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기표현성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1초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ng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cting)

  • 이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67-17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연기전공대학생들의 수업을 통해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간의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가를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단순무선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연극, 연기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49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 문항은 사전검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73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IBM STATISTICS SPSS 22와 AMOS 22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중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연기표현성과 심리적 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무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기표현성 중 개성과 표현충동은 심리적 행복감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동작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체연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cting)

  • 박호영;민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59-169
    • /
    • 2011
  • 무대연기와 매체연기는 매체의 특성상 연기 표현 방법이 확연히 다르다. 그렇지만 연기 기초를 이루고 있는 연기자 내면의 진실이 변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연기자 내면의 연기는 무대연기와 매체연기에 공통적으로 적용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체연기는 장르적 특성상 무대연기에 비해서 좀 더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연기를 요한다. 매체연기는 스크린을 통해서 무대연기보다 훨씬 더 디테일하고 확대 되어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매체연기의 표현특성을 어떻게 하면 무대연기의 표현방법과 차별화시킬 것인지를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매체연기를 학습하는 학생 또는 전문배우가 감정이나 행동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리얼한 생활연기를 보여줄 수 있는 매체연기 표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매체연기 훈련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표현방법은 매체연기를 도전하는 배우가 내면의 진실을 프레임 안으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는 훈련을 통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매체연기에서 요하는 섬세하고 디테일한 연기 스타일을 구축 할 수 있는 기회와 더불어 무대연기와는 차별화된 연기 스타일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배우 박중훈의 연기 패턴 분석 및 인물 표현 방식 연구 -영화<내 깡패 같은 애인>에서 동철(박중훈)역 중심으로- (Acting Pattern and Character Expression Methodology of Actor Park Jung Hoon -In-depth analysis of Park's Character, Dong-Chul, in the Movie -)

  • 어일선;정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08-116
    • /
    • 2013
  • 박중훈은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진학 후 바로 영화 현장에 뛰어들어 현재까지 영화계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국민 배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의 연기를 이쯤에서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본고에서는 그의 연기에서 독특한 몇 가지 패턴을 찾아내고, 내면적 연기가 가장 잘 되었다고 평가되는 영화 <내 깡패 같은 애인>에서 동철 역을 중심으로 인물 표현 방식의 개략적인 경향을 분석해보았다. 그의 연기 패턴은 크게 박중훈식 코믹연기, 마초적 남성성의 표현연기, 잘 드러내지 않는 내면의 연기로 구분하였고, 영화 <내 깡패 같은 애인>에서 동철 역의 인물 표현 방식은 엉터리 삼류 깡패 역할부터 착한 내면을 지닌 남성으로 변화되는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해 내는 그의 연기 기술을 분석해보았다. 아울러 불가능한 거리감을 가능하게 만드는 그만의 연기 기술도 찾아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많은 영화배우들의 다양한 인물 표현 방식 연구와 그들의 훈련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싶으며, 이를 통해 많은 배우들의 연기 훈련에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나띠야 샤스뜨라』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방향성 고찰 -표정연기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rectionality in Modern Utilization of 『Natya sastra』 -Focused on Facial Expression Acting Techniques-)

  • 안재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08-416
    • /
    • 2017
  • 본 연구자는 신체 표현 중심의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현대 배우의 훈련방법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호로서의 신체 연기'는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의 주요한 특성으로써 배우가 행하는 각각의 표정, 제스처, 움직임은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그동안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에 관한 연구는 주로 비사실주의적인 표현 양식 혹은 신체 중심의 연기론 분야의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졌다. 반면 본문은 비사실주의 연극뿐만 아니라 사실주의 연극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배우훈련의 활용방안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다마지오나 에크만 등의 심리학자에 따르면 정서와 결부된 표정 및 행위를 통해서도 내적 충동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배우의 내적 충동을 통한 연기뿐만 아니라 배우의 충실한 외적 정서 표현 역시 관객들의 정서를 촉발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라사를 규정하고 신체적으로 표현하는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을 내적 진실을 고양하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심리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나띠야 샤스뜨라"를 활용한 배우훈련에 관한 연구는 내적 충동과 외적 표현을 통합적으로 지향하는 현대 연기론 연구에서 효과적인 하나의 접근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연기 훈련 방법 연구 (Camera Acting Method)

