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성 결혼이민자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결혼이민자 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systemic Factors that Effect the Married Immigrant Women's Employment)

  • 이은희;이은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6-72
    • /
    • 2012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하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취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취업을 위한 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울산광역시 지역에 거주하는 229명의 결혼이민자 여성들이며,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 및 백분율을 그리고 취업여부에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민자여성들의 취업 여부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운데서는 남편의 학력과 국적취득여부가 그리고 개인체계요인 가운데서는 한국어실력과 직업훈련 경험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체계요인 가운데서는 시부모의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결혼 이민자 여성들의 취업을 원조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및 정보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Service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 이용재;배화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79-504
    • /
    • 2008
  •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가장 주목되는 대상이 여성 결혼이민자들이다. 이들이 우리 사회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원과 관련하여 사회서비스 및 정보 접근성에 대한 연구가 긴요하다. 이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결혼생활과 한국사회 적응 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는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서비스와 정보를 어디에서 구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결혼이민자들이 직면한 문제별 출신국가별, 거주지별로 사회서비스 및 정보의 접근성에서 그 실태와 차이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민자들의 사회서비스 및 정보 접근성과 이들을 위한 사회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 소설에 재현된 다문화 사회 장애 남성상 (Representations of the Korean Disabled Men Images through the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n Novels)

  • 김세령;남세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99-506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 소설에 재현된 다문화 사회 장애 남성상에 주목하여 소설적 재현이 갖는 한계와 가능성, 결혼 이민 여성과 한국 장애 남성의 결합이 갖는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다섯편의 한국소설을 분석하고 비판하였다. 그 결과, 결혼 이민 여성과 결합한 장애남성의 경우 장애로 인해 본능에만 충실하거나 사회적 제약을 받는 소수자로서 재현되고 있으며, 결혼 이민 여성에 대한 가해자나 조력자로 드러나고 있다. 이는 결혼 이민 여성과 장애 남성의 결합이 가져올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들과 소설 속에 재현된 '장애'와 '남성'이 갖는 의미망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정형화된 표현은 다문화 사회에서 장애 남성이나 결혼 이민 여성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장애인 가정의 문제들이 개선되어 나가고, 소설 창작 속에서도 결혼 이민 여성과 한국 장애 남성이 편향된 재현을 벗어나 현실에 뿌리내린 대등한 소통관계로 온전히 그려졌으면 한다.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연구: 인천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Experienc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Focused o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Incheon)

  • 박길순;이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95-605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에 관한 적응과정과 스트레스 경험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에 대처하는 삶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참여자는 인천시 ◯◯구에 소재하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생활 5년 이상된 여성 결혼이민자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Braun & Clarke의 주제 분석기법 6단계를 활용하여 중점주제 3개, 하위주제 1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생활에서 경험한 문화차이(일상생활문화, 전통성, 가족관계)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험한 문화적응과정(어려움과 두려움-문화차이 이해-극복노력)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험을 통한 문화적응이란 모국과 한국문화에서의 생활방식 차이를 알고 한국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려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 실천함으로써 한국의 생활방식이 자연스럽고 익숙해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여성 결혼이민자의 성공적인 문화적응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 정기선;한지은
    • 한국인구학
    • /
    • 제32권2호
    • /
    • pp.87-114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인과 결혼하여 국내에 살고 있는 남녀 국제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정신건강(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과정을 스트레스유발 생애사건으로 간주함에 따라 이 과정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원)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810명과 남성결혼이민자 2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와 남성결혼이민자 모두가 결혼이주를 하면서 기대했던 생활수준 향상의 욕구가 충족될수록, 경제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록, 부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또한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들일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결혼이민자는 특히 가족생활적응과 관련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에 비해, 남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적응수준은 직장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분야 진입 결정요인 (The Factors Affecting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to the Professional Field)

  • 김복태;최천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64-272
    • /
    • 2020
  •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인력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여,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분야 진입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동시장의 불균형을 제도적, 구조적 요인측면에서 찾는 노동시장분절이론에 바탕을 두고, 농촌지역 여성결혼이민자가 관리자나 전문가 직종으로 진입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 관계 요인, 문화적 적응 요인, 정책적 지원 경험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관계 요인, 문화적 학습 요인, 그리고 정책적 지원 경험 요인은 모두 농촌 여성결혼이민자가 관리자나 전문가 직종으로 진입하는데 통계적으로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여성결혼이민자가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의 활성화와 언어능력을 포함한 문화적 학습 역량의 강화, 나아가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적응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Family Adjustment Process Experience in Married Immigrant Women)

  • 박병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7-295
    • /
    • 2013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민여성들의 가족적응 과정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이들 여성들과 가족들이 함께 적응하고 살아가는 우리 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6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혼이민여성들의 가족적응 과정 경험은 8개의 범주와 37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경험의 8가지 범주는, '국제결혼을 결심함', '첫만남과 결혼', '한국살이를 시작함', '부부가 되어감', '남편과 적응해 감', '시댁과 가족이 되어감', '좋은 엄마가 되고 싶음', '친정가족이 그리움', '한국살이에 적응해 감'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여성들의 가족적응 과정경험은 하나의 가족으로 나아가는 과정이며, 일반적인 다른 가족과 다를 것이 없는, 차이를 극복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결혼이민여성들과 가족들의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다문화가족의 지원과 우리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결혼보조금이 결혼에 미친 영향: 2004-2018 한국의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rriage Subsidy on Marriages: Focusing on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2004-2018)

  • 박지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2호
    • /
    • pp.1-39
    • /
    • 2020
  • 이 연구는 2006년부터 한국의 일부 지자체에서 지원된 결혼보조금이 결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 간의 국제결혼을 대상으로 한 결혼보조금은 국제결혼에 대한 경제적 유인을 증가시킨다. 2004-2018년 기간의 한국의 인구동향조사의 혼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초지자체(시군구) 및 연도별 결혼보조금 차이 및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결혼보조금은 비혼 한국 남성이 외국 여성과 결혼하는 확률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국 여성과의 결혼에 대한 구축효과(crowd out effect)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결혼보조금이 전체결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으로 나타났다. 세부그룹 분석 결과 결혼보조금이 나이가 많고 학력이 고졸인 남성에게 있어 가장 뚜렷하게 국제결혼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 PDF

한국여성과 국제결혼 이주 베트남 여성의 결혼만족도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Korean Women and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an Interracial Marriage)

  • 이복희;이잠숙;안현숙;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4권4호
    • /
    • pp.115-13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여성들의 결혼만족도와 베트남여성들의 결혼만족도를 비교하여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안 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결혼 1년 ~ 5년차 한국여성과 국제결혼 이민자여성 중 베트남여성이며, 2008년 4월 01일 ~ 4월 30일까지 약 30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한국여성과 베트남 여성 각각 150부씩 총 300부를 전국 이민자 여성을 교육하는 상담 교육기관과 국내 국제 결혼정보회사에 협조공문과 함께 우편으로 배포하여 회수하는 방식을 택하였고, 베트남 여성에 대한 자료수집과정에서 베트남 여성의 한글 이해 문제가 제기되어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를 베트남어로 번역하여 동시에 사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