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역적 사고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Influence of Hypothetico-deductive Teaching Programs on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Scientific Attitude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Eun-Mi;Kang, Soon-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7 no.3
    • /
    • pp.225-234
    • /
    • 2007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n intention to develop a teaching program that possesses a goal of elevating higher thinking ability within the science clas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The hypothetico-deductive teaching model was developed and its' program was designed to be directly put into the practical use, and apply it in class. The application of the hypothetico-deductive teach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cientific attitudes.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y a poll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e students felt uneasy and had a lot of difficulties during the program activity because they had to keep on thinking newly, critically, and scientifically, but they admitted that they gained the ability to think on their own when the program was completed.

The Role of Deductive Reasoning in Scientific Activities (과학활동에서 연역적 사고의 역할)

  • Park, Jo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8 no.1
    • /
    • pp.1-17
    • /
    • 1998
  • What does mean the statement that scientific reasoning is logical? In this study, we clarify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scientific explanation, prediction and the process of hypothesis testing. To simplify and identify the structure of scientific explanations and prediction more clearly, we used syllogism and presented various concrete examples. Especially, we showed that the logical structure of scientific explanation was well reflected in dynamics. Based on this analysis, it can be said that the deficit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dynamics is because that many scientific activities are focused on prediction rather than explanation. To explain the process of hypothesis testing, we reinterpreted the Wason's selection task as two stages: the process of prediction of experimental phenomena based on the presented hypothesis, and the process of the hypothesis testing based on the predicted experimental phenomena. And we suggested the reason of the logical fallacy of 'affirming the consequent' in science was because that many scientific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is one-to-one relationship, and compared this suggestion with the Lawon's multiple hypothesis theory. To check out the effect of content on the deductive reasoning, we reviewed some researches about psychology and psychology of science. And to understand the role of deductive reasoning in student's scientific activities, we reviewed researches about the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in the task of conceptual change or evaluation of evidence and so on.

  • PDF

Current Psychological Studies on Deductive Reasoning (연역추리에 관한 심리학 연구 동향)

  • Do, Kyung Soo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30 no.12
    • /
    • pp.26-34
    • /
    • 2012
  • 지금까지 간략히 살펴본 것처럼 심리학에서 연역추리를 연구하는 이론과 가정이 변화하고 있는데, 크게 네 가지 흐름으로 요약할 수 있다[2,6,7]. 가장 큰 변화는 연역 추리와 귀납 추리의 구분이 점차로 흐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변화는 연역 추리를 이해하는 관점이 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심리학에서 연역추리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1960년대에는 사람들이 논리적인 사고를 하느냐에 관심이 모아졌다. 그러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연역추리를 하는 기제에 관한 심성 논리 이론과 심성 모형 이론 간의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내용효과와 같은 실용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도 많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들어서면서 연역추리를 정보 획득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확률적 접근, 연역 추리 과정을 heuristic 처리 단계와 분석적 처리 단계로 나누어 접근하는 이중 과정 이론이 등장하면서 기본적인 이론틀의 변화도 일어나고 있다. 세 번째 변화는 연역 추리를 문제 해결이나 의사결정과 같은 다른 인지 처리와 연결하려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심리학의 다른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연역 추리에 관여하는 뇌 부위를 알아보는 뇌 영상 연구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연구들의 결과로 연역 추리 과정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가 증진되고 다른 인지과정과도 연동되는 종합적 이해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ll type of Triangle that Can be Made with Sphinx Puzzle (스핑크스퍼즐로 모든 삼각형 해법 찾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특성 분석)

  • Bang, Sin Young;Song, Sang Hu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7 no.1
    • /
    • pp.165-184
    • /
    • 2013
  • In order to utilize Sphinx Puzzle in shape education or deductive reasoning, a lesson employing Dienes' six-stage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was structured to be applied to students of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4 students of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s current workplace,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4 subjects range across top to medium, who are generally enthusiastic and hardworking in learning activities. During the 3 lessons, the researcher played role as the guide and observer, recorded observation, collected activity sheet written by subjects, presentation materials, essays on the experience, interview data, and analyzed them to the detail. A task of finding every possible triangle out of pieces of Sphinx Puzzle was given, and until 6 steps of formalization was set, students' attitude to find a better way of mathematical deduction, especially that of operational thinking and deductive thinking, was carefully observed and analyzed.

  • PDF

초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선언적 프로그래밍의 교육

  • Kim, Yun-Sik;Han, Seon-G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69-77
    • /
    • 2005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지식 기반 프로그램인 선언적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현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제언하고자 한다. 학생들에게 논리적 사고 중에서도 협의의 논리적 사고 즉, 기호적 사고, 분석적 사고, 추론적 사고, 종합적 사고를 분석적 방법을 통해 실제 프로그래밍을 해 봄으로써 연역적 사고 또는 귀납적 사고를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써 제 8차 교육과정에서의 컴퓨터 교육과정의 일부분으로서의 프로그래밍의 마인드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언적 프로그램을 통해서 초등학교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를 위하여 프로그래밍 교수학습의 방법적인 측면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ystematic Analysis of Accidents by Fault-Tree (Fault-tree를 이용한 안전사고의 체계적 분석)

