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령별 차이

Search Result 1,27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ffecting Inter-department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adiological Technicians (방사선사의 이동근무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

  • Park, Seok-Kyu;Hong, Jee-Young;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Bae, Seok-Hwan;Lee, Bo-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911-914
    • /
    • 2010
  • 본 연구는 이동근무를 시행하는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이동근무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 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대전지역 이동근무를 시행하는 종합병원 4곳의 방사선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은 남자가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30~34세가 가장 많았으며 응답자 대다수가 부서이동 경험이 있었다. 정기적 근무부서 이동 필요성에 관한 문항은 대다수가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나 현 부서에서 이동 요구도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의 영역별 점수에서는 전문직 발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의 차이검증에서는 성별, 결혼상태,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 19~29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미혼인 경우에 전문직 발전과 개인발전, 공통욕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공통욕구 부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의 차이검증에서는 월 급여 수준에서 199만원 이하의 전문직 발전과 개인발전, 현부서 근무기간 1년~5년의 개인발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나머지 문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월급여 수준에서 조직몰입은 250만원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근무유형에서는 정규직, 직위에서는 관리자가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11년 이상의 근무기간에서 병원에 대한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부서 이동 필요성에 대해서는 근무부서 이동이 필요하며 현 부서에서도 이동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였으나 이동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서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도간의 상관관계에서 두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4개의 영역 중에서 공통욕구만이 가장 큰 관련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연령이 낮은 군에서는 이동근무를 원하고 조직 몰입이 낮으나 이와 반대로 연령이 높은 군에서는 이동근무를 원하지 않고 조직 몰입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낮은 급여, 비정규직, 현 부서에서 이동을 원할수록 이동근무에 대해 긍정적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동근무에 대한 태도는 대부분 전문직 발전이라는 이유에서 이동근무가 필요하다고 느꼈으나 현 부서에서 이동 유무는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조직몰입은 이동근무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서 높게 나타났다. 조직몰입은 정규직이고, 연령이 높고, 관리자이며 연봉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안정적인 위치에 있을수록 조직몰입이 좋다는 걸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ollege-Entrance Motivation to Satisfaction with Major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치위생과 학생들의 입학동기에 따른 전공 만족도 조사)

  • Won, Young-Soon;Jung, Mee-Hee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4 no.2
    • /
    • pp.85-9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made dental hygiene students choose their major subject and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that in an effort to pave the way for more successful guid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0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five colleges in Gyeonggi province, Incheon, Gangweon province,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32 freshmen and 32 sophomores each were selected from the colleges.

  • PDF

병원 근로자의 요통에 관한 조사

  • Park, Eun-Ok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60-70
    • /
    • 1992
  • 본 연구는 병원 근로자의 요통의 정도와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1992년 12월 1일부터 1993년 1월 23일까지 병원근로자 96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내용은 요통과 요통의 동반증상, 요통의 관련요인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작업특성에 관한 것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는 성, 연령, 근무기간, 직종 등을 포함하였고, 작업 특성에서는 작업강도, 요부의 긴장 요구정도, 작업의 단순성 및 반복성, 물건이나 환자를 운반하는 정도, 밀기와 끌기의 정도, 증상 발생 시 휴식의 가능성 등과 작업 자세를 포함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1. 전체 대상자 961명 중 59.5%가 요통을 호소하였으며, 요통호소자의 동반증상으로는'허리의 뻐큰함'이 78.7%로 가장 많았고, '다리가 저리다'가 59.1%였으며, '허리의 운동 장애'가 23.6%, '다리의 감각이상'이 20.3%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요통호소율을 비교해 본 결과, 첫째, 성별 요통호소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요통호소군과 비호소군의 두 집단 간 평균연령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령별 호소율을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요통호소율을 보인 집단이 25-29세 연령군으로 65.0%였으며, 가장 낮은 요통호소율을 보인 집단은 30-34 세 군으로 53.9%였다. 세째, 근무기간별 요통호소율을 비교해 보면, 10년 미만의 근무기간을 가진 군은 요통호소율에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데 반해, 10-12년 근무기간 군은 55.3%, 13년 이상의 근무기간 군은 47.9%의 요통호소율을 보이고 있어, 장기 근무자가 오히려 낮은 요통호소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평균 근무기간의 비교에서 요통호소군이 낮은 근무기간을 보이고 있고,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p<.05). 네째, 직종 별로 요통호소율을 보면, 조리보조원(82.2%), 방사선 기사 (67.1%), 물리 치료사(68.2), 간호사(65.9%) 등의 순이었다. 3. 요통호소군과 비호소군의 작업특성을 비교한 결과, 첫째, 요통호소군이 바호소군에 비하여 본인의 작업이 힘들다고 느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둘째, 요통호소군이 허리의 긴장상태를 많이 요한다고 생각하였으며, 비호소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세째, 요통호소군이 작업의 단순성이나 반복성을 더 심하게 느끼고 있었고,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네째, 요통호소군이 물건이나 환자를 운반하는 일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호소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p<.001). 다섯째, 요통호소군이 비호소군에 비해 밀거나 끄는 일을 더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여섯째, 요통호소군에서 증상발생시 휴식이 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호소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허리에 부담을 주는 작업의 특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위의 여섯항목에 대해 각각 5점을 주어 전 항목의 점수 총합을, 요통이 있는 군과 요통이 없는 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을 때, 요통호소군은 30점 만점에 24.34(${\pm}4.01$)이었고, 비호소군은 22.05(${\pm}4.18$)이었으며, 이들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일곱째, 작업 자세에 따른 비교에서 주로 한 자리에 서서 일을 하는 집단이 71.8%로 가장 높았고, 서서 부서 간이나 한 부서 안을 왔다갔다 하는 군이 다음으로 높고, 앉아서 일을 하는 군이 50.3%로 가장 낮았다.

