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무가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7초

급성 약물 중독 환자에서 위세척의 치료 실태 (The Clinical Investigation of Gastric Lavage in Patients with Acute Poisoning)

  • 옥택근;조준휘;박찬우;천승환;이승용;김성은;최기훈;배지훈;서정열;안희철;안무업;조병렬;김용훈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26
    • /
    • 2005
  • The majority of acute toxic poisoning occur via oral route. The most important emergency treatment of acute poisoning are gastric lavage. Gastric lavage should be considered a patient has ingested a potentially life-threatening amount of a poison and the procedure can be undertaken within 60 mins of ingestion. But, gastric lavage does not consist properly in the cases of emergency situation or an inexperienced doctors tre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gastric lavage is performed properly. Eighty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in 12-month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2.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patients identified as drug overdose who admitted to ER. To assess whether there was a subgroup of patients who may have been candidates for the initiation of gastric lavage in the ER, the patients divided in two groups by time interval from toxin ingestion to ER arrival. The group 1 that admit within 60 minutes after drug ingestion was 38 cases ($47.5\%$), and the group 2 patient who admitted after 60 minutes was 42 cases ($52.5\%$). The average age was $44\pm19$ years in group 1, and $48\pm24$ years in group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xual distribution of two groups. The mean time interval was $49\pm20$ minutes in the group $1,258\pm190$ minutes in the group 2. Only thirty ($37.5\%$) of the patients had an overdose for which the treatment of gastric lavage was potentially feasible according to guideline. The correctly performed gastric lavage was 18 ($47.4\%$) in group 1, 12 ($28.6\%$) in group 2. We must enforce education about the gastric lavage, and do so that may treat according to guideline.

  • PDF

봄나물 섭취 후 이상 행동을 주요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 1례 (A Patient Presenting with Abnormal Behavior after Wild Plant Ingestion)

  • 옥택근;김윤성;박찬우;문중범;최기훈;서정열;안희철;안무업;조준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8-51
    • /
    • 2006
  • With well-being boom recently, the common people, but not experts, are increasingly taking in them directly by picking wild herbs. However, only experts can distinguish between edible vegetables and poisonous herbs from the wild herbs. Especially, it is not even easy for experts to distinguish them only by looking into buds in spring without flowers or fruit. So, sometimes many patients are being carried into the emergency room by the toxic symptom after taking by misunderstanding the poisonous herbs as edible vegetables. For herb intoxication as well as drug intoxication, what kinds of vegetables patients took in, and when and how much they took in them are important information for curing. Of course, in the case of intoxicating in the wild herbs, the patients can have a lot of symptoms and sings-hemodynamic alteration and abnormal neurologic sign as well as gastrointestinal symptoms-according to the kinds of herbs which they took i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kinds of herbs which they took in through the specific symptom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with showing typical anticholinergic symptoms after ingestion of Scopolia japonica. As a result, the publicity activities about the wild plants needs because if the person without their previous knowledge take in the poisonous herbs, serious side effects can be produced..

  • PDF

외상환자의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에서 나타난 달무리 소견의 임상적 유용성 (The Clinical Usefulness of Halo Sign on CT Image of Trauma Patients)

  • 이승용;손유동;안희철;강구현;최정태;안무업;서정열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0권2호
    • /
    • pp.144-148
    • /
    • 2007
  • Purpose: The management of hemorrhagic shock is critical for trauma patients. To assess hemorrhagic shock, the clinician commonly uses a change in positional blood pressure, the shock index, an estimate of the diameter of inferior vena cava based on sonography, and an evaluation of hypoperfusion complex shown on a CT scan. To add the finding for the hypoperfusion complex, the 'halo sign' was introduced recently. To our knowledge, this 'halo sign' has not been evaluated for its clinical usefulness, so we designed this study to evaluate its usefulness and to find the useful CT signs for hypoperfusion complex. Methods: The study was done from January 2007 to May 2007. All medical records and CT images of 124 patients with trauma were reviewed, of which 103 patients were included. Exclusion criteria was as follows: 1) age < 15 year old and 2) head trauma score of AIS ${\geq}$ 5. Results: The value of kappa, to assess the inter-observer agreement, was 0.51 (p < 0.001). The variables of the halo-sign-positive group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halo-sign-negative group. The rate of transfusion for the halo-sign-positive group was about 1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halo-sign-negative group and the rate of mortality was about 6 times higher. Conclusion: In the setting of trauma, early abdominal CT can show diffuse abnormalities due to hypoperfusion complex. Recognition of these signs is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an unwanted outcome in hemorrhagic shock. We conclude that the halo sign is a useful one for hypoperfusion complex and that it is useful for assessing the degree of hemorrhagic shock.

