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엽위치

Search Result 31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Variation of Leaf Form of Rare Endemic Berchemia berchemiaefolia Populations (희귀수종(稀貴樹種) 망개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엽형변이(葉型變異))

  • Song, Jeong-Ho;Lee, Jung-Joo;Kang, Kyu-Suk;Hur, Seong-D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7 no.4
    • /
    • pp.431-436
    • /
    • 2008
  • 7 populations of rare endemic Berchemia berchemiaefolia were analys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for 9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ographic variation to support a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plan of B. berchemiaefolia in Korea.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nine characters of leaf were 10.25 cm (blade length), 4.10 cm (maximum width), 2.52 (blade length/maximum width), 3.22 cm (upper 1/3 width), 3.42 cm (lower 1/3 width), 0.95 (upper 1/3 width/lower 1/3 width), 1.24 cm (petiole length), 8.91 (blade length/petiole length), 8.16ea (vein number), respectively. Nested anova showed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as well a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in all 9 quantitative characters. In 7 of 9 characters, variance component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among populations. Cluster analysis using complete linkage method showed two groups (Chungbuk and Gyeongbuk districts) to Euclidean distance 1.2. Among principal components, primary 3 principal components appeared to be major variables because of the loading contribution of 87.3%. The first contribution was blade length, blade length/maximum width and blade length/petiole length; the second one was maximum width, upper 1/3 width and lower 1/3 width; the third one was petiole length, respectively.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National control points (효율적인 국가기준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TOA 방식을 이용한 기준점 모니터링 -)

  • 이재원;조흥묵;유수엽;이석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51-555
    • /
    • 2004
  • 본 연구는 건설교통기술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국가기준점의 관리 및 위치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표지석 개발' 과제에 관한 연구내용 및 결과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주 내용은 2차 년도 연구에서 수행한 TOA(Time Of Arrive) 방식을 적용한 전자표지석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가기준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기준점의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기준점의 위치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준점의 현황을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기준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였고, 편리한 기준점 위치파악을 위하여 TOA(Time Of Arrive) 방식을 적용한 전자표지석의 설계 및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준점 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시제품을 개발하였다.

  • PDF

Inhabitation Environments and Growth Conditions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Pyonsanbando (변산반도내 꽝꽝나무군락의 서식환경 및 생육실태)

  • 박종민;서병수;임성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2
    • /
    • pp.118-128
    • /
    • 1999
  • 우리 나라 남서부에 위치한 변산반도내에 자생하고 있는 꽝꽝나무군락지의 천이에 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식환경 및 생육실태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꽝꽝나무군락의 분포면적은 270m2로성목 123그루와 치수 약 170그루가 자라고 있다. 꽝꽝나무군락지 내부에는 총 21과 31속 30종 6변종 1품종(총 37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꽝꽝나무 성목의 평균 수고는 1.0m, 평균 수관폭은 동서 방향 112.3cm 남북 방향 91.3cm이었다. 꽝꽝나무의 평균 엽길이는 10.2mm, 평균 엽폭은 6.9mm, 평균 엽병길이는 1.7mm 평균엽면적은 0.47$\textrm{cm}^2$로서 좀꽝꽝나무로 표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꽝꽝나무 성목은 모두 개화하였으며 꽃은 모두 암꽃이었다.

  • PDF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Sensor Fusion (센서융합을 이용한 이동로봇의 자율주행)

  • Shin, Seonwoong;Oh, Seyeop;Yoo, Dongsang;Moon, Hyeonjoon;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867-868
    • /
    • 2013
  • 본 논문은 물류창고와 같은 실내 공간에서 RFID와 초음파 센서등을 이용하여 이동로봇이 자율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관리자가 지정한 목표 물체를 인식하여 간단한 업무를 보조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내공간엔 RFID를 지면과 목표물체에 설치하고 로봇은 RFID의 리더기와 물체 접근시 활용이 가능한 추가적 센서를 갖춤으로써 이동시 자기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물체로부터도 고유정보를 얻는다. 초음파 센서 신호의 귀환시간을 활용하여 근접한 물체와의 상대 거리를 추출하고 바닥의 RFID로부터 이미 획득한 자기 위치를 조합하여 목표 물체의 절대 위치를 구한다. 이는 이동 로봇을 중심으로 한 경로지도를 실시간으로 작성하며 동시에 실내의 이동 가능 구조 및 목표 물체의 파악이 가능하여 이동로봇의 자율적 탐색을 위한 최적 경로 계획 수립에 활용 가능하다.

Variation of leaf morphology among 18 populations of Zelkova serrata Mak. (느티나무 18개 집단의 엽 형질 변이)

  • Kim, In-Sik;Kwon, Hae-Yun;Ryu, Keun-Ok;Choi, Hyung-Soon
    •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 /
    • v.42 no.1
    • /
    • pp.40-4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genetic variation on leaf characteristics of Zelkova serrata populations. Leaf samples were obtained from eighteen populations and fourteen leaf characteristics such as leaf blade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etc. were measured. In all leaf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and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 Most variance of leaf characteristics was contributed to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 except for length from leaf base to maximum width (x3) and the ratio of x3 to leaf blade length (x10). The relatively high variations of leaf characteristics were found at Gurye, Jungeup and Gyungju populations while Youngwol, Cheongsong, Youngchun populations showed the lower variation. There was high correlation among leaf characteristics related to leaf size, but not among the variables of ratio between leaf characteristics. Length from leaf base to maximum width(x3) and the ratio of x3 to x10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atitude and altitude of populations, which reflect the differences of mean annual temperature among populations. Mean annual rainfall of population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f blade length, leaf width, length from apex to first serration and leaf area. Four principal components (PC) were deduced fro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ich explain the 88.5% of total variance of leaf characteristics. Leaf area, length from leaf base to maximum width, serration number and petiole length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PC1, PC2, PC3, PC4, respectively.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the populations of Z. serrat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reflect the difference of mean annual temperature between groups. Within group, however, specific tendency of clustering was not observed among populattions.

