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교육

Search Result 42,023,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한국 수학교육 인물사 - 우보 박한식의 수학교육 연구 -

  • Han, In-G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10.04a
    • /
    • pp.179-182
    • /
    • 2010
  • 광복이후 우리나라의 역사가 역동적이며 현재도 계속 움직이고 있다면, 수학교육의 역사도 그러할 것이다. 현재의 수학교육은 광복이후 수학교육을 지탱하고 발전시킨 많은 수학교육자들의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광복이후 지금까지의 수학교육의 역사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일이 수학교육학회의 창립이 될 것이다. 수학교육학회의 창립을 통해, 수학교육의 다양한 연구들, 요구들을 체계적으로 담아낼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창립된 것이 한국수학교육학회이다. 박한식(1993, p.1)에 의하면, '수학교육에 있어서의 세계 각국의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보급하며, 그리고 수학교육계에 수학교육을 연구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데 인식을 같이 하는 수학교원들이 모여서 한국수학교육회를 만들게 되었고, 창립일을 1962년의 한글날인 10월 9일로 정하였다'고 하였다. 즉 수학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의 활성화, 수학교육의 세계화를 표방하면서, 한국수학교육학회가 창립되었다. 이때의 창립 주체의 한 분이 박한식 교수였다. 박한식 선생은 창립부터 1992년 8월까지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회장으로, 우리나라 수학교육계를 이끌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박한식 선생의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살펴보고, 이들 중의 몇몇 연구를 분석하여, 수학교육에 대한 박한식 선생의 관점을 살펴볼 것이다

  • PDF

The Exploration of the Usefulness of Comparative Educational Approach in Education Policy Studies (교육정책탐구에서의 비교교육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 탐색)

  • Chung, Il-Hwan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8 no.1
    • /
    • pp.153-173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usefulness of comparative educational research approach for rational educational policy development and ope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rea, contents, methods, and so on that comparative educational research approach in educational policy studies is used. For achieving the purpose, the study examined as the follows. First, the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traits and research target of educational policy and comparative education using the academic trait of definition method and the academic trait of approach method.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exploration of educational policy studies in comparative education. For this, the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rative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nd using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 comparative education. Based on the main results,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A Study on the Effect of Web-based Research Ethics Education (웹기반 연구윤리교육의 유효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Kwak, Jinsun;Yan, Jinhua;Han, Insoo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9 no.1
    • /
    • pp.1-10
    • /
    • 2016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web-based research ethics education to principal investigator who conduct national research project. The web-based research ethics education program was devised and operate for each research field. After educ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moral judgement were investigated.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education was improving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but also understanding whereas moral judgement was not. These findings imply that moral judgement was not enhancing though short-term research ethics education as preceding research. Moreover, this paper speaks to a supplemented program with methods of ethics education which needs more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in long-term education for enhancing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대학수학 교육 연구의 원칙과 기준들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33-44
    • /
    • 2005
  • 한국의 대학수학 교육에 대한 여러 종류의 관심이 다양한 현실적 필요성에서 대학의 수학 교수들 사이에서 일고 있다. 대학수학 교육의 어떤 연구 주제를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연구하여야 연구로서 가치, 타당성 그리고 연구 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등 연구의 방향, 목표, 그리고 결과의 활용에 대한 적절한 합리적 준거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실제 수학 수업을 수행하는 교수, 교사 또는 교육행정가에게 유용한 정보, 지식 그리고 수업 수행 방법(기술) 등을 제공하여 그들의 의사결정 문제를 결정하도록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성을 가져야 한다. 학교수학 교육은 국가적 교육과정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하여 대학수학 교육은 각 대학마다 다른 교육 환경과 목표를 반영한 대학교육과정에 대학수학 관련 교과(강좌) 또는 수학전공 교과들이 포함되어있다. 다양한 대학교육 환경과 시스템에 놓여있는 대학수학 교육의 상황 또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수행 원칙과 질적 기준들 무엇인가?를 논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for AI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AI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연구)

