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라인 수업만족도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3초

코로나19로 인한 두경부 해부학 수강생의 온라인 수업 만족도와 학습몰입도에 관한 연구 -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Commitment of Head and Neck Anatomy Students Due to Corona 19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최다예;홍민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68-175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진행된 두경부 해부학 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온라인 수업에서 더 좋은 교육 효과를 얻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두경부 해부학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치위생학과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시간과 온라인 강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수업 이해도와 학업성취도를 주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온라인 강의의 학습몰입도, 온라인 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학업 성취도가 증가할수록 학습 몰입도가 증가하였으며, 과제 시간이 줄어들수록 학습 몰입도가 증가하였다. 수업이해도가 높아질수록 온라인 수업 만족도가 증가하였으며, 과제 시간이 증가할수록 온라인 수업 만족도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해부학 분야의 새로운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그 방향을 비추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간호학생의 만족도 조사 (A Study on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 김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411-41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Blended learning 수업에서 간호학생의 만족도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학특론 I (1)' 과목을 수강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42부 중 122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는 오프라인 수업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온라인 수업, Blended learning 수업 만족도 순이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고 오프라인 수업 만족도는 주관적 성적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Blended learning 수업 중 온라인 수업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학생들은 기술지원 및 시스템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Blended learning 수업 방안과 Blended learning에 대한 대학의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수업에서 시간적 기대 효익, 학습효과 기대 효익, 기술적 친숙도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 COVID-19, the Effect of Expected benefit of Time, Expected benefit of Learning, and Technology Familiarity in Online Class on Class Satisfaction)

  • 유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57-263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비대면 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는 전북과 충북에 소재한 치기공과 재학생의 208부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적 통계, 평균분석(t-test,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시간적 기대 효익은 3.87, 학습효과 기대 효익은 3.30, 기술 친숙도는 3.40, 수업만족도는 3.21로 나타났다. 수업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술적 친숙도이었다. 온라인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업에 활용되는 학습 도구의 활용능력과 온라인 수업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친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환경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일개 의과대학의 온라인 수업 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ult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t a Medical School)

  • 김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47-557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일개 의과대학의 2020학년도 1학기 온라인 수업 만족도를 평가하여 분석 결과 및 온라인 수업 구성 원칙에 따라 수업 환경을 개선하였고, 2학기 수업을 재평가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온라인 수업 평가를 위해 온라인 수업 플랫폼 이용, 학생 참여도, 수업 방식, 수업 내용, 학생 평가, 수업 지원 등의 영역에 대한 만족도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고, 1학기에는 학생 223명과 교수 37명, 2학기에는 학생 218명과 교수 49명이 연구대상자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및 두 종속 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수업 플랫폼, 수업 방식, 수업 내용, 수업 지원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개선 후 전체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생 참여도와 학생 평가 만족도는 개선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 학습시기별 결과를 비교한 결과, 기초 및 임상의학시기 학생들의 만족도는 부정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본격적으로 학습량이 증가하는 학습시기로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예비의학시기 및 임상실습시기 학생들의 만족도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국 의과대학의 온라인 수업 개선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온라인 수업에서 선호수업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Learn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Class Type in the Online Class)

  • 김경아;김지심;안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595-596
    • /
    • 2020
  • 2020학년도 1학기는 외부 환경 요인으로 인해 대학교육시스템에 큰 변화가 발생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실습기반 교과목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들에게 온라인 수업이지만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수업 방식을 온라인 수업에 활용하여 대면 수업 수준의 실재감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강의 동영상 수업과 상호작용을 포함한 실시간 수업을 혼합하여 수업한 후 설문 조사를 통해 실시간 수업을 선호하는 학습자들이 수업목표인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타 학습자들보다 잘 습득하여 수업 만족도가 높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수업에서 실시간 수업이 능동적인 학습자들에게는 대면 수업과 동등한 수준의 학습 효과가 있었음을 조사·분석하였다.