  • PDF

A Study on Patterns or Reality of Oral Health: Government Employees and Private School Employees (구강건강행태 및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중심으로))

  • Seong, Jeong-hee;Park, Myung-su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2 no.1
    • /
    • pp.39-45
    • /
    • 2002
  • Our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of the patterns and reality of oral health of 862 Government employees and private school employees who had received oral examinations from April to May, 2000. For the exposition of each group to dental service, the male groups(37.4%) were more exposed than the female ones(30.0%, p<0.05), while the scaling experience results indicated that more ages mean more scaling(the over 50 year group 27.1%, 41-50 group 23.9%, 31-40 group 20.5%, 21-30 group 10.8%, p<0.001). The data involving sweet food and refreshments revealed that 'positive respondents' in the male groups were 19.7% with 12.5% positive in the female ones, and 'negative respondents' were 32.3% and 51.0% in the male and female groups respectively(p<0.001). For the oral odor, the male groups(37.9%) are more severe than the female ones(25.5%, p<0.01). The results of dental caries revealed that 19.1% of the male and 13.9% of the female said 'yes'(p<0.05), with 25.1% of the male and 11.1% of the female suffering from missing teeth(p<0.001); 77.4% of the male and 51.0% of the female from periodontal disease (p<0.001).

  • PDF

Evaluation on Quality of Life in Urban with Weighting Analysis by Cohort (연령별 가중치 분석을 통한 도시의 삶의 질 지표선정)

  • Kim, Sun-Ho;Cheong, Hye-Young;Lee, Myeo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7
    • /
    • pp.453-46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life and provide an objective evaluation, and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ocal popula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quality of life policies are intended to provide baseline data. This study analyzed to the Development of Quality of Life indicators and weights for ag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first to select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alyzing the primary evaluation criteria. Second, the final evaluation of professional conduct FGI indicators are derived. Third, experts will conduct analysis to target weights. As a result of the first domain-specific weights family safety, economic stability, residential culture, health and welfare, and traffic environment in order. In particular, a family safe zone more than twice that of the other areas appeared to be important. Is determined. Second, age weighted analysis, the higher the age, economic stability, while important, safe area for families, the more the weight of age shows a deterioration. As income increases per capita housing area and the city park area, the exhibition shows the importance of housing across all age, environment, culture, suggests that increasing interest will.

Age and Growth of the Marbled sole , pleuronectes yokohamae , in Approaches to Kyongyolbiyolto of the Yellow Sea , Korea (한국서해안 격열비열도 근해산 문치가자미의 연령과 성장)

  • 박종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3 no.2
    • /
    • pp.85-89
    • /
    • 1997
  • 한국서해안 격열비열도 근해산 문치가자미의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매월 정기채집한 256개체의 이석을 연령형질로서 사용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석의 투명대와 불투명대는 년 1회 형성되었으며 투명대 형성시기는 7월이고 불투명대 형성 시기는 2월에서 4월로 이는 산란종기(2월)와 일치함을 보였다. 연령별 체장 (LT)과 연령(t)을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적용하여 수컷은 Lt=313.7[1-exp{-0.4342(t+0.9017)}, 암컷은, Lt=458.1[1-exp{-0.2368(t+0.1934)}과 같은 관계식을 구하였다. 또한 암컷과 수컷의 성장속도는 2세까지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세어 이상에서는 암컷이 수컷보다 월등히 빠름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의 최고령어는 암수 각각 5세와 6세였다.

