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Online Courses between Primary & Secondary Teachers' University: Focused on the English-Related Subjects

온라인 영어강좌에 대한 대학생들의 수업만족도 분석연구: 초등예비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비교

  • 이승복 (춘천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
  • 윤택남 (춘천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 Received : 2020.10.06
  • Accepted : 2020.11.01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enrolled in between a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college, and to identify any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class satisfaction factor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of 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4 primary teachers' college students and 50 secondary teacher's college ones, respectively. A survey consisted of 5 categories including class contents, instruction results, class environment, instructional supports and efficiency. To analyze data,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administerd using Jamovi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the overall class satisfaction, even though the mean score from the secondary teachers' colleg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imary teachers' college stude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ass satisfaction's sub categories: class environment, instructional supports and efficienc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과 일반대학 사범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며 집단 간 만족도 항목에 따른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온라인 영어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학기에 온라인 영어 과목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 54명과 일반대학 사범대 재학생 5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가 활용되었으며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5개 항목 50문항의 설문이 제작되어 배포되었다. 수업 만족도의 하부요인은 학습 내용/운영, 학습결과,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통계적 유의수준을 .05%로 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을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어 수업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과 일반대학 사범대 재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 전체 만족도는 일반대학의 평균값이 교육대학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두 집단 간 수업만족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하위요인 5개 가운데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면에 있어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Ⅰ. 서론

20세기 후반부터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한 컴퓨터기반 정보통신기술(ICT)은 수백 년 동안 지속되어온 전통적 개념의 학교 교육과정 운영 체제 모형을 뿌리째 변화시키고 있다. 1960년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에서 라틴어, 화학, 음악, 기초수학 등의 교양과목을 지도하기 위해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PLATO (Programmed Logic for Automatic Teaching Operations) Project가 실행된 이후, 1990년대 들어 획기적으로 발전한 www (World Wide Web)로 상징되는 ICT 기반 기술은 급기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교육과정 운영을 꿈이 아닌 현실로 바꾸어 놓고 있다. 특히, 최근 2010년대 들어 미국 Stanford University에서 실행하기 시작한 Udacity, Coursera, 그리고 Harvard University와 MIT가 공동 운영하고 있는 edX는 이제 초등학교에서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학교교육 전반에 걸쳐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상상하지 못했던 온라인 대중수업(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을 우리의 일상으로 끌어들인 촉발제가 되었다.

2020년 현재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서 MOOC의 활용은 매우 제한적이고 소극적이지만, COVID-19로 불리는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 대유행 (pandemic)은 MOOC와 같은 온라인 강좌 운영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킬 뿐만 아니라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초등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의 경우도 지난 10여 년 이상에 걸쳐 일반 종합대학과 마찬가지로 학습관리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을 도입하여 온라인을 통하여 제한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나, 코로나바이러스 창궐로 인한 우리 사회상황의 급격한 변화는 이제 온라인 강의를 눈 깜짝할 사이 교육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바꾸어 놓았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를 수용하고 그 변화에 맞는 교육 내용 및 교수 방법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유능한 초등교사 양성 방안 모색을 위해 본 연구자들은 우선 현재 느슨하게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 강좌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는 실행 시기 측면에서 교육대학보다 다소 앞서 있는 일반 종합대학의 영어 교과 관련 온라인 강좌에 대한 재학생들의 반응과 교육대학 학생들의 반응을 비교하면서 온라인을 통한 영어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질문을 다루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을 통한 영어 관련 수업의 만족도(학습내용 및 운영, 학습 결과, 수업환경, 학습지원, 수업효과성 등)에서 교육대학 재학생과 일반 일반대학사범대 재학생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본 질문에 대한 답은 비대면 교육 활동이 이제는 더 이상 거부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고, MOOC 또한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선택 아닌 필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사회변화에 속에서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자로서 교육대학 및 일반대학의 영어교과 교수자(instructors)들이 이들의 교육과정 운영에 충분히 응용할 수 있는 비록 작지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Ⅱ. 이론적 배경

