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Types of Mothers and Communication Types of Children's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유형과의 관계 연구

  • 김용숙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09.10.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types and communication types of child who attend childhood-care center and their mothers, offer general information of parent education with the importance of language within family as the basic material and provide data and material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infants who attend childhood-care center. Based on these goals, study subject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types of mothers and communication types of child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types of mothers and communication types of child? 2. How do attachment types of mothers affect on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 aged 3 - 5 years old who attend children's hous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heir mothers. Measurement tool of adult attachment and tool of communication types of child were used to them for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adult attachment and communication types of child. On the contrary, there were passive correlations between dependency and negative communication types and between insecurity and positive communication types.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insecurity among types of mothers' adult attachment was a major variable that can predict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s i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형과 유아의사소통 유형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모교육의 제반 정보를 제공하고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유형 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1.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3-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들이다. 이들에게 성인애착측정도구와 유아 의사소통유형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유형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하위요인별 분석에서는 의존성과 부정적 의사소통유형, 불안성과 긍정적 의사소통유형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을 토대로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형중 불안성이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기중, 모자간의 커문니케이션 형태가 자녀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연향, 우석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0.
  2. 김경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3. 김관웅, 부모발달과 부모역할, 한국부모학, 1997.
  4. 김수연, 반응성 애착장애아, 전반적 발달장애아, 언어장애아의 놀이수준 및 어머니와 상호작용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5. 김영애, 모자녀간 커뮤니케이션 형태가 청소년의 사회성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6. 김정민, 박광배, 연애 중인 커플의 사랑유형; 선택 가설에 대한 검증,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발표논문, 1991.
  7. 김종서, 한국 초기기독교의 선교와 교육활동,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8. 김주영, 학령기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의사소통능력과 마음이론에 대한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7.
  9. 문수경,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부모, 자녀를 대상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10. 박세라, 성인기 미혼남녀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부모와의 유대와 자아분화가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1. 신노라, 성인애착유형과 대인불안수준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2. 신의진, 이경숙, 박경숙, 반응성애착장애아의 어머니-아동 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8, No.1, pp.22-33, 1997.
  13. 심성경, 김나림, 아버지-유아 의사소통과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Vol.7, No.2, pp.139-160, 1997.
  14. 이경숙, 신의진, 김혜연, 아동의 정신병리와 어머니의 성인애착표상 유형(AAI)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Vol.12, No.1, pp.103-115, 1999.
  15. 이규원, 학업스트레스와 조직몰입 관련성 연구,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16. 이영주, 애착과 의사소통능력 및 결혼관계 만족 ; 30-40대 성인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17. 이인숙,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감성 지능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1997.
  18. 이재원,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자아정체감과 대인불안의 관계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이현미, 어머니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아동의 애착안정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0. 정명희,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관계연구, 성심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8.
  21. 정혜승, 어머니 자신의 부모애착 및 양육행동과 자녀애착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22. M. Ainsworth, Attachment beyond infancy. American Personality, 44, pp.709-716, 998.
  23.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1.Attachment (2nd Ed). New York :Basic Books, 1969.
  24.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Attachr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pp.226-244,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2.226
  25. J. A. Feeney and P. Noller, Attachment styles as a predictor of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pp.281-291,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2.281
  26. The making &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New York : Routledge, 1979.
  27. A Secure base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London: Routledhe. 1998.
  28. K. Grossmann, Attachment quality as an organizer of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r in longitudinal perspective,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