  • 박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70-79
    • /
    • 2013
  • 영상 언어는 크게 쇼트의 앵글과 사이즈 그리고 카메라의 움직임 등에 따라 구분된다. 이러한 영상 언어는 카메라 연기를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숙지해야할 사항이다. 카메라 연기에서의 가장 큰 특징은 카메라와 함께 한다는 것에 있음으로 카메라와 배우의 관계는 상호 소통을 기본으로 하며, 서로를 잘 알아야 하는 숙명적인 관계이다. 카메라 연기를 위해서 다양한 영상언어를 이해한다면 배우가 빠르게 매체에 적응되어 연기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연기는 연기가 행해지는 미디어나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배우는 좋은 연기를 위해서 연기하는 공간이나 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자신의 연기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카메라 연기는 매체적 특성이나 연기적 측면에서도 무대연기와는 분명한 차별성을 갖고 있다. 즉흥성의 발현과 배우의 개성을 최대한 발견해 내며, 배우 자신은 카메라 연기에 있어서 감독과 더불어 공동으로 창조 작업을 진행하며 카메라 연기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

배우 송강호의 사실적인 캐릭터와 연기 ; 영화 <택시운전사>(2017)를 중심으로 (Actor Gang Ho Song's Realistic Character and Acting ; Based on the film (2017))

  • 이아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57-167
    • /
    • 2019
  • 1990년대 후반 한국영화의 새로운 흐름 속에 등장한 배우 송강호는 소박한 소시민에서부터 역사 속 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영역을 넘나들며 특유의 개성(말투와 외모)을 캐릭터의 개인적인 뉘앙스로 활용해 매작품마다 자신의 유형으로 캐릭터의 성격을 확장시켜나갔다. 특히 영화 <택시운전사>처럼 실제 사건과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한 영화들에서 우리의 역사성과 민족성을 체현하는 송강호의 캐릭터는 진지하지만 무겁지 않은 연기, 짜여지지 않은 듯 일상적인 송강호의 연기 스타일과 조화를 이루어 친근함이라는 인간적인 감수성을 실현하며 '송강호 캐릭터'라는 장르로 인식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배우로서의 영역을 더욱 견고히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그의 사실적인 표현성과 창조적 능력을 배리 킹Barry King이 말한 작가성authorship의 개념으로 주목하고, 영화 <택시운전사>를 통해 그의 캐릭터와 연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먼저, 실제 사건과 실존 인물을 재현하는 송강호 캐릭터의 역사성과 민족성은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지 분석하고, 캐릭터에 생동감을 부여하는 송강호 연기의 일상성과 즉흥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자신의 신체적 특성을 캐릭터의 성격으로 재지시하며 캐릭터의 사실성을 높이는 송강호의 연기를 자기지시적인 연기 스타일로 보고, 송강호의 자기지시성은 캐릭터의 성격과 어떠한 조화를 이루며 사실적으로 표현되는지, 송강호의 캐릭터와 연기는 어떠한 연속성을 갖고 있는지 분석해 본다.

영화 <사도>(2015)의 클로즈업 쇼트 연구 (Study on Close-Up Shots in Film (2015))