1. 온라인 학습의 개념과 특징

온라인 학습(online learning)이란 테크놀로지 기반환경에서 교수-학습이 진행되고 지원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닝(e-learning), 원거리학습(remote learning), 가상학습(virtual learning), 원격학습(distance learning), 사이버학습(cyber learning)과 같은 용어와 비슷한 의미를 지니며 최근에는 인터넷뿐만 아니라 모바일 (mobile)을 통해 학습 목표를 달성하고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교수 방법을 말한다[1-3]. 온라인 학습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언제든지(anytime)’, ‘어디든지(anywhere)’, ‘누구나(anyone)’ 사용할 수 있는 교육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학습자들의 편의성을 고려하고 다양한 기기와 도구를 활용해 대면 대체학습 실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4]. 특히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학습은 초창기 온라인 학습체제와 달리 교육을 혁신하고 교수-학습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2020년 현재 온라인 교육의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1) 녹화된 강의 재생, 2) 실시간 화상 강의, 3) 강의자료 업로드, 4) 과제 제출 등이 대부분 활용되고 있다. 아래 [표 1]은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온라인 교육의 주요 플랫폼들을 소개한 것으로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는 온라인 상에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고 받아들이며 동시에 상호 간 의견 교환과 토의, 토론을 통하여 능동적인 학습을 가능케 하고 있다.

표 1. 온라인 학습 도구와 플랫폼

CCTHCV_2021_v21n2_386_t0001.png 이미지

이러한 ICT 기술의 발달은 과거와 달리 역동적이면서도 다양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표 2]에서 요약한 것처럼 학습의 질 제고와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되어 시도되고 있다.

표 2. 온라인 학습 형태 비교

CCTHCV_2021_v21n2_386_t0002.png 이미지

온라인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우선 온라인 교육의 쌍방향성과 상호작용의 긍정적 효과를 밝힌 연구가 있다[5-8]. 이러한 연구들은 온라인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교류하고 손쉬운 공유를 통하여 정보습득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온라인 학습의 장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온라인 학습의 편의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사용자 편의성과 휴대성, 그리고 학습자의 필요와 요구에 맞춘 학습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기도 하였다[9][10].

물론 온라인 학습의 단점과 제한점을 꼽은 사례도 있었으며 인프라 부족과 교사의 온라인 학습에 대한 인식 전환 및 교사 (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아울러 몇몇 연구들은 대면 수업과 달리 학습자의 책임감과 자율성 확보를 위한 노력은 온라인 학습이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지적하기도 하였다[11][12].

2. 수업만족도의 정의와 특징

만족도라는 것은 한 개인이 느끼는 긍정적이며 편안한 정서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각 개인의 기대치와 요구에 따른 판단을 일컫는 것으로 개인별 만족도의 기준과 단계는 서로 상이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수업에 대한 것을 수업 만족도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수업 만족도는 수업에서 계획한 주요 목표를 성취하였다고 느끼며 효율적으로 정서적으로나 상호적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고 수업상황에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13]. 또한 수업만족도를 느낀다는 것은 학습자가 자신의 지적·인지적 욕구와 기대에 부응하여 계속적인 학습을 이루어 나가고 싶은 바람과 함께 수업에 대한 신뢰감이 연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14]. 일반적으로 수업의 목표는 새로운 지식, 기술, 정보, 태도와 행동 양식의 습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수업은 이러한 목표가 원활하게 달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가령 학업성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습자들의 정의적 및 인지적 요인들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만족도 높은 학습을 위해 학습자의 특성 및 교과목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해내는 것도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수업 만족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학습동기와의 밀접한 관련성을 알 수 있다. 가령 높은 수업 만족도는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을 지속하게 하는 동기부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움을 제공한다[15]. 뿐만 아니라 학습태도를 고취하여 학습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몰입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16-18]. 이처럼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물론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와 같은 정의적 특성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온라인 수업 만족도 선행연구

온라인 수업 만족도는 위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수업만족도와 유사한 개념이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정서적, 주관적 반응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시말해 전통적인 교실 기반의 대면 수업과 달리 온라인학습 플랫폼을 통해 수업을 받으며 교실기반의 수업과 동일한 교육적 효과 내지 학습 성취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온라인 학습의 개념과 특징에서 밝힌 바와 같이 현재 온라인 교육의 단점과 제한점을 뛰어 넘으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통적 수업방식과 같은 교육 효과와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한 사례들을 소개되고 있다[19-22]. 그 가운데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23]이라는 연구는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다음 [표 3]과 같이 제시하였다.