  • PDF

Recognition of Body Weight Los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체중 감량에 대한 인식 조사)

  • Doo, Mi-Ae;Kim, Yang-H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0 no.7
    • /
    • pp.658-666
    • /
    • 2007
  • Among current health-related issues, obesity is considered one of the foremost, and the importance of this subject has fostered a national interest in body weight los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body weight los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re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20 (male: 360 and female: 360) aged between 10-60 years, who had experienced to try body weight loss during 6 months prior to this study. Anthropometrics, general characteristics, personal reasons for body weight loss, comprehension of body weight loss, and a knowledge of diet-related issues were assess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body weight (present and desired) and BMI (p < 0.05) by age and gender. The difference between desired body weight and actual body weight was greater for younger subjects or female,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under- or normal body weight (p < 0.05). Reasons for body weight loss varied; younger subjects and female tended to lose body weight "to enhance their appearances", whereas the older subjects and male desired "to improve their health" (p < 0.05). Subjects had different concepts concerning body weight loss; younger subjects and female considered body weight loss as "maintenance of a slender figure, or becoming more lean". On the other hand, older subjects and male thought body weight loss to be "effects approaching normal body weight" (p < 0.05). From our studies, it can be concluded that attitude on concerning body weight loss varied according to a age and gender. Thus, consideration of this individual differences would be vital in developing contents of a particula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body weight loss.

A Study on User Needs Cognition on Functions of Mobile Phone - Focused on Use Frequency and Necessity on Functions of Age Group (휴대폰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구 인식에 관한 연구 - 20대, 30대, 50대 사용자의 휴대폰 기능별 사용 빈도와 필요성 인식을 중심으로)

  • Park, Min-Hee;Lee, Sung-T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465-469
    • /
    • 2008
  • Mobile phone becomes composite product which the high technological multimedia functions of a Digital camera, MP3, MP4, Blue-tooth, DMB over basic functions of a calling and 3M3. By the view of user, many functions give a heavy burden rather than supporting convenient function itself because it is complex for user to use it. We want to evaluate how users feel using mobile phone according to age, comparing use frequency and necessity. So survey is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use frequency and necessity by dividing three groups into 20s and 30s and 50s. As a result, difference of use frequency and necessity for functions of mobile phone between 20s and 30s and 50s. And the other users have the difference. Consequently, mobile phone development according to age is necessary to satisfy user's desire, evaluating elements research of user preference. We hope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mobile phone development as a basic guidance.

  • PDF

Play and leisure status of children in Korea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놀이·여가 실태에 대한 연구 -연령별, 지역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Hwang, Ock-Kyeung;Han, You-Me;Kim, Jeong-Wh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5
    • /
    • pp.296-30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lay and leisure status of children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64 childre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in four districts of Seoul and one rural district in Gyeonggi Province.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objects, time, place and cost of both play and leisure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region and sex.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play and leisure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be friends than family members, and the proportion of fathers among the pare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Second, the children spent most of their play and leisure time on media related activities. Third, unlike in the past, the children's places of play and leisure were very diverse and included many adult or commercial places, such as cafes and karaoke studios. Fourt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st of play and leisure, depending on the age or sex of the children, but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The Need for and Use of Forest Education According to Age Group (연령별 산림교육 이용현황 및 요구도 분석)

  • Lee, Yoon Joo;Lee, Yeonhee;Ha, Si Yeon;Choi, Seon Hy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4
    • /
    • pp.645-65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nd necessity for forest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promote educational programs on the topic among different age groups. A survey conducted among 1,542 adults nationwide indicated that different age groups had variable degrees of awareness and experience of forest education programs. Specifically, older people responded more positively in terms of awareness,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engage with forest education programs, and engaging in individual holistic development. In addition, participant companion types and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forest education programs were different among age groups. Regarding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forest education programs, all groups answered, "to enjoy the forest landscape," "to experience new things," and "to refresh themselves." In particular, individuals in their 30s had a desire to learn, while those in their 50s had a desire for a healthy lifestyle. Additionally, people in their 40s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in forest education programs, alongside their children and family members. In terms of operating period, older individuals preferred long-term operating programs. Accessi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ll age groups when selecting forest education program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all ag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