 매력성을 증가시키며 그로 인한 스스로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 이는 업무 성취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남성 고유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사회적인 승인에 대한 의존도가 적으며 의복의 심미성을 중요시하게 되어 외모 관리행동력이 높아진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자기 자신에 대한 외모평가와 신체만족도가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연구결과 확인하였으며 대인관계형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준다고 규명하였다.

외모향상추구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Approach of Appearance-Enhancement Seeking Behavior)

  • 이수경;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70
    • /
    • 2006
  • This study has analyzed females' motives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related to appearance-enhancement seeking behavior(weight control practice and cosmetic surgery).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11 females who had experienced weight control practices and cosmetic surgery in June 2001. There is social standard in ideal body image. One perceive a physical idea and own body through society(mass media, reference group), others and clothing, and recognize the ideal body and internalize the social standard as own worth. The discrepancies between ideal body image internalized as standards of own worth and real body image became a setup for body dissatisfaction. Increasing in body dissatisfaction, rejection of own body grow, furthermore body is perceived with distortion. In order to remove a negative body image and to reach ideal body image, appearance-enhancement seeking behavior such as weight control and cosmetic surgery is made. By appearance enhancing, one come to closer to ideal image of which one pursuit oneself. Therefore body satisfaction feeling increase, self·esteem rise, manner of life and character change to with affirmation. Otherwise, strengthening of appearance-concern and of appearance enhancement seeking desire ha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bulimia and cosmetic surgery addiction. Also, the standard of beauty in appearance rise by degrees, and that produces motives of appearance-enhancement seeking behavior.

성인비만여성의 체중조절행동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arel Shopping Behavior of Obese Women in Relation to Interest in Weight Control)

  • 최영순;권순기
    • 복식
    • /
    • 제51권7호
    • /
    • pp.135-145
    • /
    • 2001
  • 현대사회에서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현수단으로 하는 대중매체의 등장으로 자기 신체에 대한 미의식이 고조되어 있으며 체형의 불균형으로 인한 신체적 불만족을 보상하기 위해 여성복은 이미 여성의 신체를 사회적 이상에 맞게 수단으로 이용되어 과거 어떤 시기보다도 신체이미지를 바꾸기 위해 옷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비만체형의 소비자들은 자신의 외모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복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들에게 잘 맞는 의복을 선택할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류시장에서 소외되어온 비만 체형 소비자를 대상으로 첫째. 체중조절행동과 의복쇼핑행동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쇼핑행동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조절 행동에 따른 쇼핑행동 요인과의 관계에서 다이어트 경험의 유무, 자기지각체형, 체중조절 관심정도, 체중조절 동기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쇼핑행동의 차이를 파악해 본 결과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업, 가계수입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관련업계에 잠재된 중요한 여성복 시장임을 인식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함과 아울러 침체된 패션산업의 새로운 틈새시장으로서의 여성복 시장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자기에 대한 타인 평가 인식이 셀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희망자기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Reflected Appraisals on Selfi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d-for Self)

  • 김현숙;윤남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063-1074
    • /
    • 2021
  • Selfie behavior, the act of taking a picture of oneself and distributing it on social media,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Researching how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a social context and express hoped-for self through selfies is essential for studying consumers in the digital 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reflected appraisals on selfie expectations and selfie behaviors.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hoped-for self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flected appraisals and selfie expectations was tested. A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above the age of 20 who have engaged in selfie behavior in the past month. A total of 495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 panel of online survey firm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AMOS 21.0 and bootstrap analysis by SPSS Macro process Model 4 and 7. Results indicated that reflected appraisals influenced selfie behavior, which was fully mediated by selfie expectations. Furthermore, the effect of reflected appraisals on selfie behavior was moderated by hoped-for self. The results will serve as a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expectations in which selfie behavior is formed in a social context and can be applied in psychotherapy and marketing in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