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감지기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풍동실험과 화재실험을 통한 열감지기의 동작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Heat Detectors through Fire and Wind Tunnel Experiment)

  • Ryu, Hocheol;Kim, Doohy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03-209
    • /
    • 2015
  • 열감지기는 화재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것으로 모든 소방대상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요한 핵심 요소이다. 열감지기는 스포트(spot)형과 분포형으로 구분되며, 스포트형에는 차동식과 정온식이 있다. 이러한 열감지기는 실제 화재시 작동시간 및 작동온도 등 반응의 민감도에 따라 인명과 재산 손실에 큰 영향을 준다. 국내에서는 스프링클러 헤드제품에 응답시간지수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열감지기에 대해서는 현재 적용이 되어지지 않고 있으며, 반응의 민감도를 표시하는 응답시간지수의 도입이 필수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산된 정온식 스포트형 열감지기와 다이아프램형 및 반도체 형식의 차동식 스포트형 열감지기에 대하여 풍동실험 및 화재실험을 통하여 응답시간지수, 작동시간, 작동온도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응답시간지수를 적용한 열감지기를 설치하여 신속한 경보로 인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손실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실내화재에서의 열감지기 동작특성 분석 (Analysis on Activation Characteristic of Heat Detectors in a Compartment Fire)

  • Ryu, Hocheol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98-608
    • /
    • 2014
  • 소방대상물에서의 경보설비는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를 최초로 알려주는 설비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자동화재탐지설비와 같은 경보설비의 최초동작을 빠르게 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감지기의 동작은 설치위치와 화원의 위치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감지기 설치 기준은 설치 위치와 화원의 위치는 중시하지 않고 면적과 높이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에 대한 사항만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 열감지기와 보를 설치하고, 일반적인 화재를 가정하여 5 개소의 화원을 발생시켜 설치된 감지기의 동작시간을 측정하였고, 감지기의 설치위치와 화원의 위치를 고려한 화재실험을 통하여 열감지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열감지기는 벽면에 근접하게 설치된 감지기에서 작동지연현상이 보였으며, 벽면에서 적어도 22cm 이상 이격해서 설치하여야 한다. 화원이 보 외측에 존재할 때 감지기는 보에서 55cm 이격한 거리에서 동작이 가장 빨랐다. 또한 화원에 근접한 감지기와 가장 늦게 동작한 감지기의 동작시간의 차이는 피난거리로 환산하였을 때 최대 115 m 의 피난거리가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적합한 위치와 적응성을 고려한 감지기의 선택은 피난개시 시간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열방출률을 이용한 열감지기의 오동작 경계값 분석 (An Analysis of False Alarm Threshold Value by Heat Detector Using Heat Release Rate)

  • 홍성호;김두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6-30
    • /
    • 2003
  • 본 논문은 화재발생시 열감지기가 오동작하는 특성을 열방출률(Heat Release Rate : HRR)을 이용하여 경계값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고 그 경계값을 기준으로 감지기의 오동작 영역을 분석하였다. Crib 형태의 목재를 가지고 small-scale의 화재실험을 통하여 화재감지기의 동작시간 등을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화재감지기가 동작하는 순간의 HRR을 계산하였다. 화재실험으로부터 얻은 변수를 가지고 화재감지기가 오동작하는 HRR의 경계값을 계산한 결과 정온식 감지기는 20.24 kW 차동식 감지기는 13.59 kW로 나타났다.

정온식 열감지기의 응답시간지수 및 작동시간 (Response Time Index and Operation Time of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

  • 류호철;태순호;이병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1-16
    • /
    • 1993
  •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s that respond to the heat generated in fire plume and alarm when the temperature reaches a specified point, give a great influences to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according to their reaction sensitivity. In this study, hot wind tunnel tests and compartment fir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time and temperature of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 As a result, simple equations were derived which can be predicted the response time and temperature of the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 for the ramp type fire. Also other useful data, such as the effective temperature, time constant, response time index(RTI) were obtained.

