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천모형

검색결과 604건 처리시간 0.031초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ractical Problem-Based Learning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 이은영;최지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5-175
    • /
    • 2019
  • 본 연구는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할 때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가 되는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고찰,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문헌 고찰,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단계의 문헌 고찰을 통해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단계와 하위요소 등의 내용을 선정하고, 템플릿을 구안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디자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개발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통해 모형을 수정·보완하고, 최종적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을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3단계로 구성된 모형의 초안에서 전문가 검증을 거쳐 '실천적 문제 설정하기,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4단계로 최종적으로 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전문가 검증을 통해 교사들이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하고자 할 때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체계적인 템플릿이라고 평가하였다.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과 자기효능감이 구강보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Teacher on Oral Health Attitude)

  • 조영식;황유진;배현숙;김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9-108
    • /
    • 2009
  • 본 연구는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과 자기효능감이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관련 변인인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실천의 관계에 대한 몇 가지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시에 있는 특수학교 교사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17명의 응답자 가운데 198명을 대상으로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하였다. 1. 교사의 성별, 연령, 경력에 따라 교사의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교육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 수준을 비교한 결과, 교사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의 연령에 따라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p = 0.001)과 태도(p = 0.013)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교사의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 자기효능감, 구강보건교육 실천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구강보건교육 태도, 자기효능감, 실천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교사의 구강보건 지식와 실천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교사의 구강보건 지식이 직접적으로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의 매개에 의해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모형(모형1)의 검증 결과, 지식과 태도 사이의 경로(Estimate=0.183, C.R.=0.294, p=0.003)와 태도와 실천 사이의 경로(Estimate=0.398, C.R. =3.090, p=0.00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지식과 실천 사이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경로를 제외한 지식, 태도, 실천 사이의 완전매개 모형(모형1-1)은 모든 적합도 지수의 기준을 총족하였으나($x^2$=0.081, df=1, p=0.776, GFI=1.000, AGFI=0.998, NNFI= 1.178, NFI=0.996, CFI=1.000), 실천의 분산은 지식과 태도에 의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SMC=0.05). 4.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이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에 의해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태도의 매개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모형(모형2)의 검증 결과, 실천과 태도 사이의 경로(Estimate=0.273, C.R.=5.734, p<0.001)와 교사효능감과 태도 사이의 경로(Estimate=0.242, C.R.=4.426, p<0.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실천과 태도 사이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경로를 제외한 실천, 교사효능감, 태도 사이의 완전매개 모형(모형2-1)은 모든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으나($x^2$=2.081, df=1, p=0.149, GFI=0.993, AGFI=0.958, RMSEA=0.074, NNFI=0,942, NFI=0.965, CFI=0.981), 태도의 분산은 실천과 교사효능감에 의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0.136). 5. 지식태도실천 모형(모형2-1)에 교사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추가한 지식태도 자기효능감실천 모형(모형3)은 적합하게 나타났으며 ($x^2$=3.971, d.f.=3, p=0.271, RMSEA=0.039, GFI=0.990, AGFI=0.967, NNFI=0.971, NFI=0.944, CFI=0.986), 실천의 분산 중 14.3%가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에 의해 설명되었다.

  • PDF

교수학습센터 성과 평가 모형 탐색 연구 (A Study of Exploring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 허균;원효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28-333
    • /
    • 2007
  • 교수학습센터는 교원의 전문성 향상과 교육정보화 기반 학교 교육 혁신을 실천하기 위한 중요한 목표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는 대학에서부터 초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수학습센터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대상은 국가차원의 초중등 교육의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중앙단위의 교수학습센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센터의 성과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성과 분석 모형 개발에 앞서 여러 성과평가모형의 이론 및 실천적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수학습센터의 성과평가에 관련된 이론적 관점과 실천적 관점의 모형탐색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모형 개발과 성과 평가를 위한 실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middle school : Based on the 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

  • 손주영;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3-12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육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천적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중학생 대상의 학교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을 토대로 재구성하여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과정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교폭력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핵심 구성요소, 구성 원리, 목표 및 실제 프로그램의 적용 방법 등을 파악하고, 프로그램 적용 모형으로 Laster의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위한 개발 방향 및 구성 개요를 설정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보호요인과 가정교과 내용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요소를 선정하고,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분석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설계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전체 프로그램의 목적 및 영역별 목표, 영역별 실천적 문제와 학습목표를 진술하고 주요 활동 내용을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실천적 행동 수업모형을 적용한 주제별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 교사용 참고자료 및 프로그램 타당도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가정과교육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타당도 검사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개발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인식변화, 자아존중감 향상, 타인과 관계 맺기, 배려와 나눔의 실천, 폭력예방 실천의지 다지기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이 5개 영역 당 1~2개씩 총 7개의 실천적 문제(서로 돕고 배려하는 친구관계 형성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배려와 나눔의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배려와 나눔의 의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나누어 총 24차시로 개발되었다. 실천적 문제에 따라 문제인식, 실천적 추론, 행동, 평가의 4단계를 거치는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각 단계마다 추론을 위한 질문을 제시하였고 실천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습 자료는 학생용 자료와 교사용 참고자료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실천적 추론활동 과정에서 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된 학생용 자료는 활동지, 읽기, 동영상, 그림 자료 등으로 총 80편이 개발되었다. 교사용 참고자료는 관련 이론 및 신문자료, 동영상 자료 등으로 총 35편이 개발되었다.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한 학교폭력 예방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현장교육의 유용성, 현장에서의 실행 가능성, 학습내용과 자료의 적합성 및 충실성,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의 내용타당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 4.36점 이상의 긍정적인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볼 때 본 프로그램은 학교현장에서 학교폭력 예방 교육에 효과적이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 실천력 강화를 위한 지(知)·정(情)·의(意) 통합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learning Model Integrating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Dimensions for the Reinforcement of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s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 이맹화;정복문;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3-2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알지만 행하지 않는다."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천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인지 중심의 편향된 교육이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못한다는 점을 생각하여 인지 정의 행동이 통합된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실천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들을 조사 분석하고 실천력 강화를 위한 지(知) 정(情) 의(意) 통합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知) 정(情) 의(意) 통합 교수 학습 모형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업성취도와 실천력 측면에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 때, 실천력은 사전, 사후 관찰 결과를 정량화하여 나타내었는데,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사의 참여 관찰, 수업 녹화 후 비디오 자료 분석, 홈페이지와 학습지 등 다양한 학습 결과물 분석, 면담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 PDF

