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착도

검색결과 973건 처리시간 0.025초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유형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Types of Mothers and Communication Types of Children's)

  • 김용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74-481
    • /
    • 2009
  •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형과 유아의사소통 유형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모교육의 제반 정보를 제공하고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유형 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1.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3-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들이다. 이들에게 성인애착측정도구와 유아 의사소통유형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유형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하위요인별 분석에서는 의존성과 부정적 의사소통유형, 불안성과 긍정적 의사소통유형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을 토대로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형중 불안성이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학령기 아동들의 부모에 대한 애착관계가 거부민감성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PEERRELATION IN SCHOOL-AGE CHILDREN)

  • 이경숙;서수정;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51-59
    • /
    • 2000
  • 본 연구는 영유아기에 부모와의 애착에서 형성된 내적작동모델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이 학령기에 들어서 아동들이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타인들의 거부에 대한 민감성, 또래 관계에서의 수용, 거부와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18명이었으며, 측정 도구로는 부모와의 애착 관계 측정도구, 거부민감성 질문지, 또래 관계 사회측정법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한 아동들은 거부민감성의 하위척도인 불안, 분노, 신념, 심리적 반응 모두에서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 관계를 형성한 아동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또래 관계에서 수용되는 아동들은 거부당하는 아동들보다 부모와의 애착 관계 척도에서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 관계를 형성한 아동들은 거부민감성이 증가하여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이 거부당했다고 더 쉽게 지각하고 불안과 분노를 더 느끼고 과잉 반응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 형성한 안정적인 애착 관계는 대인관계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아동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갖게 되고 따라서 또래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어 실제 대인 관계에서 수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애착과 비행친구가 청소년의 비행지속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ttachment and Deviant Peers on Juvenile Recidivism)

  • 권오용;이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71-280
    • /
    • 2019
  • 본 연구는 애착과 비행친구가 청소년비행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아동 청소년 중1패널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비행은 중3 180명(10.2%)에서 고3 278명(15.7%)으로 1.5배 증가하였으며, 비행중단 138명(72.7%), 비행지속 42명(23.3%)으로 나타나서 중단보다 지속이 더 적으며, 고3시기에 비행경험이 236명(85.6%)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과 비행친구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애착은 중3에서는 부모애정이 부(-)의 영향, 고3에서는 부모감독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애착에서 또래신뢰는 중3에서, 비행친구는 중3과 고3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애착과 비행친구가 비행지속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감독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며, 비행친구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애정, 친구애착(교우, 신뢰)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복지 실천을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에서의 차이 (Differences in Infant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

  • 이승희;김상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86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아의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5세 유아의 어머니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성인애착 중 회피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자율적 양육태도가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성인애착 중 불안이 문제행동의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자율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가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자율적 양육태도는 성인애착의 불안이 유아의 불안/우울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이 유아의 문제행동 중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양육태도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불안정한 성인애착을 보유한 어머니들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의 형태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 욕구충족성과 스타 속성이 스타브랜드 애착과 후원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sumer Need Satisfaction and Star Traits on Consumer Attachment to Star Brand and Consumer Response to Product Brand Sponsored by Star Brand)

  • 안광호;이재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51-79
    • /
    • 2010
  • 본 연구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흔히 접할 수 있는 스타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자산적 가치를 구축하려는 브랜드의 한 유형으로 보고, 소비자가 스타브랜드와 관계를 구축/유지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애착의 선행요인과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타브랜드 애착의 영향요인으로 소비자 욕구와 스타의 특성을 제시하고, 이들이 스타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스타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애착이 후원브랜드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효과와 그 과정에서 스타브랜드와 제품의 이미지적합성 정도에 따라 소비자의 반응이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알아보았다. 스타특성으로는 전문성, 진실성, 호감성, 유사성을 제시하고, 소비자 욕구충족성의 유형으로는 자율성(autonomy) 욕구충족성, 관계성(relatedness) 욕구충족성, 능력(competence) 욕구충족성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스타특성요인에서는 진실성과 호감성이, 소비자 욕구충족성에서는 자율성 욕구충족성과 관계성 욕구충족성이 스타브랜드에 대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브랜드 애착은 후원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호의적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타브랜드와 후원브랜드 제품 간의 적합성 정도가 소비자의 태도형성에 조절적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타브랜드 애착의 원인을 규명하고 스타브랜드가 후원하는 제품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반응을 이해함으로써 강력한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형성/강화하는데 효과적인 접근방법을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in college students)

  • 민경인;조성심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89-10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부·모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한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에 재학중인 대학생 250명을 무선표집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25.0을 사용하여 3단 회귀 방식으로 매개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이 진로미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안정적으로 애착관계를 잘 형성할수록 진로결정에 대한 어려움이 줄어든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부와 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이 안정적으로 잘 형성될수록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미결정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상담 실제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신생 도시축제의 지역영향인식 구조모형 - 하이서울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Regional Impacts of Developed City Festival - The Case of the Hi Seoul Festival -)

  • 서용석;이훈;임동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28-34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생축제가 지역과 관광의 상생적이고 내발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있는지에 대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에 대한 관여도 및 지역에 대한 애착도를 지역축제로 인한 영향인식과 만족도와의 인과관계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축제관여도와 영향인식과의 관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장소애착도와 영향인식과의 관계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을 밝혀냄으로서 신생 축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즉, 지역축제 자체가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주민들은 축제가 대외이미지 향상과 여가편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반면 서울에 대한 장소애착도가 높을수록 신생축제인 하이서울페스티벌에 대해 오히려 부정적인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거나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축제가 지역에 천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지역과 소통하는 노력과 장소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제시하고 있다.

만 5세 애착측정도구로서의 '애착 Q-set' 예비 타당도 연구 (A Preliminary Study to the Validity of 'Attachment Q-set' as a Measuring Tool for 5 Years' Attachment)

  • 서선옥;심미경
    • 아동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5-19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Attachment Q-set' as a measuring tool for 5 years attachment stability. The subjects comprised 18 boys and 15 girls aged 5 in a daycare center in G city, in Kyongnam.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ttachment Q-set', ASCT, and IPPA-R. Based on experts' rating, the Q-set was modified, reducing it from 90 to 75 items, and used a Likert 5-points scale. ASCT scores as well as types were compared with the scores of the Q-set and IPPA-R. The attachment type was classified into either secure or insecure. The IPPA-R score of the secure inf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secure, and correlated with the ASCT sco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Q-set score with the attachment types or the ASCT scores. The Q-set scores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 the IPPA-R. Thi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Q-set's invalidity for rating attachment levels of 5 years as well as the limitations imposed by the subjects' restrictive numbers.

사용행동에 기반을 둔 디지털 제품의 애착형성과정 연구 (A Study on the Attachment Building Process of Digital Products based on the User's Behavior)

  • 황연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1
    • /
    • 2019
  • 본 연구는 물리적 제품과는 다른 디지털 제품의 애착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변수로 '필수불가결성'과 '대체불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애착형성에 필수적인 상호작용성과 시간적 가치를 변수에 추가하여 통합모형을 구성하여 상이한 제품-사용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애착을 형성해갈 수 있는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197명의 응답자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시스템 중심의 상호작용은 사용기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사용자 중심의 상호작용은 사용기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용기간이 필수불가결성과 대체불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증명되었으며, 대체불가능성보다는 필수불가결성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ERG요인이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RG Factors on Organizational Attachm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장준호;진춘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09-1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ERG의 하위요인들이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 내 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 ERG의 하위요인들인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가 모두 자기효능감에, 자기효능감도 조직애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ERG 하위요인과 조직애착간의 관계에 있어서 모두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