표 3. 온라인수업 만족 요인

CCTHCV_2021_v21n2_386_t0003.png 이미지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0년 1학기 온라인 영어강좌를 수강하는 강원도 소재 C 교육대학교 학부생(54명)과 4년제 K 대학교 사범대 학부생(50명) 10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표집(sampling)은 집단의 성격을 개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비확률적 표집 방법 가운데 우연적 표집1(accidental sampling) 방식을 채택하여 대상을 선정하였다. 참여한 138명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과 기입 누락 및 중복적인 내용 반복이 포함된 34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나머지 104명을 유효 표본으로 삼았다. 아래 [표 4]는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기본 정보이다.

표 4. 실험참여자의 기본 정보

CCTHCV_2021_v21n2_386_t0004.png 이미지

실험에 앞서 참여한 두 집단의 분산이 같은지 다른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하는 Levene의 동질성 검정과 비모수 통계방법인 Mann-Whitney U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 5]에서 나타나듯이 Homogeneity 공분산이 0.05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동질성 검정 결과 U 통계값은 124.000이고 유의확률은. 113으로 유의수준 p<.05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이질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6].

표 5. 집단 간 Levene의 동질성 검사결과

CCTHCV_2021_v21n2_386_t0010.png 이미지

표 6. 집단 간 Mann-Whitney U 검사결과

CCTHCV_2021_v21n2_386_t0011.png 이미지

2. 연구도구

연구 참여자들의 온라인 영어 학습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지가 제작되어 배포되었다. 설문 문항은 다음 [표 7]과 같이 총 5항목 50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유사한 선행 연구인 [24-27] 수업만족도 연구사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제작하였다.

표 7. 설문지의 구성과 항목구분 하위항목

CCTHCV_2021_v21n2_386_t0005.png 이미지

설문 문항은 1-5 likert scale(1: 전혀 아니다, 5: 매우 그렇다)로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 내용과 운영, 학습결과, 수업환경과 지원, 그리고 영어강좌에 대한 효과에 대한 응답으로 구성되었다. 문항의 신뢰도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으며 검사 결과 평균. 712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2020년 1학기에 대학 영어 과목을 온라인으로 수강한 재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대학영어는 대학생의 영어 능력향상을 위해 필수적으로 수강해야 하는 과목으로 읽기, 쓰기와 말하기, 듣기 능력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 대학의 온라인 기반 영어 수업은 동일한 교수자에의해 매주 2시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교수-학습방법과 교재 모두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업은 교내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인 E-Class를 통하여 매 차시 녹화(asynchronous)된 강의 영상을 탑재하는 것으로 진행되었으며 토론과 질의응답, 과제 및 평가 모두 E-Class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실시되었다. 교수자는 효과적인 강의 전달과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하여 강의 영상 외에 관련 정보와 참고자료를 제공하였다. 수업이 종료된 후 수업 만족도 설문지가 온라인으로 배포하였으며 배포 전 설문내용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4. 자료수집 및 분석

배포 후 수집된 설문 결과는 Jamovi 통계 프로그램2을 이용하여 양적으로 분석되었다(유의수준 p<.05). 우선, 두 집단의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수업 만족도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descriptiv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이어 수업 만족도 하위 영역(학습 내용/운영, 학습 결과, 수업환경, 학습지원 및 효과성)에 대한 양 집단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wo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집단별 수업 만족도 분석

온라인 영어 수업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과 일반대학 사범대 재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 전체 만족도는 아래 [표 8]에서 나타나듯이 일반대학 (M=4.02)의 평균값이 교육대학(M=3.82)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집단별 기술통계값(Group Descriptives)

CCTHCV_2021_v21n2_386_t0006.png 이미지

다만 두 집단 간 수업 만족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결과 t값은 1.72이고 유의확률은 0.085로서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다음 [표 9]는 집단 간 t 검정 값을 측정 결과이다.