  • PDF

온라인 영어강좌에 대한 대학생들의 수업만족도 분석연구: 초등예비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Online Courses between Primary & Secondary Teachers' University: Focused on the English-Related Subjects)

  • 이승복;윤택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86-39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과 일반대학 사범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며 집단 간 만족도 항목에 따른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온라인 영어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학기에 온라인 영어 과목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 54명과 일반대학 사범대 재학생 5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가 활용되었으며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5개 항목 50문항의 설문이 제작되어 배포되었다. 수업 만족도의 하부요인은 학습 내용/운영, 학습결과,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통계적 유의수준을 .05%로 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을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어 수업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과 일반대학 사범대 재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 전체 만족도는 일반대학의 평균값이 교육대학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두 집단 간 수업만족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하위요인 5개 가운데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면에 있어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온라인 수업 만족도 및 사용 의도에 미치는 요인들 연구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and Intention to Use Online Learning)

  • 엄남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3-211
    • /
    • 2022
  •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성장했으며, 온라인 교육은 미래 교육을 지배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 만족도 및 온라인 수업 사용 행동 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간적 요인으로 자기효능감, 시스템 요인들로 인지된 사회적 실재감 및 인지된 교수 실재감의 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에는 수업에서 추가 점수를 받은 조건으로 236명의 학생들이 온라인 서베이에 참여했다. 연구결과, 사회적 실재감과 교수 실재감이 높은 사람들은 사회적 실재감과 교수 실재감이 낮은 사람들보다 온라인 수업 만족 및 온라인 수업 행동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자기 효능감이 낮은 사람들보다 더 높은 온라인 수업 만족 및 온라인 수업 행동 의도를 보인다는 결과를 밝혀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의 만족도 및 온라인 교육 사용 의도를 높이는데 있어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코로나-19로 인한 방사선(학)과 재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of Radiology Students due to COVID-19)

  • 강연희;박철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5-43
    • /
    • 2022
  • 본 연구는 부산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 방사선(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학제에서는 4년제 대학 재학생의 만족도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학습 참여 만족도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p<0.05). 학년별 수업 만족도는 4학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학습 참여 만족도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p<0.01, p<0.05). 강의 과목수에 따른 만족도 조사에서는 4~7개의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의 점수가 학습 참여 만족도를 제외하고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p<0.05). 교수자와의 소통 방법에서는 이메일을 사용한 학생들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강의 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하위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식은 녹화수업과 유튜브 등 외부콘텐츠를 이용한 수업이 많았고,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묻는 질문에는 반복적 수업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 장점이라 답변한 학생이 많았다. 온라인 수업의 단점을 묻는 질문에는 집중력저하와 교수자와의 소통 부족이라고 답변한 학생이 많았다. 본 연구는 앞으로 늘어날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양질의 온라인 수업이 더 많이 제작되기를 기대한다.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 만족도와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력 분석 (Analysi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its Effect on Learners' Core Competencies at the Digital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 이현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81-38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신산업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온라인 교육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하고,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너지신산업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결과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 설계 및 개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 질 관리 환류 체계를 마련하고, 지속적인 교육과정 질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비교 연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 강의평가 사례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Learner Satisfaction according to Instructional Mode -Case Analysis of Lecture Evaluation of the Same Course by the Same Instructor)

  • 최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78-7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설계 및 교수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 자료를 얻기 위하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에 대한 서로 다른 수업 유형의 강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콘텐츠 수업, 온라인 실시간 수업, 온라인과 대면 혼합 수업, 대면 수업 등 4가지 수업 유형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강의 진행 적절성에 대한 강의 평가 영역에서 수업 유형별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온라인 실시간 수업 유형에서의 강의 진행에 대한 만족도가 콘텐츠 수업, 혼합 수업, 대면 수업의 만족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서술형 강의 평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콘텐츠 수업에서는 쉽게 이해 가능하고 재미있는 설명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경우, 학생들은 철저한 준비와 원활한 소통에 만족한다고 평가하였다. 혼합 수업에서는 체계적 수업과 열정적 강의에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대면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의 즐거움과 교수자의 열정을 만족도의 주된 이유로 표현하였다. 네 가지 수업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만족도 특성은 교수자의 열정이라고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각각의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설계와 교수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