무용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 (Structural Study on Dance Story-Telling)

  • 김기화;백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65-274
    • /
    • 2012
  • 본 연구는 무용예술의 신체적 언어가 서사적 담론체계로서 스토리텔링의 담론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무용은 무용수와 무대미술의 관계형성을 통해서 비유 은유 상징 등의 다양한 문학적 장치들로 담론의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의 개념에서 무용의 서사적 구성요소를 발현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사물적 요소로서 배경은 무대미술과 무용수의 행위적 요소들에 의해서 시공간적 배경이 제시가능하며, 인물설정도 무용수는 그 자체가 1인칭 화자인 동시에 평면적인 인물성격 묘사가 가능하다. 무용의 사건적 요소는 무대미술의 요소들이 1차적인 사건적 동기의 배경을 제시하고, 무용수의 다양한 인간관계로서 독무, 듀엣, 군무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갈등관계가 형성되고, 사건을 전개하는 과정으로서 플롯은 무용수의 마임적 행위, 제스처, 얼굴표정 등의 행위소에 의해서 이끌어간다. 무용이 서사를 발현하는 요소는 무용 예술 그 자체가 발현체가 되며, 서사의 전이구조는 무용언어가 갖는 고유의 문법이다. 안무가는 무용의 서사의 담론으로서 인물설정, 인물의 행위, 시공간적 배경을 연출하는 무대미술의 요소들, 플롯의 전개 등으로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득력 있는 무용텍스트를 구성해야 한다.

대학 교양무용 수업의 반성적 실천 사례 (The Case Study of Reflective Practice of the Liberal Dance Class in University)

  • 박지원;김제영;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26-63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교양교육으로 이루어지는 무용 수업에서 교육내용 설계와 개선을 위한 실천적인 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는 15주간의 무용 강좌에서 40명이 참여한 생활무용 프로그램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학생들의 인터뷰 내용과 보고서, 수업을 진행한 강사의 평가서를 토대로 수업사례에서의 실천적 의미를 탐구하고 과정을 중시하는 질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의 경험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생각하는 춤'의 경험이다. 기능적인 움직임에 그치지 않고, 춤의 매력과 감성과 문화를 모두 경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이다. 둘째, '소통하는 춤'의 경험이다. 새로운 동료와의 교제, 소극적인 성향의 극복, 상대를 배려하는 춤의 매너에서 춤을 통한 사회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함께 만드는 춤'의 경험이다. 모둠활동의 구성원으로써 성실함과 책임감 있는 태도, 협동적인 과제 수행에서의 보람을 언급했다. 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수업의 반성적 평가는 다음과 같다. 교양교육으로써 무용교육은 학생들의 표현적 개성과 잠재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기초안무를 그대로 답습하고 기능만을 강요하는 것은 오히려 학생을 지치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교양교육으로써 무용교육은 움직임 활동을 통해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제의적 마을 탈춤의 분석 -제의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Village-Centered Masked Dance based on Rituals -On the Rituals Transitions-)

  • 백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75-185
    • /
    • 2010
  • 본 연구는 제의적 마을 탈춤의 의미를 제의성의 변천을 중심으로 하회별신굿탈놀이와 강릉관노가면극을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회의 별신굿은 하회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보호해 준다고 믿었던 신에 대한 숭배의식으로 탈 제작에 있어 제의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춤사위에는 제의적 요소는 없었다. 그리고 극 전체를 통해 볼 때 공연 방식이나 내용이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동제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제의적 요소로 볼 수 있는 종교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강릉관노가면극의 탈은 등장인물의 배역에서부터 제의성을 찾아볼 수 있는데, 양반광대, 소매각시, 시시딱딱이, 장자마리 등 모두가 제의적 벽사의 기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춤사위의 대부분이 강릉지방 민속에 맞게 안무한 것으로 보아 춤사위에는 제의의 본질적 요소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릉관노가면극의 특징적인 면으로 볼 때 강릉관노가면극의 경우는 단오제라는 행사와 같이 하나의 놀이로써 지방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고, 지방수호신에게 제사하는 의식과 깊은 연관을 가진 서낭제 가면극의 특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륜오토바이 사고 환자와 이륜오토바이 사고 환자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Injuries Related with All-Terrian Vehicles (ATVs) and Motorcycles (MCs))