표 9. 집단별 독립표본 t 값(Independent Samples T-Test)

CCTHCV_2021_v21n2_386_t0007.png 이미지

CCTHCV_2021_v21n2_38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집단 간 수업 만족도 평균값 비교

2. 집단별 수업 만족도 하위요인 분석

집단별 전반적인 수업 만족도 비교 분석에 이어 세부 하위 항목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학습 내용과 운영에 관한 만족도는 교육대학 평균 3.75, 일반대학 3.87로 근사하게 나타났다. 학습 결과에 대한 만족도 역시 3.79(교육대학), 3.73(일반대학) 로서 두 집단 모두 비슷한 응답을 보였다. 다만 수업환경과 학습지원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반대학 참여자들의 평균이 4.25인 반면, 교육대학 참여자들의 평균은 3.95에 그쳤다. 또한 학습지원면에 있어 일반대학 참여자들의 평균값이 약 0.3점가량 높은 4.04를 보였다. 온라인 영어교육의 효과에 있어서도 일반대학 참여자들의 만족도가 교육대학에 비해 0.34 가량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 [표 10] 은 수업만족도 하위요인별 기술통계값이다.

표 10. 수업 만족도 하위요인 기술통계값(Group Descriptives)

위에서 나타난 것처럼 수업 만족도 5개의 하위요인 가운데 학습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제외하고 일반대학 참여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교육대학 재학생에 비해 비슷하거나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2. 수업 만족도 하위요인 Plots

다음은 이러한 하위요인에 있어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앞서 [표 9]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 집단 간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값(p>.05)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다음 [표 11]에서 드러나듯이 하위요인 5개 가운데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영어능력신장)면에 있어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11. 수업 만족도 하위요인 독립표본 t 값(Independent Samples T-Test)

그러나 학습 내용 및 운영, 수업 결과 만족도면에 있어서는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두 집단 간 하위 요인 면에 있어 동일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과 일반대학 사범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비교·분석하며 집단 간 만족도 항목에 따른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것이다. 수업 만족도의 하부요인은 학습 내용/운영, 학습 결과,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통계적 유의수준을 .05%로 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을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어 수업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과 일반대학 재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 전체만족도는 일반대학(M=4.02)의 평균값이 교육대학 (M=3.82)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두 집단 간 수업 만족도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정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는 않았다.

비록 두 집단 사이에 수업 만족도 전체 평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일반종합대학 재학생들의 평균이 교육대학 재학생들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 이유는 일반종합대학이 교육대학보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ICT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강의 제공을 몇 년 앞서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그동안 온라인강좌 운영을 위한 노하우와 체제가 자리를 잡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육대학 입장에선 2020년 초반까지 다소 익숙하지 않고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던 온라인을 통한 원격수업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생긴 급격한 사회 변화에 순응하기 위해 선택의 여지없이 의무적으로 실행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온라인 강의에 대한 일반종합대학 재학생들의 반응과 비교하여 교육대학 학생들의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사하다는 사실은 현재 교육대학교에서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을 통한 원격수업이 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수업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하위요인 5개 가운데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영어능력신장)면에 있어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학습 내용 및 운영, 수업결과 만족도면에 있어서는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수업환경, 학습지원, 교육 효과 측면에서 일반종합대학의 평균값이 교육대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정도로 높게 나타난 결과는 눈여겨볼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바로 앞부분에서 간략하게 언급하였듯이, 일반종합대학이 교육대학보다 온라인 강의 제공에 대한 대학 차원의 지원을 몇 년 앞서 더 강력하게 받은 사실을 고려할 때 이들 세 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당연한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육부와 대학본부 차원에서 범지구적 사회변화를 반영하여 대학의 온라인을 통한 원격수업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재정적 지원을 뒷받침한다면 온라인 강좌의 교육적 효과와 수강생들의 만족도는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2. 제언

코로나 사태로 유발된 교육 현장은 기존 전통적 교실에서 온라인 비대면 중심의 플랫폼으로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온라인 중심의 교수 방법이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하게 전달되고 그 효과를 성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한다. 우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수업환경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가 책임감과 자율성을 토대로 학습에 대한 적극적 참여와 몰입을 할수 있도록 충분한 학습자료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수 있다. 끝으로 온라인 기반의 수업의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의 체계적 구성뿐만 아니라 학습 결과 및 평가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와 관련한 추후 연구와 교육 과정의 개편 또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References