  • 이상원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
    • v.1 no.1
    • /
    • pp.37-40
    • /
    • 1982
  • 안정성의 관점에서 씨스템을 분석 평가할 때에 다음과 같은 3가지 접근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째, 과거의 경험에 의한 것으로서 "어떤일을 하면 안된다.(Don't D0's)"라는 점검표 (Checklist)를 사용하는 직관적인 방법. 둘째, "어떤 일이 발생하였을 때 어떻게 처리하여야 안전한가\ulcorner (the HOW to the WHAT HAPPENED)"의 귀납적인 방법. 셋째, 어떻게 하여 무슨일이 발생할 것인가\ulcorner (the WHAT HAPPENED to the HOW)의 연역적인 방법이다. System의 안정성을 평가 분석하는 데에는 세번째의 연역적인 방법이 가장 좋으며 이 연역적인 여러 기법들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Fault Tree Analysis"란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는 Fault-Tree를 이용한 대안들을 평가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기로 한다. 이용한 대안들을 평가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기로 한다.

  • PDF

컴퓨터를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의 가능성 모색

  • Jo, Han-Hyeok;An, Jun-Hwa;U, Hy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97-215
    • /
    • 2001
  • 최근 수학적 사고력 연구가 구체적 수학내용에 기반한 활동과 조작에 대한 연구보다는 활동이나 조작을 통한 결과로 수학적 사고력에 접근하는 일회성 연구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교육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학교수학에서 아동들이 어떤 수학적 사고를 하는데 장애을 겪는지에 주목하여,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는 것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수에서는 문자도입에 따른 추상적 상징의 수용과 이용부분에서, 기하에서는 논증기하의 증명도입과정에서 형식적, 연역적 사고 시작으로 아동이 수학적 사고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살에 주목하였다. 특히 논증 기하의 연역적, 형식적 증명은 논리와 추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논리와 추론은 고등학교 1학년과정 집합과 명제부분에 들어있어 아동은 논리와 추론에 대한 어떤 경험도, 교육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증명을 하게 된다. 이에 교육 내용으로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내용이 논증 기하가 도입되기 이전에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한 논리와 추론교육이라고 본다. 또한 교육 방법으로는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공학적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교육공학적 접근이 적극 권장되는 교육적 현실과 정규교육과정에서 이를 받아들일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음을 감안하여, 교과 내용과 연계된 컴퓨터 교육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에 논리 및 추론 교육은 컴퓨터 교육으로 초등학교의 특기적성 시간이나 정규수업 시간에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논리와 추론교육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답으로 논리와 추론교육에 적합한 수학적 내용으로 크게 이산수학과 중등 기하의 초등화하여 탐구하도록 하는 내용을,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논리와 추론 교육을 위한 LOGO 기반 마이크로월드를 설계, 이용하여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여기까지가 수학적 사고력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라면 후속연구로 이러한 가능성을 실험연구로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중등학교에서의 통계 지도 방향 탐색 - 대표값과 분산, 표준편차를 중심으로-

  • Kim, Chang-Il;Jeon, Ye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273-295
    • /
    • 2001
  • 통계는 연역적 사고를 강조하는 수학의 다른 영역과 달리 귀납적 추론과 직관적 사고를 요구한다. 따라서 학교 수업에서 학생들이 실제적인 상황을 모델링 할 수 있도록 하며, 주어진 상황에서 자료를 올바르게 산출하고 분석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학교 수업은 대다수 알고리즘 연습 위주의 통계 학습-지도로 통계적 사고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형식적인 통계 처리에는 익숙하지만 통계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변이성과 자료를 현명하게 다루는 능력이 부족하다. 본고에서는 피상적인 기계적 계산위주의 통계교육에서 실제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적절히 가공 처리하여 정보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통계 지도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Nature of Science and Pilot Application to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개발과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적용)

  • Park, Jong-Won;Kim, Doo-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8 no.2
    • /
    • pp.169-179
    • /
    • 2008
  • In this study, 46 teaching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42 statements describing the NOS. Each teaching material involves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as well as NOS statements. Teaching materials consist of students' learning worksheets and teachers' guides. Among the materials, 11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NOST) were applied to 3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s results, the degree of difficulty was appropriate and students showed interests in scientific thinking rather than new concepts or inquiry activities involved in the materials. It was expected that understating the NOST would be helpful for conducting scientific inquiry in more authentic way. And similarly to the Park's (2007)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S and scientific creativity, students actually responded that undertrading the NOST could help their creativity.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eaching the NOST would be plausible elements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The Effective Use of a Technology Tool for Students' Mathematical Exploration (수학적 탐구력 신장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활용의 효과)

  • 고상숙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42 no.5
    • /
    • pp.647-672
    • /
    • 2003
  •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graphing calculator on prospective math-teachers' mathematical thinking while they engaged in the exploratory tasks. To understand students' thinking processes, two groups of three student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performances were audio-taped and described in the observers' noteboo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got the clues in recalling the prior memory, adapting the algebraic knowledge to given problems, and finding the patterns related to data, to solve the tasks based on inductive, deductive, and creative thinking. The graphing calculator amplified the speed and accuracy of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resulted partly in students' progress to the creative thinking by their concept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