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북한이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련성

  • 이인숙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
  • 양윤미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 Received : 2015.06.08
  • Accepted : 2015.07.23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baseline data by exploring the self-esteem and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5 from 201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1)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2.40 in 4 points, and the mean of the appearance concern was 3.20 in 5 points. And the mean of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2.67 in 5 points. Subjects had a lot of make-up and clothes behaviors. However exercise, food intake behaviors of subjects were lowerer than averag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lf-esteem, the appearance concern and general charateristeics(e.g age, intent weight loss,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I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and job in North Korea.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self-esteem and the appearance concer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ge, intent weight control as well as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In the appearance concern, it showed a correlation with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ge, intent weight control as well as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I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age, intent weight control and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4) 44.7% of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explained: self-esteem, the appearance concern.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utilization of developing programs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본 연구는 북한이탈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 및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북한이탈여성 총 2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40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심도는 5점 만점에 3.20점이며,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67점으로,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외모관리행동에서는 외모관리 하위 영역별 차이는 있으나, 연령, 성형관심도, 재북시 직업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과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모관심도는 외모관리행동,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외모관리행동은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대상자의 외모관리행동을 44.7%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인 북한이탈여성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외모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S. D. Hayes, P. R. Croker, and K. C. Kowalski,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Self- perception, Global Self-eateem in Physical Activity: Evaluation of the Physical Self-Perception Profile Model," Journal of Sport Behavior, Vol.22, No.1, pp.1-13, 1990.
  2. A. Richter and N. Ridout, "Self-esteem moderates affective reactions to briefly presented emotional fac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45, No.3, pp.328-331, 2011. https://doi.org/10.1016/j.jrp.2011.02.008
  3. I. H. Mischner, H T. van Schie, and R. C. Engels, "Breaking the circle: challenging Western sociocultural norms for appearance influences young women's attention to appearance-related media," Body Image, Jun, Vol.10, No.3, pp.316-325, 2013. doi: 10.1016/j.bodyim.2013.02.005. Epub 2013 Mar 21.
  4. S. Fernandez and M. Pritchard,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media influence and drive for thinness," Eating behavior, Dec, Vol.13, No.4, pp.321-325, 2012. doi: 10.1016/j.eatbeh.2012.05.004. Epub. Jun 26.
  5. R. Korichi, D. Pelle-de-Queral, G. Gazano, and A. Aubert, "Relation between facial morphology, personality and the functions of facial make-up in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Aug, Vol.33, No.4, pp.338-45, 2011. doi: 10.1111/j.1468-2494.2010.00632.x. Epub 2011 Feb 1.
  6. L. Myerson, Somatopsychology of Physical Disability, In Cruickshank(Ed), Psychology of Exceptional Children and Youth,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NJ., 1971.
  7. 이시원, 이승희, "공적.사적 자기의식에 따른 바디이미지와 외모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학술대회논문집, Vol.107, 2004.
  8. 장향미, 외모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 황윤정, 유태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제34권, 제11호, pp.1923-1932, 2010. https://doi.org/10.5850/JKSCT.2010.34.11.1923
  10.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1440
  11. 이인숙, 박호란, 박현정, 박영혜, "북한 이탈 어머니들의 자녀양육행동과 양육효능감, 적응스트레스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360-368, 2010.
  12. 설진배, 송은희, "북한이탈여성의 자존감과 경제적 적응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화학연구, 제14권, 제4호, pp.291-314, 2013.
  13. 조영아, 김연희, "초기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고위험군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3호, pp.509-527, 2010.
  14. 이인숙, 양윤미,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301-31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301
  15. 전병제, "자아 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 논총, 제11권, pp.107-124, 1974.
  16. http://www.129.go.kr/news/news02_view.jsp?n=8051
  17. 조기여, 황윤정, "한국의 성형문화, 어떻게 볼것인가? ; 외모관심도,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에 따른 미용성형행동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pp.8-9, 2007.
  18. 강명주, "결혼이민자 여성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메이크업 행동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13, 2014.
  19. S. Daniali, L. Azadbakht, and F. Mostafavi, "Relationship between body satisfaction with self esteem and unhealthy body weight management,"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Vol.31 No.2, p.29, 2013. doi: 10.4103/2277-9531.115804. eCollection
  20. 김정숙, "중.노년여성의 피부 건강관리 관련 요인과 실천행위," 뷰티산업연구, 제1권, 제2호, pp.135-152, 2006.
  21. S. B. Kaiser,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2nd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7.
  22. 이경숙, "성인 여성의 외모관심도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예술학회지, 제1권, 제2호, pp.109-117, 2007.
  23. 홍수남, "한국 거주 중국 여성의 외모관심도가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11권, 제3호, pp.585-591, 2013.
  24. 유해숙, 외모관심도 및 외모관리행동이 미용성형수술에 미치는 영향, 초당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5. G. M. Tina, B. H. Donald, P. S. Laura, K. S. Jennifer, A. K. Dvid, and K. J. Francis, "Stress buffering effects of dauly spiusal support on women's daily emotional and physical experiences in the contest nacner conerns," Health Psycology, Vol.20, No.10, pp.20-30, 2011.
  26. 조선영, 황승민, "중년여성의 실제연령과 지각연령의 차이가 외모관리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11권, 제6호, pp.1137-1146, 2013.
  27. 현원정, 직장여성의 외적이미지가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메이크업, 헤어, 패션을 중심으로, 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8. I. M. Javo and T. Sorlie, "Psychosocial predictors of an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among young Norwegian women: a population-based study," Plastic Surgical Nursing, Jul-Sep, Vol.30, No.3, pp.180-186, 2010, doi: 10.1097/PRS.0b013e3181bcf290.
  29. N. A. Rudd and S. J. Lennin,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ant behaviors in College Wome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18, No.3, pp.152-162, 2000. https://doi.org/10.1177/0887302X0001800304
  30. V. Swami, C. S. Hwang, and J. Jung,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es of the acceptance of cos metic surgery scale among South Korean univer sity students," Aesthetic Surgery Journal, Feb. Vol.32, No.2, pp.220-229, 2012. doi: 10.1177/1090820X11431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