  1. 배성근, "e-Learning 활성화를 통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교육청, 2005.
  2. L. Gillbert and D. R. Moore, "Building interactivity into web courses: tools for social and instructional interaction," Educational Technology, Vol.38, No.3, pp.29-35, 1998.
  3. M. G. Alzahrani, "The Effect of Using Online Discussion Forums on Students' Learning,"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TOJET, Vol.16, No.1, pp.164-176, 2017.
  4. H. Choi and M. Choi,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seeking for improvement way about cyber instruction in university," The Journal of Sciences and Arts, Vol.7, pp.1-23, 2006.
  5. 김혜정, "EFL 학습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대학온라인 강의의 효율성 연구,"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제6권, 제3호, pp.225-231, 2020. https://doi.org/10.17703/JCCT.2020.6.3.225
  6. 서구원, "온라인 강의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이버교육연구, 제5권, 제2호, pp.159-178, 2011.
  7. J. A. Gray and M. DiLoreto, "The effects of student engagement,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Leadership Preparation, Vol.11, No.1, pp.1-40, 2016.
  8. R. Bates and S. Khasawneh, "Self-efficacy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use of online learning system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3, No.1, pp.175-191, 2007. https://doi.org/10.1016/j.chb.2004.04.004
  9. 정은아, "대학 교양강좌로서 온라인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 탐색-온.오프라인 창의성 강의 효과 비교: 과제가치, 몰입, 강의만족,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9권, 제3호, pp.29-61, 2008.
  10. T. Nguyen,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Bey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future horizons,"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Vol.11, No.2, pp.309-319, 2015.
  11. 강현화, 김미경, 김혜경, "사이버강의에 대한 재학생의 요구 및 만족도 조사," 학생생활연구, 제8권, pp.71-105, 2003.
  12. 김수진, "온라인 스페인어 교육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교수실재감 강화전략," 중남미연구, 제38권, 제3호, pp.69-98, 2019.
  13. 최자경, 대학생의 교양체육에 대한 인식과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4. 김홍선, 중.고등학생의 체육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3.
  15. P. N. Chou, "Effect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n online learning outcomes: Two exploratory experiments in electronic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2, No.6, pp.172-179, 2012.
  16. 김미은, 김민정, 오예인, 정수연,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 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7호, pp.519-541, 2020.
  17. B. Landrum, J. Bannister, G. Garza, and S. Rhame, "A Class of One: Students'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Vol.1, pp.1-7, 2020.
  18. E. Lin and C. H. Lin, "The Effect of Teacher Student Interaction on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n Online Tutoring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ical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22, No.2, pp.19-22, 2015.
  19. B. Means, Y. Toyama, R. Murphy, and M. Baki, "The effectiveness of online and blended learning: A meta-analysis of the empirical literature," Teachers College Record, Vol.115, No.3, pp.1-47, 2013.
  20. T. I. Han, "The Effects of Flipped-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21, No.6, pp.665-673, 2017. https://doi.org/10.14352/jkaie.21.6.665
  21. Y. Bentley, H. Selassie, and A. Shegunshi, "Design and Evaluation of Student-focused eLearning,"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Vol.10, No.1, pp.1-12, 2012.
  22. Y. M. Jeon and J. S. Cho,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o the interaction type on e-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18, No.1, pp.131-141, 2017. https://doi.org/10.7472/jksii.2017.18.1.131
  23. 이쌍철, 김정아,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36권, 제2호, pp.115-138, 2018
  24. 교육부, 2020년 1학기 원격수업 운영 만족도 조사, 2020. https://forms.gle/cneQ8hK4g3G2ipKd9
  25. 상지대학교, 온라인강의 만족도 조사, https://caam.sangji.ac.kr/main/mainPage.do, 2020.
  2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대학이러닝지원센터 온라인 강의 콘텐츠 운영에 대한 만족도 설문, http://www.kocw.net/home/survey2.do, 2015.
  27. 한양대학교, 온라인 영어전용강좌 학습자 설문 조사, http://research.joongang.com/survey.php?act=v&id=09-9-228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