  • 김남호;김명덕;이태헌;안무업;서정열;이재성;김동원;이정열;박상헌;김유민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3권2호
    • /
    • pp.128-133
    • /
    • 2010
  • Purpose: All-terrain vehicle (ATV)-related injuries have in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ATVs to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atients with ATV-related injuries (PATV) to patients with motorcycle (MC)-related injuries (PMC).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records of PATV and PMC who visited an emergency center in 2008. The cases of PMC were 164, and those of PATV were 52. Results: While PMC are seen evenly in the first half year and the second half year, PATV are seen mainly the first half year (from March to June: 73%). For PMC the most frequent injury mechanism was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while for PATV, it was side overturn/roll over. The injury severity score (ISS), the revised trauma score (RTS), the trauma score and the injury severity score (TRISS) were $5.6{\pm}5.6$, $7.7{\pm}0.7$, $5.0{\pm}2.1$ for PMC and $7.1{\pm}7.5$, $7.7{\pm}1.1$, $5.5{\pm}1.5$ for PATV,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injury sites were the lower extremities for PMC and the face for PATV. The rates of admission, surgery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ere similar between PMC and PATV.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risk of ATV accidents is similar to that of MC accidents. We recommend that the same safety standards and regulations that are applied to MCs should be used for ATVs. Safe and enjoyable paths have to be sought for drivers of ATVs.

과학기술과 여성 연구하기: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안-사이에서 "몸과 함께" (Doing Science, Technology, and Women Studies : "With the Body" in-between New Material Feminism and STS)

  • 임소연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167-200
    • /
    • 2019
  • 최근 서구 인문사회학계의 최대 관심사는 물질이며 페미니즘도 예외는 아니다. 이전까지 과학기술에 대하여 비판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던 페미니즘이 물질과 새로운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이다. 과학기술학 역시 "존재론적 전환"을 통해서 존재 그 자체에 대한 연구 성과를 축적해 왔다. 본 논문은 신유물론이나 신유물론 페미니즘을 전면적으로 소개하기 보다는 신유물론 페미니즘의 성과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과학기술과 여성 연구하기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에서는 안느마리 몰, 캐런 버러드, 그리고 캐리스 탐슨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의 존재론적 개념을 통해 성형외과 현장연구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여성의 과학기술 실천을 연구하는 한 방식을 보이며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제안할 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신유물론 페미니즘의 요지를 간략하게 정리한 후, 신유물론 페미니즘의 문제의식 하에 페미니스트 성형수술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일 것이다. 이어서 과학기술학 분야의 존재론적 전환에 해당하는 개념 및 이론을 소개하고 그것을 통해서 성형수술 실천을 기술하며 마지막으로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접점에 있는 연구가 갖는 페미니스트 함의를 분석할 것이다.

공연예술로서 무용의 '생명적 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giving function' of Dance as a performing arts)

  • 김지원
    • 공연문화연구
    • /
    • 제33호
    • /
    • pp.195-222
    • /
    • 2016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움직임의 힘으로부터 이루어내는 생명적 기능이야말로 무용예술을 이루는 근원적 활동이라 말하고 있다. 특히 무용예술을 흔히 가장 원초적이고도 직감적인 예술로 규정하면서 감정과 신체와의 조화로 '지각(의식)-신체'에 관해 논한다. 이는 무용의 단순한 형태의 운동성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힘이 얽히고 모여 이루어내는 또 다른 생명력으로서 무용을 예술로서 규정짓고 있는 것이다. 즉 무용은 무대에서의 시공을 초월하는 주체의 발로로서 하나의 내면적 의식을 표출하는 예술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무용이라는 예술을 제대로 이해하고자 할 때 무용의 어떠한 속성이 예술로서 의미를 규정하며 창작적 표현을 드러내는지 주목한다. 이를 '무용의 생명적 기능'으로 보고 무용예술을 수용하는 관객의 태도뿐 아니라 창작을 실현하는 무용예술에 대한 근원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럼으로써 안무의 창조적 생각과 공감의 형성, 무용예술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숙고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무용예술의 움직임의 표현과 기능에 대한 미학적이면서도 체계적인 검토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의 하나이다.

Murray Schafer의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을 바탕으로 한 무용작품 의 창작과정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Process of Dance based on the Concept of Murray Schafer's Soundscape)

  • 라세영;최상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25-434
    • /
    • 2021
  • 본 연구는 머레이 쉐이퍼(Murray Schafer)의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개념을 통해 소리의 구분, 지각, 요소의 이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의 소음과 비음악적인 소리를 활용한 무용작품 의 창작과정과 이에 대한 음악적인 효과 및 새로운 안무 유형의 가치를 탐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실기기반연구(Practice-based Research)의 방법론적 연구에 따라 실기, 이론, 평가의 단계를 몸적 자료(Somatic Data)로 축적하였으며, 『공간디자인과 조형연습』(2003)의 일부분을 기반으로 형상화 방법, 움직임 형식, 공간화 방식으로 제시하여 분석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창작과정에서 사운드스케이프, 즉 일상생활 속의 소리에 대한 음악적 효과 및 새로운 움직임 창작방법을 발견해낼 수 있었으며, 소리 역시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 움직임의 의미,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아울러 사운드 스케이프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연구되어 나타난 소리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은 무용작품의 또 다른 창작환경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