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Forest Recreation Functions through Quantification Method II

수량화II류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의 평가

  • Kim, Hyun-Sik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8.07.01
  • Accepted : 2008.07.23
  • Published : 2008.09.29

Abstract

This study has intended to evaluate the forest recreation functions to seek methods to designate the recreational areas inside a recreation forest. This study has Mt. Chung-ok in Korea as a study area to which Quantification method II as a valuation measure was applied. This study also has chosen a degree of recreational utility as an external criterion and six factors including Forest type, Forest age, Slope, Riparian area, Road, and Facility for the 173 stands in this area. As a result, absolute discriminated success rate was obtain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stimated correlation ratios were 82% and 74%, respectively. Road and Slope had great influences on the potential power of recreational functions. In the category, recreational function was more influenced by the existence of road and the lower degree of slope. Also, this study has drawn an evaluation map, which displayed the potential power of recreational functions by classifying three discrimination points such as H(High), M(Medium), and L(Low) through calculating the degree of recreational utility of the recreation forest for the stands by applying an estimation formula of recreational function in the stands. This study seems to be worthwhile in terms of actual, experimental, and intuitive interpretation for the degree of recreational utility calculated by using Quantification method theory.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 내에서 휴양지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산림휴양기능의 평가를 시도하였다. 청옥산 자연휴양림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표준지 173개 소반을 추출하여 수량화II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외적기준은 산림휴양 효용의 정도를 전문가로부터 부여받았고, 설명변수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대상지의 산림휴양자원을 고려하여 임상, 임령, 경사, 수변, 도로, 시설의 6인자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절대판별적중률은 제 1 2상관비 축에서 각각 82%, 75%로서 예측 가능한 판별 정도(精度)를 얻었다. 요인으로서는 도로와 경사가 산림휴양기능의 잠재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카테고리에 있어서는 도로가 있는 것이, 경사는 낮을수록 산림휴양기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옥산 자연휴양림의 소반별 산림휴양기능의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지에서의 예측식을 사용하여 산림휴양효용의 정도를 나타내는 종합점수를 구한 다음, 판별구분점에 의하여 높다(H), 보통(M), 낮다(L)로 3구분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분포를 나타내는 평가도를 작성하였다. 수량화라는 형식을 매개로 하여 산림휴양의 효용의 정도에 관한 현실의 직관적 경험적 종합판단을 평가인자와 카테고리가 개입된 분석적 판단으로 변환하고 있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형호, 정주상, 김종호. 2003. 산림기능유형별 잠재력 평가를 위한 주요 산림입지환경인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2(4): 333-339.
  2. 산림청. 1999.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연구.
  3. 최조룡, 최창기, 우종춘. 2003. 산림휴양 적지평가를 위한 GIS기법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제11권 제1호: 60-67.
  4. 한수진, 이우균, 곽두안. 2006.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 13-19.
  5. 溝周道, 熊谷洋一. 1987. 森林立地.林況情報を活用した保健休養機能評價. 造園雜誌. 50(5): 215-220.
  6. 龜山章. 1973. 農村土地利用に關する植生學的硏究(I). 應用植物社會學硏究. 2: 1-52.
  7. 駒澤勉. 1992. 數量化理論. 放送大學敎育振興會.
  8. 金鉉植. 1996. 山林環境情報を用いた山林機能評價と山林 機能類型區分. 東京農工大 修士論文.
  9. 丹羽富士雄. 1988. 綠空間の保健休養機能の測定. 環境情報科學. 17(4): 31-36.
  10. 三島懋. 1971. 林業百科事典. 日本林業技術協會.
  11. 熊谷洋一. 1989. 森林の保健休養機能と住民評價に關する硏究. 造園雜誌. 52(5): 175-180.
  12. 林野廳. 1977. 森林の機能別調査實施要領の制定について.
  13. 林野廳. 1990. 森林の整備水準.機能計量等調査報告書. pp. 194.
  14. 中川雅史. 1975. 森林レクリエ一ション地區ポテンシャルの機能評價. 東京大學農學部卒業論文.
  15. 香川隆英. 1990. 森林の保健休養機能に關する一考察(I). 101回日林論. 153-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