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riation of Leaf Form of Rare Endemic Berchemia berchemiaefolia Populations

희귀수종(稀貴樹種) 망개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엽형변이(葉型變異)

  • Song, Jeong-Ho (Divis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Lee, Jung-Joo (Divis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Kang, Kyu-Suk (Divis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Hur, Seong-Doo (Divis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송정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이정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강규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허성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Received : 2008.06.27
  • Accepted : 2008.07.17
  • Published : 2008.09.29

Abstract

7 populations of rare endemic Berchemia berchemiaefolia were analys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for 9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ographic variation to support a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plan of B. berchemiaefolia in Korea.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nine characters of leaf were 10.25 cm (blade length), 4.10 cm (maximum width), 2.52 (blade length/maximum width), 3.22 cm (upper 1/3 width), 3.42 cm (lower 1/3 width), 0.95 (upper 1/3 width/lower 1/3 width), 1.24 cm (petiole length), 8.91 (blade length/petiole length), 8.16ea (vein number), respectively. Nested anova showed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as well a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in all 9 quantitative characters. In 7 of 9 characters, variance component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among populations. Cluster analysis using complete linkage method showed two groups (Chungbuk and Gyeongbuk districts) to Euclidean distance 1.2. Among principal components, primary 3 principal components appeared to be major variables because of the loading contribution of 87.3%. The first contribution was blade length, blade length/maximum width and blade length/petiole length; the second one was maximum width, upper 1/3 width and lower 1/3 width; the third one was petiole length, respectively.

희귀수종 망개나무의 유전자원 보존 전략 수립을 위해 7개 집단의 지리적 위치에 따른 엽의 9가지 형태적 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하고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생장은 엽신장 10.25 cm, 최대엽폭 4.10 cm, 엽신장/최대엽폭 2.52, 상1/3폭 3.22 cm, 하1/3폭 3.42 cm, 상1/3폭/하1/3폭 0.95, 엽병길이 1.24 cm, 엽신장/엽병길이 8.91, 엽맥수 8.16개로 나타났다. Nested 분산분석 결과 9가지 양적특성들 모두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형질들은 총 분산 가운데 집단내 개체 간 차지하는 비율이 집단간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9가지 양적특성들에 대한 집단간 유연관계는 거리지수 1.2에서 크게 2개의 그룹(충북과 경북지역)으로 나뉘었으며, 유집군의 유형은 제3주성분까지가 전체 변이의 87.3%를 설명하였다. 제1주성분의 기여율은 51.1%로 엽신장, 엽신장/최대엽폭 및 엽신장/엽병길이, 제2주성분의 기여율은 23.1%로 최대엽폭, 상1/3폭 및 하1/3폭, 제3성분은 13.1%로 엽병길이 인자가 망개나무 엽 특성 분류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영, 김흥식, 김영설, 박완근. 2006. 희귀식물 꼬리진 달래의 형태적 변이. 한국임학회지 95(1): 55-59.
  2. 김영중, 김기철, 이병실, 이갑연, 조경진, 강진택, 김태동. 2005. 노각나무 6개 천연집단의 엽형질 변이. 한국임학회지 94(6): 446-452.
  3. 송정호, 구영본, 한심희, 양병훈, 박형순. 2006. 산딸나무(Cornus kousa) 풍매차대의 발아, 생장 및 엽형 변이. 한국임학회지 95(3): 261-267.
  4. 송정호, 박문한, 문흥규, 한상억, 이재선. 2000. 굴참나무 천연집단의 엽형 변이. 한국임학회지 89(5): 666-676.
  5. 안영상, 김세현, 정헌관, 장용석, 최영철, 오광인. 2002. 음나무 천연집단의 엽형질 변이. 한국임학회지 91(6): 755-764.
  6. 이석우, 김선창, 김원우, 한상돈, 임경빈. 1997. 희귀수종모감주나무 자생집단의 잎의 형태적 특성, 식생특성 및 유전변이. 한국임학회지 86(2): 167-176.
  7. 이영로. 1996.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p. 473.
  8. 이창복. 1979. 망개나무의 분포와 이의 보존을 위한 조사. 식물분류학회지 9(1, 2): 1-6.
  9. 임경빈. 1993. 천연기념물 -식물편-. 대원사. pp. 542.
  10. 임목육종연구소. 1996. 임목의 유전자원 보존. 임목육종연구소. pp. 145.
  11. 산림청과 임업연구원. 1997.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 -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도서출판 생명의 나무. pp. 140.
  12. Crawford, D.J. 1990. Plant Molecular Systematics. Macromolecular Approaches.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388.
  13. Huxley A. (Ed.). 1992. The New royal Horticultural Society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Reference Ltd., New York, USA.
  14. Kim, S.H. Jang, Y.S. Chung, H.G. Park, H.S. and Cho, K.J. 2003.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rbus commixta Hedl. selected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5): 488-486.
  15. SAS Institute Inc., 1996.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12 SAS Institute., USA.
  16. Caver, S. Navarro, C. and Lowe, A.J. 2004. Targeting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widespread species: a case study of Cedrela odorata 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7: 285-294. https://doi.org/10.1016/j.foreco.2004.05.019
  17. Goodall-Copestake, W.P. Hollingsworth, M.L. Hollingsworth, P.M. Jenkins, G.I. and Collin, E. 2005. Molecular markers and ex situ conservation of the European elms (Ulmus spp.). Biological Conservation 122: 537-546. https://doi.org/10.1016/j.biocon.2004.09.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