  • Bae, Youngkwon;Yoo, Inhwan;Yu, Wonjin;Kim, Wooy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2
    • /
    • pp.279-288
    • /
    • 2021
  • The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education is also high based on recent social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ly, Korea is preparing a foothold for revita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such as announc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n by expanding from software (SW) education that has become a regular curriculum aft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However, research on the curriculum related to what and how to educate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still in its infancy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A look at related research shows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research related to domestic and foreign AI curriculum,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reas and content elements that each research focuses 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independence of the information subject and the formalization of AI education, literature studies on domestic and foreign AI curriculum are conducted, an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composition for elementary school AI education is to be explored.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Choe, Hyo-Il;Choe, Ho-Seong
    •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 /
    • v.1 no.2
    • /
    • pp.139-162
    • /
    • 1997
  •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가운데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두 나라의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을 비교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비교는 교육과정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찾아서 한국 교육과정의 사회적 및 개인적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후 한국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미국의 경우 1980 년대 들어 서면서 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작업에 노력해 왔으며, 한국도 1980 년대 후반부터 제 6 차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미국은 NCTM (미국 수학교사협회)을 중심으로 새로운 수학교육의 표준을 설정하고, 향후 수학교육이 지향할 방향과 전략을 설정한 바 있다. 또한 한국은 제 6 차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통하여 1992 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물론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 범위와 대상을 폭 넓게 정할 수도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대상을 최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NCTM 의 일련의 교육 표준화 관련 연구들과 한국의 제 6 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수학교육을 이해하기 위하여 1)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교육의 일반적 성격, 기본 방향 교육 목표를 비교 분석하였고, 2) 양국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 내용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NCTM 의 교육과정 안에 명시된 중학교 과정의 수학과 교육 목표 및 내용을 준거로 하여 한국 교육과정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학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물론 한 국가의 교육과정 체제를 목표 및 내용 요소의 비교만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향후 미국과 한국의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들은 내용의 조직, 방법, 평가, 그리고 운영계획 등에 관한 분석으로 확대되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기업가정신 교육 필요성과 국내 생태계에 관한 연구

  • 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95-101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 필요성과 그 생태계를 이론기반의 문헌 연구와 실증연구 기반의 선행 연구를 연구함으로써 기업가정신 교육 생태계를 확인 및 정리하고 이를 통해 국내 기업가정신 교육 생태계의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본 연구를 기반으로 기업가정신 교육 정책 기관 및 수행 기관들이 정책 수립 및 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데 있다. 국내의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교육 생태계의 문제점은 기업가정신 교육 분야의 정부 예산이 급증함에 따른 민간 분야의 기업가정신 교육 분야가 상대적 위축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국가 창업교육자 협의회(KCEE, Korea Council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를 구축하여 창업교육 중간 매체(Hub) 역할을 제안한다.