A Study of Cylindrical Linear Induction Motor with Open Slit (오픈 슬릿을 가진 선형 유도 전동기의 특성연구)

  • Yoo, Soo-Yeub;Kang, Myung-B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c
    • /
    • pp.331-333
    • /
    • 2001
  • 원통 모양의 선형 유도 전동기를 구성하고 코일의 밖에 위치한 코일에 전류가 유도되며 이때 코일의 축방향과 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힘이 유도되며, 이때 힘의 특성이 유도 전동기의 특성을 지님을 밝혀 내었다. 이 힘은 두 코일의 축이 어긋나서 생기는 힘과, 드라이브 코일의 open slit의 정도에 따라 다른 것을 밝혔다.

  • PDF

Theoretical Analyses of Particle Deposition in a Five-lobe Compartment Human Lung Model (5-엽(葉) 인체 폐 모델에서의 흡입입자 침전해석)

  • 구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45-246
    • /
    • 2000
  • 공기중의 오염 입자가 인체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는 흡입된 입자 (inhaled particles) 중에서 얼마나 많은 양이 폐 (lung)에 침전되는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정상 및 비정상 (diseased) 폐에서, 흡입된 입자의 침전 위치와 침전양 (deposition site and dose)은 입자의 크기와 호흡 양식(breathing pattern)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이런 차이는 흡입오염입자 (inhaled pollutant particles)에 의한 건강 위험도 평가 (health risk assessment) 및 흡입용 약물 (inhaled drug aerosols)의 치료효과(therapeutic effects) 평가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중략)

  • PDF

우렁쉥이 배발생 과정에서 유도신호와 중배엽 형성 위치

  • 김길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75-276
    • /
    • 2003
  • 인간과 같은 척삭동물문에 속하는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유생은 척추동물의 체제를 매우 단순화시킨 구조를 하고 있다 (Nishida, 1997). 유생은 약 10여종의 세포들로 구성되며, 미부 중앙에 척삭과 그 위에 신경관의 원형 (prototype)을 갖는다. 모든 배(embryo)들은 초기 발생과정에서 언제나 동일한 세포분열과 발생운명 양식을 나타낸다. 또한, 해부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정란으로부터 초기 원장배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하나의 할구만을 분리, 제거 및 재결합하는 등의 micromanipulation실험이 가능하다. (중략)

  • PDF

Effect of Leaf Maturity on Physico -chemical Properties of Leaf Tobacco (담배 잎의 성숙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 이철환;진정의;한철수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1 no.2
    • /
    • pp.200-206
    • /
    • 1996
  • Experiment was conducted to get the information abou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ue-cured tobacco on the degree of maturity cultivated in paddy-upland rotated field, and compared to upland ones. For the samples of this experiment, 3~4 leaves at each stalk position were harvested from the bottom of plan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ured leaves were determined from the samples collected at weekly intervals, and of obtained from 4 stalk positions. For the degree of maturity, harvested leaves were separated with visual characters into four classes such as immature, mature, ripe, and mellow. Regardless of stalk position, the order of shrinkage rate with length and width of leaves was mellow> immature> ripe> mature, and ripe leaves from paddy field showed higher shrinkage rate than those of upland. Nicotine and total nitrogen contents were decreased with the degree of maturity while reducing sugar content were showed a reverse tendency. Ripe leaves from paddy field had lower reducing sugar contents, comparing with upland tobacco. Filling capacity of cured leaves from paddy field was decreased with degree of maturit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upland and paddy tobacco. Shatter index was increased in the oeder of immature > mellow > mature > ripe. Chemical components of cigarette smoke from paddy field tobacco were little higher in $CO_2$ total particulate matter and tar contents, while combustibility was little lower than that of upland tobacco. It was also evaluated that paddy field tobacco was unfavorable for the non-volatile organic and higher fatty acids contents comparing with upland tobacco.

  • PDF

핵연료 봉의 Fretting Wear어 대한 열수력학적 원인 분석

  • 김상녕;정성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496-501
    • /
    • 1998
  • 최근 국내의 PWR 발전소에서는 유체유발진동에 의한 핵연료의 Fretting Wear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Baffle Jetting이나 그 밖의 요인도 있을 수 있으나 핵연료의 장주기화, 높은 열적여유도등의 설계요건을 만족하기 위한 노심 내의 유동조건 변화에 기인한다. 특히 고리 2호기에서 발생한 핵연료 손상 중 15%정도가 유체유발진동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손상 핵연료의 노심내 위치, 부위, 유동조건 등으로 부터 유체유발진동의 주요 손상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핵연료 집합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체유발진동 메카니즘의 특징과 유동조건, 손상 핵연료의 노심내 위치, 파손 부위, 집합체와 지지격자의 기하학적 형태를 고려한 유동 방향 등을 연관 분석 결과 파손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을 단일 집합체 내에서 발생되는 Vortex Shedding과 인접한 집합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Fluidelastic Instability의 중복효과로 규명하였다 또한 최근 핵연료 설계에 도입된 Mixing Vane의 효과가 과도하여 핵연료 손상을 일으키는 가설을 정립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