정보 활용의 실천력을 향상시키는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ICT for Enhancing 'Ability to Put Information Literacy into Practice')

  • 권지영;권보섭;송희헌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01-110
    • /
    • 2004
  • 현재의 ICT 활용 교육은 소양 교육에 초점을 두고 단순히 정보통신의 기능을 습득하는 기술적인 면에 치우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형은 기존의 교수-학습 유형별 ICT 활용 모형들에 대해 정보활용의 실천력을 조사하고 분석한 다음,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질적 기준이 교수-학습 모형에 균형있게 반영되도록 하였다. 적용 결과, 정보 활용의 실천력을 질적으로 평가해 주는 6개 항목 중 5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음을 보였다.

  • PDF

초등 정보보호 교육을 위한 KASP-통합수업 모형 (KASP-Integrated Learning Model for th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 박성순;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57-164
    • /
    • 2010
  • 이 연구에서 초등학생을 위한 정보보호 지식과 태도, 기능을 통한 실천능력의 신장을 고려한 정보보호 통합학습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중 정보보호 교육내용을 추출한 뒤 정보보호교육내용을 지식, 태도, 기능, 실천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둘째, 효과적인 정보보호교육을 위해 지식, 태도, 기능, 실천이 종합된 KASP-정보보호 통합학습모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지도안과 학습전략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모형을 실험집단에 적용하고 비교집단에는 일반적 정보보호교육 내용을 적용하여 비교집단과의 전후좌우비교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검사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KASP-정보보호 통합학습모형이 학생들의 정보보호 지식 및 태도, 기능뿐만 아니라 실천능력에도 효과적임을 보였다.

  • PDF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의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Media Educational Model)

  • 이란;현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62-473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 인근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각각 수행된 미디어 심성모형 관련 두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한국 상황에 적합한 한국형 미디어 교육 모형을 문헌 고찰을 통해 제안하였다. 미디어 교육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서구의 대표적 미디어 교육 모형, 즉 버킹엄의 창작 중심 교육 모형, 홉스의 실천 중심 교육 모형, 포터의 분석 중심 교육 모형, 밴후저의 세계관 중심 교육 모형을 검토해 보고, 이들 각 모형들의 장점들을 종합한 후, 한국의 수요자들의 필요를 반영하여 이를 수정하고 재편하였다. 새로 개발된 수요자 중심 교육 모형은 '세계관과 관점,' '사용(접근),' '분석과 평가,' '성찰,' '사회적 실천' 단계로 구성된 순환 모형인데, 각 단계는 앞서 살펴본 4개의 대표적 모형이 각각 강조하고 있는 각 목표 영역의 핵심 내용들을 차용하되 한국 수요자들의 특수한 현실을 반영했다. 중독이나 사이버 폭력 등의 미디어 사용태도에 관한 필요는 '세계관과 관점' 영역에 반영하였고, 인쇄 매체인 도서의 미디어로서의 위상 교육은 '사용(접근)'에, 디지털 미디어의 높은 사용 빈도의 현실은 '사회적 실천' 영역에 반영하였다.

시민 아비투스의 실천행동, 기부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길 (Giving -Habitus of Citizen-)

  • 최혜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95-116
    • /
    • 2016
  • 이 연구는 기부라는 사회적 행위를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으로 조명해 온 선행연구의 공리주의적 전제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브르디외의 사회적 장의 이론과 아비투스 이론을 토대로, 기부라는 사회적 행위는 시민사회가 사회적 장 내에 형성하고 유산한 시민됨의 아비투스가 발현된 실천행위라고 가정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KGSS 2011년 자료를 이용해 시민됨과 기부행동사이의 인과관계에 관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상정한 구조모형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시민됨의 요소 중 시민덕목과 시민참여는 기부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민됨의 수준이 높을수록 즉 시민으로서 아비투스 구성의 완성도가 높을수록 이의 실천행동인 기부행동 또한 적극적임을 의미하며, 기부가 시민됨의 아비투스가 발현된 실천행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