  • 이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609-621
    • /
    • 2016
  • 프레임 가득 배우의 얼굴을 확대하여 미세한 표정의 떨림조차 놓치지 않고 정확하게 포착하는 클로즈업은 살아있는 배우가 연기를 하는 무대 위 보다 훨씬 더 사실적으로 배우의 연기를 표현한다. 클로즈업은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는 나름의 이미지와 의미의 효과들을 생산하며, 배우의 얼굴이 최소한의 거리에서 관객과 직접적인 소통을 하는 듯한 심리적 현상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클로즈업의 촬영 효과와 연기 효과를 연구하고, 그에 따른 연기 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기 위해 영화 <사도>(2015)를 분석해보았다. 영화 <사도>는 송강호가 인물 설정의 사실성을 높이기 위해 얼굴의 특수 분장으로 실제 나이보다 20년 이상 많은 나이를 연기했고, 이러한 얼굴과, 제스처, 클로즈업 된 소품들이 극중 인물의 성격과 영화의 감정을 표현함에 있어 어떠한 연기력을 충분히 공유하며, 영화연기의 핵심이 되는 다양한 언어적, 시각적, 정서적 의미의 효과들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배우들이 클로즈업의 효과와 영화연기의 핵심을 알고, 카메라 앞에서 효과적인 표현 방법을 찾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뮤지컬 영화 연기 연구 (Musical Film Acting Method)

  • 박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718-726
    • /
    • 2021
  • 노래와 춤, 연기가 조화를 이룬 뮤지컬은 오페라가 발전되어 만들어진 대중적인 음악극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뮤지컬은 상업적으로 예술성과 대중성의 조화를 갖추고 있는 문화 산업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뮤지컬은 신명나고 다채로운 라이브 공연이 떠오르게 한다. 이러한 뮤지컬산업은 무대에서 뿐 아니라 뮤지컬 영화로 제 탄생되어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영화계는 영화 스크린을 통해 뮤지컬이 갖고 있는 뮤지컬만의 독창성을 표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연기적 측면에서 뮤지컬 영화 연기는 뮤지컬 영화에 맞는 연기를 구현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영화 연기의 특성과 뮤지컬 연기의 특성을 동시에 이해하고 각각 장르가 융합되어졌을 때 진정한 뮤지컬 영화 연기를 스크린에서 구현 할 수 있게 된다. 뮤지컬 영화 연기를 위해서는 각 장르별로 세분화된 기능적 특성을 이해하고 필요한 기능들을 현장에서 적용시켜야 한다.

동작연기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한국춤의 호흡운용법 (Breathing of Korean Dance for Develop Methodology of Expression)

  • 정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49-257
    • /
    • 2010
  • 공연예술에 있어서 무대 위에서 움직이는 연기자의 역할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공연예술이 목표하는 바가 단순히 표피적 또는 상투적 즐거움의 생산과 표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 삶에 대한 철학적 정신의 정화를 추구하며, 이러한 역할 표현의 중심이 바로 연기자의 몫으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공연예술은 단순히 기술적인 작업이 아니며, 한 나라의 정체성과 전통을 아우르는 문화적 창조 작업이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공연예술의 표현방법은 다분히 서구적 공연예술 양식의 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서구 지향의 공연예술 방법론을 극복하고, 보다 주체적이고 한국적인 공연예술의 창작과 동작연기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이 제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전통 한국춤에서 운용되어지고 있는 호흡법과 장단을 현대 공연예술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연관시켰을 때 나타나는 동작연기의 시각적 효과와 표현력 향상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춤의 근간을 이루는 호흡운용에 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연기자의 동작연기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호흡운용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연기전공 대학생들의 스트릿댄스 경험적 사고와 체험인식 분석 - 댄스뮤지컬 'Our Town'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atre Arts Students' Perspectives on Street Dance Through Their Experiential Awareness -Based on the musical "Our Town")

  • 장태녕;안병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5-336
    • /
    • 2017
  • 본 연구는 쏜톤 와일더 작품 '우리읍내(Our Town)'의 댄스뮤지컬 창작을 통해 작품에 참여한 연기전공 대학생들의 스트릿댄스에 대한 경험적 사고 인식 변화와 체험적 움직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대사연기와 움직임 표현의 동시성에 대한 부담을 갖고 있었으나 춤과 노래의 템포와 리듬감 변화를 통해 스트릿 댄스의 흥미요소로 나타났으며 이는 춤과 노래 그리고 연기로 병합되는 능동적 사고의 경험으로 요약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