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hancing the Client Satisfaction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Services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방안

  • Published : 2009.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to enhance client satisfaction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services.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we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with classifying hospital administration services into administrative staff service, medical staff service, facility service, and institutional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services. First, in administrative staff service, detailed explanations should be provided about the items of medical bills, and patients' waiting time should be reduced through fast processing and smooth cooperation among departments. Second, in medical staff service, the process of medical service should be simplified for the accurate observance of appointment schedules, and the time to start outpatient service and the time to complete the discharge process should be earlier than now. Third, in facility service, convenient facilities and resting places should be prepared, parking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and menus should be improved for clients. Fourth, in institutional service, detailed medical service costs contents should be disclosed and plans should be made for the efficiency of services.

본 연구는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통해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병원행정 서비스를 행정직원 서비스, 의료직원 서비스, 시설 서비스, 제도적 서비스로 구분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행정직원 서비스 부문에서는 고객에 대한 진료비 내역의 자세한 설명, 환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한 신속한 업무처리와 부서간의 원활한 업무협조가 요구된다. 둘째, 의료직원 서 비스 부문에서는 진료 예약 시간의 정확성 확보를 위해 진료 절차의 단순화와 외래 진료 개시 및 퇴원 수속 완료 시각을 조기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시설 서비스 부문에서는 고객을 위한 편의 시설과 휴식공간의 마련, 주차시설의 확충 및 식단 개편 등이 요구된다. 넷째, 제도적 서비스 부문에서는 진료수가의 정확한 공개 및 서비스 효율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경, 병원조직내 구성원간의 갈등에 관한 경험적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2. 문종필, 병원 서비스에 대한 환자 만족도 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 이종익, 병원행정론, 법문사, 1983.
  4. Simon and A. Herbert, Administrative Behavior, 2nd ed, New York: Macmillan, 1957.
  5. White and D. Leonard,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4th ed, New York: Macmillan, 1955.
  6. 윤성욱, 김수배, "고객지향성과 서비스제공 전.중.후 대기유형이 의료서비스품질평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소비자학연구, 제17권, 제4호, pp.171-192, 2006.
  7. 김수배, 설상철, "병원의 편의지향성이 고객의 편의성과 성과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제10권, 제2호, pp.1-22, 2005.
  8. 설상철, 김수배, "의료서비스 품질, 재이용 의도, 구전효과 사이의 인과관계 모형 연구: 종합전문병원과 전문병원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17권, 제4호, 통권45호, pp.1485-1512, 2004.
  9. 서정희, "의료서비스에 관한 소비자만족과 소비자불만호소: 울산시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33권, 제2호, pp.29-41, 1995.
  10. 조해창, 의료 서어비스 질의 향상 방안에 관한연구 : B병원을 중심으로,. 경상대 석사학위논문, 1990.
  11. R. Andersen Alan, "A Taxanomy of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Measure", Journal of Consumer Affair, No II, 1972.
  12. J. Willams, "Patient Judgment of Hospital Quality," Med cares, pp.45-46, 1996.

Cited by

  1.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n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Medical Services by the Qualified Recipients of Medical Aid(focusing on the perio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elected medical center system) vol.12, pp.3,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3.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