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Family Adjustment Process Experience in Married Immigrant Women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적응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박병금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11.15
  • Accepted : 2013.01.02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family adjustment process experience according to married immigrant women's perception and to enrich our understand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research, six married immigrant women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In addi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a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meaning of family adjustment process experience in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identified as 37 themes and 8categories. The 8 categories consisted of "deciding to marry a foreigner", "first meeting and marriage", "starting to living as a korean", "getting along with husband", "becoming a family with in-laws", "playing one's role as a mother", "missing hometown and family", "adjusting to living in Korea".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meaning of family adjustment process experience in married immigrant women. And lastly, this results made suggestions for the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for them and their families.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민여성들의 가족적응 과정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이들 여성들과 가족들이 함께 적응하고 살아가는 우리 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6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혼이민여성들의 가족적응 과정 경험은 8개의 범주와 37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경험의 8가지 범주는, '국제결혼을 결심함', '첫만남과 결혼', '한국살이를 시작함', '부부가 되어감', '남편과 적응해 감', '시댁과 가족이 되어감', '좋은 엄마가 되고 싶음', '친정가족이 그리움', '한국살이에 적응해 감'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여성들의 가족적응 과정경험은 하나의 가족으로 나아가는 과정이며, 일반적인 다른 가족과 다를 것이 없는, 차이를 극복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결혼이민여성들과 가족들의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다문화가족의 지원과 우리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순, "다문화가정의 사회심리적 변인과 가정 생활 적응간의 경로모형분석", 농업교육과 인적 자원개발, 제42호, 제3권, 2010.
  2. 공은숙, "다문화가족의 고부갈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노년학연구, 제18호, 2009.
  3.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0호, 2007.
  4. 권진숙, 신혜령, 김정진, 김성경, 박지영, 가족복지론, 공동체, 2008.
  5. 김미옥, "여성장애인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0호, 2002.
  6. 김미진, 베트남결혼이민자여성의 가족레질리언스에 관한 질적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 김민경,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학회, 제16권, 제3호, 2009.
  8. 김민정, 유명기, 이혜경, 정기선,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한국문화인류학회, 제39권, 제1호, 2006.
  9. 김송미, 빈곤결혼이민여성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레질리언스 관점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0. 김순옥, "부부관계향상을 위한 부부교육의 필요성 및 실태", 생활과학 4호,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1.
  11. 김승권, 조애저, 민현주, "여성 결혼이민자 취업 지원을 위한 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여성부.법무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2.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 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 제45권, 제 1호, 2006.
  13. 김은실,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응,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4. 김진희,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이 지각하는 가족 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3호, 2011.
  15. 김현숙,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2호, 2010.
  16. 남인숙, 장흔성, "결혼이민여성 가족의 출신국 문화이해", 사회이론, 봄/여름, 2009.
  17. 박재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농촌생활 적응 관련요인분석", 농촌 경제, 제29권, 제3호, 2006.
  18. 신경림,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간호학 탐구, 제12권, 제1호, 2003.
  19. 안준희, 조정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제32권, 2011.
  20. 안현정,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1. 윤구원,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2. 윤명숙, 이해경, "농촌지역 시어머니의 외국인 며느리 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농촌사회, 제20 권, 제2호, 2010.
  23. 윤명숙, 이해경,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부모 됨을 통한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제32호, 2010.
  24.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8, 학연문화사, 2005.
  25. 윤혜미,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임파워먼트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1 권, 제4호, 2009.
  26.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의 해체문제와 정책과제, 2010.
  27. 이규삼, 국제결혼 가정의 부부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000.
  28. 이근무, 김진숙, "국제 결혼한 남성들의 생애사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1호, 2009.
  29. 이민영,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04.
  30. 이선애. "만성질환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4.
  31. 이시연, 최윤정, 권현진, "청소년 음주예방을 위한 포커스집단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1 호, 2006.
  32. 이주재, 김순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관계망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 15호, 2010.
  33. 정선영, 결혼이민 어머니의 개인특성, 부부적응 및 유아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4. 정순둘, 이현주, "외국인며느리를 둔 시어머니의 적응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8호, 2010.
  35. 조경민, 고학력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경희대석사학위논문, 2010.
  36. 최금해,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37. 통계청, 200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10.
  38. 한국여성개발원, 여성 결혼 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2006.
  39. 한건수,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지, 제39권, 제1호, 2006.
  40. 한전숙 편, 현상학, 민음사, 1998.
  41. 홍현미라, 권지성, 장혜경, 이민영, 우아영, 사회 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학지사, 2008.
  42.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gist Views It. In R. Valle & M.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43. D. Collins, C. Jordan, and H. Coleman, An Introduction to Family Social Work,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회 역, 가족복지실천론, 나눔의 집, 1999.
  44. J. W. Creswell,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2005.
  45. J. F. Kosciulek, "Relationship of family schema to family adaption to brain injury," Brain injury, Vol.11, No.11, 1997.
  46. Y. S. Lincoln and E. G. Guba, Effective Evaluation, 4th Ed. San Francisco: Jossy-bass Publication, 1985.
  47. M. McGoldrick and N. G. Preto, Ethic Intermarriage for Therapy, Family Processes, The Guilford Press: NY., 1984.
  48. D. H. Olson, Commentary: Three-dimensional Circumples Model and revised scoring of FACES III," Family Process, Vol.30, 1991.
  49. M. Van Mane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Ontario: The Althouse Press, 1998.
  50. 김오남,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제18권, 제3호, 2006.
  51. 고기숙, 정미경,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 대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2012.
  52. 성향숙,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적응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2011.
  53. 성향숙,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생활 적응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2011.
  54. 정순둘, 박현주, 오보람, "시부모와 외국인며느리 가 지각하는 관계의 질과 의사소통의 일치정도에 근거한 관계유형",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1 호, 2010.
  55. J. Mancini and R. Blieszer, "Aging parents and adult children : Research Themes in intergenerational rel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1, pp.275-290, 1989. https://doi.org/10.2307/352492
  56. J. Goetz and M. LeCompte, "Ethnography and qualitative research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New York: Academy Press. 재인용: 조용환, 질적연구, 교육과학사, 2002.
  57. L. R. Forcey and M. Nash, "Rethinking Feminist Theory and Social Work Therapy," Women and Therapy, Vol.21, No.4, pp.85-99, 1998. https://doi.org/10.1300/J015v21n04_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