  • PDF

천장형에어컨 기류가 화재감지기 작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Study on Influence of Air Flow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on Fire Detector Response)

  • 최문수;이근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40-45
    • /
    • 2018
  • 이 논문은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가 화재감지기 작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를 형성시킨 가운데 화재감지기의 작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ISO표준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화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10 m (가로) ${\times}$ 7 m (세로) ${\times}$ 4 m (높이) 크기의 화재실험장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화재감지기는아날로그식 열감지기와 아날로그 연기감지기이다. 화원으로는 열감지기 작동을 위해 n-heptane을 사용하였고, 연기 감지기 작동을 위해 면심지(Cotton)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화재감지기의 응답은 기류가 없을 때는 화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늦어지는 패턴을 보이나, 강한 기류에서는 그 패턴이 유지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천장형 에어컨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기류가 강한 경우에 응답시간이 연기감지기는 121%, 열감지기는 39% 늦어졌다. 천장형 에어컨이 설치된 장소에서는 화재감지기 개수를 늘려 풍구 4방향에 모두 설치하거나 감도가 뛰어난 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화재의 조기감지를 위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장제트기류에 대한 국내 정온식 열감지기의 작동온도 및 반응시간지수(RTI)에 관한 DB 구축 (DB Construction of Activation Temperature and Response Time Index for Domestic Fixed-temperature Heat Detectors in Ceiling Jet Flow)

  • 윤가영;한호식;문선여;박충화;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35-42
    • /
    • 2020
  • 성능위주 소방설계(PBD)의 안전성 평가 과정에서 화재모델링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화재감지기 작동시간의 정확한 예측성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표적 화재모델인 FDS에 적용되는 정온식 열감지기의 주요 입력인자인 감지기 작동온도와 RTI의 측정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화재감지기 실험 장치인 Fire detector evaluator (FDE)가 적용되었으며, 제품 인지도 조사를 통해 선정된 국내 10종의 정온식 감지기가 고려되었다. 결과적으로 감지기의 제조사별로 작동온도와 RTI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측정된 DB가 적용된 FDS의 감지기 작동시간은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신뢰성이 확보된 정온식 열감지기의 작동온도와 RTI의 DB가 제공되었다.

도막상태에 따른 열감지기의 감온특성에 관한 시험, 연구(2) (A REPORT ON THERMAL LAG OF PAINTED HEAT DETECTORS)

  • 이복영;유인호
    • 방재기술
    • /
    • 통권15호
    • /
    • pp.11-21
    • /
    • 1993
  • This report is announced about thermal lag of painted heat detectors. Thermal lag is forecast result from painting the part of heat receiving. Test is simulated that heat detector is painted by synthetic resin emulsion paint according to the cricumstance of installation, corrosion, temperature, dust.

  • PDF

차동식 스포트형 열감지기의 인공 가속열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ate of Rise Spot Type Heat Detector on the Artificially Accelerated Aging Characteristics)

  • 김찬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07-113
    • /
    • 2011
  • 차동식 스포트형 공기 팽창식 열감지기를 인위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가속열화시켜 경년변화되는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현장에 설치된 감지기가 화재 또는 점검기기에 의한 고온의 열에 노출되었을 경우에 감지기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현장에서 5년 동안 사용되었던 2005년 B사 감지기는 $100^{\circ}C$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경우에 감지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것은 감지기 감열실내의 팽창된 공기가 리크공 이외의 곳에서 리크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감지기의 동작표시를 나타내는 LED는 온도가 $160^{\circ}C$까지 올라갔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따라서 동작표시 LED의 회로소자는 고장은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주택 실물화재실험에 의한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ire Detector by Full-scale Experiment of Fire Phenomena in the Row House)

  • 사공성호;김시국;이춘하;정종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67-72
    • /
    • 2009
  • 본 논문은 주택 실물화재실험에 의한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철거가 예정된 연립주택을 화재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감지기 종류인 열감지기(차동식, 정온식, 아날로그식)와 연기감지기(광전식, 아날로그식, 단독경보형)를 주택내부에 설치여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건물내부로의 화염전파 및 화재확대를 관찰하기 위해 열전대를 설치하여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주택에서 효과적인 화재감지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연기감지기가 열감지기보다 주택용 감지기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