  • PDF

환경교육진흥법 시안 개발 제정 연구

  • 최석진;신호상;이재영;이선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dation Conference
    • /
    • 2002.01b
    • /
    • pp.1-168
    • /
    • 2002
  •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많은 연구자, 학교 교사, 환경단체 지도자가 제안해 온 과업을 다루고있다. 그것은 학교 안팎에 걸쳐 요람에서 무덤까지 환경교육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법제적 뒷받침이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충분조건은 되지 못하더라도 필요조건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 연구를 수행한 사단법인 한국환경교육학회는 국회환경포럼과 함께 환경교육진흥법(가칭) 시안의 개발과, 나아가 실질적인 입법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에 이미 존재하는 도서벽지 교육진흥법, 특수교육진흥법, 산업교육진흥법, 영재교육진흥법, 과학교육진흥법, 유아교육진흥법, 이상 여섯 개의 교육진흥법을 분석하여 환경교육진흥법 시안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외국의 환경교육 관련법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미국의 경우 1970년 처음 환경교육법이 제정된 이후 몇 차례의 개정과 재승인 과정을 거쳐왔다. 미국에서는 1990년에 제정된 국가환경교육법의 재승인에 관한 공청회가 지난 2000년 여름 동안 개최되어 환경교육법의 필요성, 효과, 고려할 조항 등 본 연구에 중요한 참고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본 학회의 다른 연구진에 의해 2001년 10월에 완료된 제2차 환경교육 중 ·장기 강화방안 연구의 결과물도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안에 담아야 할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진과 국회환경포럼의 환경교육활성화위원회의 위원이 윤독과 수정을 거쳐 시안의 타당성과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작성된 시안에 대해서는 먼저 국내의 환경 또는 환경교육 관련 전문가에게 설문지를 보내어 의견 수렴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시안에 포함된 대부분의 항목에 대해 높은 찬성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설문지로부터 수정 ·보완 요청 사항을 정리하여 최종 시안을 작성하는데 반영하였다. 끝으로 10월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공청회를 통하여 다양한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공청회 동안 제시된 의견들을 반영하여 최종 시안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작성된 환경교육진흥법 최종 시안은, 제1조 목적에서 제11조 환경교육연구의 진흥에 이르기까지 총11조로 구성되었으며, 환경교육사 자격증제 및 환경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등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환경교육진흥법의 주무 부처를 환경부로 제안한 것은 기존의 교육 관련 진흥법들이 교육인적자원부를 주무로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매우 특기할 만 하다. 그 이유는 본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환경교육이 갖고 있는 특수성 때문이다. 환경교육진흥법의 주무 부처를 환경부와 교육인적자원부 중 어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는 연구진 내부는 물론 공청회에 참가한 사람들 사이에도 이견이 있었음을 밝혀 둔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마련된 시안과 연구 결과가 최종적으로 속히 법제화가 되고, 우리나라 환경교육 진흥에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

  • PDF

대학 수학교육 연구 -필요성, 방법 그리고 과제-

  • Jeong, Chi-Bong;Jeong, Wan-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321-338
    • /
    • 2001
  • 수학의 역사에 비하여 수학교육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짧다. 1960년대에 미국과 소련의 우주과학 경쟁이 시작되고 수학교육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 후 전문 학회와 논문지가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학문적으로 연구되고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대학 수준의 수학교육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는 뒤늦게 1990년대에 시작하였다. 한편 한국의 대학 수학교육은 현재 크게 변화하고 동요하고 있다. 대중화된 대학 교육, 수학 수강생 감소, 대학 수학교육의 개선, 7차 및 중등 교육과정 문제 대학으로 전이, 정보기술의 발전 및 활용 등으로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수학교육 연구의 목적, 문제, 방법, 타당성 기준, 결과의 가치, 교육 개선 응용 등의 학문적 성격이 수학 연구와 크게 다르다. 대학 수학교육에서 새롭게 나타나고 부각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그리고 뇌 과학과 인지 과학 연구에 바탕을 둔 실제 학습 모형에 응용할 수 있는 대학 수학 학습 이론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in Education Development focused on Text Network Analysis(2002~2017)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국제 학술지 연구 동향 고찰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2002~2017))

  • Kim, Sang-Mi;Kim, Young-Hwan;Cho, Won-Gyeum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8 no.1
    • /
    • pp.1-24
    • /
    • 2018
  • The objective of the article is to find the research trends and the main traits presented in the keywords on abstracts of research articles of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Development" from 2002 to 2017. To do this, Text Network Analysis(TNA) was applied targeting 966 papers on the journal and the major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on the keywords showed that the keywords like Administration of education program, Schools and instruction, Regional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al support service, Elementary educatio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ere analyzed more than 100 times and also high in centrality degree.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keywords presented in those research articles by development goal periods showed that several new keywords like Elementary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quality, Secondary education, Educational planning have emerged frequently after SDGs and these keywords showed high in their centrality analysis. Third, the analysis on education level showed that the keywords like Elementary education, Administration of education program, School children were high in frequency and centrality degree in Elementary level. In secondary level, Schools and instruction, Administration of education program, Academic achievement were high, and in high level, college and university was high,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