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Perception on Quality Service of Social Welfare in Public Sector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인식하는 공공복지서비스 질의 수준 분석

  • 황성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 이재완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10.02
  • Accepted : 2015.10.26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actical measures to provide a better welfare services in public sector through analyzing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bout the quality service of public welfare that social welfare officials perceive personally. The questionnaire has been conducted among 401 social welfare officials with 5 factors: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empathy and assurances. With the results, the age was the most conspicuous difference in five factors of quality service in general.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 appears lower level as the official works close to community members. Additionally, the analysis shows that social welfare officials have relatively low perception about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empathy. The official in charge of social welfare needs to have a neighborhood-centered value orientation, and be a social worker and official in the field of substantive welfare. Ther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 to suggest some directions of social welfare transition and basic delivery system by identifying their understanding.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스스로가 인식하는 공공복지서비스 질 수준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더 나은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401명을 대상으로 복지서비스 질 5개 구성요소인 유형성(Tangibles), 신뢰성(Reliability), 대응성(Responsiveness), 공감성(Empathy), 보증성(Assurances)의 각 항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복지서비스 질의 수준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연령에 따라 가장 큰 편차를 보여 주었고 주민과 가까운 일선 현장(시도> 시군구> 읍면동)일수록 복지서비스의 질 수준이 낮아졌다. 또한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에 대해 다소 낮은 인식수준을 나타냈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주민중심의 가치 지향적이고, 실천적인 복지현장의 사회복지사이자 공무원이다. 본 연구는 이들의 인식수준을 통하여 공공복지의 변화방향과 근본적인 전달체계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행정자치부, 자치단체 사회복지담당공무원 확충 시행지침, 2014.
  2. 황선영, 박경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적 특성, 직무환경특성, 전문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0권, pp.339-369, 2007.
  3. 박미선,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소진에 관한 연구 : 자기존중감, 통제 위치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집, pp.153-176, 2008.
  4. 선수경,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사회복지담당공무원 노동조건실태조사 내부보고서, 2013.
  6.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사회복지인력의 소진실태와 대책, 2013.
  7. 이철주, 한승주, "관료제 구조와 사회복지업무 속성의 충돌, 그리고 재량행위의 왜곡," 정부학 연구, 제20권, 제1호, pp.75-118, 2014.
  8. 김소정, "동사무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 딜레마," 사회복지연구, 제46권, 제1호, pp.315-342, 2015.
  9. 윤기찬, "서브퍼프(SERVPERF)를 이용한 사회복지서비스의 질 측정 및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행정논총, 제42권, 제4호, pp.133-162, 2004.
  10. 박경일, 권진아,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구성차원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 Q방법론의 적용,"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2호, pp.333-357, 2009.
  11. 임동호, "아동복지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특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 아시아아동복지연구, 제7권, 제2호, pp.1-15, 2009.
  12. 임우현, 정성일, 채현탁,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 및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요양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6권, pp.263-286, 2009.
  13. 김만준, 김재일, "사회복지서비스 시설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5권, 제1호, pp.193-211, 2013.
  14. 박미경, 초의수, "여성복지서비스 기관의 서비스 질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의 인식비교," 사회복지정책, 제40권, 제1호, pp.95-119, 2013.
  15. 이용재, 김장환, "조직 내 의사소통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9집, pp.31-51, 2014.
  16. 황보람, 이진열, 김영진, 최은미, "자활서비스 질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희망의 매개 효과," 사회복지정책, 제42권, 제1호, pp.265-292, 2015.
  17. 신현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직에 대한 태도가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8. 배효숙, 박은주, 박병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빈곤에 대한 태도와 서비스 질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9권, 제1호, pp.119-144, 2007.
  19. 윤정혜, 안정선, 전선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서비스 질에 관한 실증연구: 내부 서비스 질, 직무만족,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집, pp.79-114, 2011.
  20. 사회보장위원회, 제9차 사회보장위원회 회의자료, 2014.
  21. 고수정, "공.사부문 사회복지 전문인력의 직무만족 결정요인 비교분석," 한국행정논집, 제18권, 제2호, pp.473-494, 2006.
  22. 남일재, 문영주, 오주,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경기: 정민사, 2011.
  23. A. Parasuaman, V. A. Zeithmal, and L. L. Berry, "Problems and Strategies in Services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Vol.49, No.2, pp.33-46, 1985. https://doi.org/10.2307/1251563
  24. 오현주, 임병우,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보상체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9집, pp.187-209, 2014.
  25. 우양호, 홍미영, "공공서비스 질 측정의 타당성 평가에 관한 연구: SERVPERF 모형의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행정논집, 제16권, 제3호, pp.647-671, 2004.
  26. A. Parasuaman, V. A. Zeithmal, and L. L. Berry,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 Vol.64, No.1, pp.12-40, 1988.
  27. J. Joseph Cornin, Jr. and A. Taylor Steven,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Vol.56, No.3, pp.55-68, 1992. https://doi.org/10.2307/1252296
  28. 윤일현, 사회복지사의 직무행동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의 매개 및 조절효과, 광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9. 김이배,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직렬통합 논의의 쟁점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3호, pp.147-179, 2014.
  30. 김융일, 조흥식, 김연옥,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나남출판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