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래부문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미국 외래환자 진료시설의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Approach of Ambulatory Care Facilities in the U.S.A.)

  • 박재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61-67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ambulatory care facilities, to classify the types of ambulatory care facilities, to examine significant architectural case studies, and to point the way toward enhanced architectural solutions for healthier ambulatory health care service environments for the patients. The case study will provide a brief introduction to the selected cases and examine planning concepts and design factors.

  • PDF

일개 종합병원의 외래환자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to Satisfaction of Out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 김영종;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7-18
    • /
    • 2012
  • 본 연구는 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들의 불만족요인과 만족요인들을 조사하여 보다 높은 고객만족 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에 소재하는 일개의 종합병원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2011년 10월 24일 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44부를 통계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행정지원부문의 특성 중 전반적 만족도와 타인추천 의향에 대하여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접수 수납 절차의 신속 간편성인 편리성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실 외래 진료대기실의 쾌적성도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객지향적 병원경영시스템을 구축 운영한다면 병원의 경쟁력은 향상되고 병원의 지속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며 고객만족경영이라는 경영목표도 달성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치과대학병원 외래진료부문의 공간배치특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Spatial Distribution at Dental College Hospital O. P. D)

  • 이희진;이특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53-60
    • /
    • 2006
  • The medicine development and upwardly raised standard of living brings out the increased dental needs at dental hospital OPD. The dental college hospital, follows up the raised dental needs, was subdivided by specialized dental office. And now a specialized dental office needs co-work with the other specialized dental office for special dental illness and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oper area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each specialized dental office and relationship between dental office, clinic and other department by analyzing the space, area and characteristics of dental hospital OPD. The results could be used for helping its users, of patients and dentists.

  • PDF

최근에 건립된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부문배치개념과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partment Layout of the Current Korean General Hospitals)

  • 박혁수;양내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권5호
    • /
    • pp.67-78
    • /
    • 1997
  • Recently, hospital architecture is in the transition period which faces a great change. Patients' demands on medical services have been changing and hospitals have been feeling the need to innovate their facilitie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upcoming challenges in the field such as global competition, market opening, etc. In addition, every hospitals requires the creative and novel desig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concept to deal with various circumstances. Accordingly, various space arrangements are proposed against the past unified hospital type.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sider and evaluate the prospects of hospital architecture by analyzing the space allocation type of representative hospitals which are being recently constructed in Korea.

  • PDF

종합병원 외래진료부문 정신건강의학과의 공간구성 및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and Spatial Composition of Outpatient Department of Psychiatry in General Hospital)

  • 문하늬;노재성;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7-26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psychiatry, were analyzed disease characteristics and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 illness. Thus, this aims to provide a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efficient spatial composition of psychiatry.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bservation surveys, interviews. Results : Psychiatry is aware of the need to respond to the current needs of ambulatory space, there are concerns that the spatial configuration for your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studies conducted are as follows: 1) Specialty care programs and space needs based on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disease 2)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layout of essential space and other departments 3) Spatial composition and furnishings for characteristic of psychiatry 4) Spatial configur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patient's characteristic. Implications : This study looked at the change of social change and the environment related to psychiatry. Grasp the present state of spatial composition in psychiatry. And the us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guardians were investigated. Meanwhile, studies of psychiatric outpatient department is still lacking. As a result, its significance is to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requirements.

일개 종합병원 고객관리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customer management analysis model for one General Hospital)

  • 김영종;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82-4089
    • /
    • 2012
  • 본 연구는 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들의 불만족요인과 만족요인들을 조사하여 보다 높은 고객만족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에 소재하는 일개의 종합병원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2011년 10월 24일 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44부를 통계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행정지원부문의 특성 중 전반적 만족도와 타인추천 의향에 대하여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접수 수납 절차의 신속 간편성인 편리성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실 외래 진료대기실의 쾌적성도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객지향적 병원경영시스템을 구축 운영한다면 병원의 경쟁력은 향상되고 병원의 지속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며 고객만족경영이라는 경영목표도 달성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방안 (Enhancing the Client Satisfaction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Services)

  • 김유호;이주호;류상일;이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33-240
    • /
    • 2009
  • 본 연구는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통해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병원행정 서비스를 행정직원 서비스, 의료직원 서비스, 시설 서비스, 제도적 서비스로 구분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행정직원 서비스 부문에서는 고객에 대한 진료비 내역의 자세한 설명, 환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한 신속한 업무처리와 부서간의 원활한 업무협조가 요구된다. 둘째, 의료직원 서 비스 부문에서는 진료 예약 시간의 정확성 확보를 위해 진료 절차의 단순화와 외래 진료 개시 및 퇴원 수속 완료 시각을 조기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시설 서비스 부문에서는 고객을 위한 편의 시설과 휴식공간의 마련, 주차시설의 확충 및 식단 개편 등이 요구된다. 넷째, 제도적 서비스 부문에서는 진료수가의 정확한 공개 및 서비스 효율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DEA를 이용한 종합병원의 효율성 평가 (Efficiency Evaluation of General Hospitals using DEA)

  • 박병상;이용균;김윤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99-312
    • /
    • 2009
  • 병원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과 달리 공익성을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면이 강하다. 하지만, 변화하는 의료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경영혁신이 필요하다. 병원의 경영혁신에서 핵심적인 내용은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병원 내부적으로 비효율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병원의 효율성 평가는 민간부문에서 활용되고 있는 평가방식을 적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DEA 기법을 이용하여 종합병원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500병상이상 수련병원 74개를 대상으로 2006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투입변수는 병상수, 의사수, 간호사수, 의료기사수, 인건비, 관리비, 재료비를 산출변수는 연외래환자수, 연입원환자수, 수술건수, 입원 및 외래 수익을 사용하였다. 또한 병원의 설립형태, 소재지, 설립년, 병원유형에 관해서 효율성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외래진료부문 정신건강의학과 이용자 행태 관찰 연구 (A Study on the User Behavior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Psychiatry)

  • 이현지;이해경;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45-5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s to deriv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ppear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psychiatry. Methods: By referencing John Zeisel's Tools for environment-behavior research, observation of user behavior and expert interviews as a method of the study has been carried ou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jacent placement among children, youth and regular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psychiatry is necessary and easy access to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and family medicine department is required in order to allow cooperated treatments. Second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psychiatry treatment, adjustment of space requirement or the change of kinds of necessary space is required. Third,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illness and guardians, various search for the environment that can support this. Implications: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space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need to be followed by further study using various perspectives an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