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생활단원교육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7초

다중지능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과 평가 - 중학교 가정과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 (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lesson plans applying to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 Focused on the unit 'Nutrition & Meal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

  • 최성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7-11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l학년 가정교과의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eller의 수업 설계 과정에 따라 수업을 정의하고 수업을 설계하며,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수업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업 정의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목표와 내용 단어를 추출하여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실천적 문제를 규정하였다. 둘째,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연구를 토대로 하여 12종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12종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다중지능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수업 설계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존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과정에 개념이해 과정을 추가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하였다. 둘째, Armstrong과 그의 공동연구자들이 제시한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차시별로 8가지 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을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과정에 투입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자료와 참고자료를 선정하여 총 6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한 4, 5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을 청주시 소재 중학교 1학년 남 여 2개 학급 72 명에게 2시간씩 시연한 후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의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목표는 '청소년기 영양과 건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식사습관을 실천할 수 있다'이다. 실천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고, 학습 내용은 건강한 생활, 영양소의 종류 및 기능, 청소년의 영양 문제, 식품 구성탑, 식사 구성안이며, 학습 활동은 8가지 다중지능 영역을 골고루 포함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진행된다. 둘째, 개발한 교수 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흐름에 따라서 도입(생각열기, 지난 수업 내용 확인, 학습목표 제시), 전개(실천문제 규정, 개념 이해, 사회 문화적 맥락 이해, 목표 설정 및 대안 탐색, 대안 실행 결과 예측, 수업 내용 정리 및 생각 넓히기), 정리(성취확인학습, 적용 및 일반화 유도, 과제 제시 및 차시 예고)로 진행되도록 하였다. 이 수업 과정에 차시별로 8가지 다중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환경에 따라 활동 선택이 가능하게 하였다. 개발된 활동은 언어지능 활용 방법 10개, 논리수학지능 활용방법 7개, 시각공간지능 활용 방법 9개, 음악지능 활용 방법 10개, 신체운동지능 활용 방법 6개, 대인관계지능 활용 방법 10개, 개인내적지능 활용 방법 7개, 자연탐구 지능 활용 방법 6개로, 총 65개이다. 셋째,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평가 결과, 적극적 수업 태도를 함양하고, 학습 동기 유발, 학습내용 이해, 학습내용 암기, 실제 생활에 적용, 그리고 바람직한 식생활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식생활 관련 변인들이 실과 식생활단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ood and Nutrition′Units in Practical Arts)

  • 허향련;이경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9-72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ctor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ood and Nutrition' units in the Practical Arts : factors such as gender. family and home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in. interest in attitude toward. and encouragement by mother in meal management. The factors were surveyed for 453 grade four elementary students (226 boys and 227 girls) and their mothers in Busan. The extent of participation in meal management. of interest. of attitude. and of the mother's encouragement was broken into three groups. Upon completing the 'Table Setting with Fruits'unit. the students'academic achievement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se fa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irls participated in meal management more frequently than the boys. Most of the children exhibited a high interest. the girls showing a higher interest than the boys. Both sexe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meal management. Mothers encouraged girls more often than boys to manage meals at home. 2.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oys. Children living in apartments and more affluent environments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were less well off and living in independent households. 3. Those who frequently participated in meal management. exhibited a high interest. and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it. achieve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showed a lower interest. less positive attitude. and only occasionally participated in it. 4. Those who were encouraged frequently to manage meals by their mother showed a tendency to score higher than those who wee encouraged only occasionally. In conclusi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ood and Nutrition'units in Practical Arts was affected by gender. domestic economy. type of residence. participation in meal management in the home. interest in it. attitude toward it. and encouragement in participation by the other. Thus academic achievement in food. nutrition. and meal management is dependent upon both the school and home environments. Children would learn more in the 'Food and Nutrition'units when their parents set a positive and encouraging environment in the home.

  • PDF

중학교 가정과 학습지도의 형태에 따른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vell of Learning Achievement by Teaching Method on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

  • 손희숙;황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1-110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learner’s need achievement, interest and practical level of the learning objectives according to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in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Dietary Life Unit),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ocal situation, and to get some information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 This study surveyed the eight units of dietary life with 459 students in the rural community (224 students) and Seoul(235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F-test. To sum up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en the need, achievement, interest and practical level of unit “food”are compared the students of seoul with those of rural community, the student of Seoul show high in “The use of Processed Foodstuffs” and low in “Cooking the Processed Foodstuffs.”The student of rural community show in “A kind of Cooking Method”and low in “Environment and Food Life”. 2. The need, achievement, interest, practical level of the whole unit in rural community is higher than those is Seoul. 3. According to teaching method, comparison Seoul with rural community is revealed as follows. Seoul region is revealed significance to discovery learning in “Cooking Foodstuffs(The achievement and interest level) and ”Environment and Food Life”(interest level). Rural community is revealed significance to discussion learning in “The constituent and Food Life”(The need level, interest level). Rural community is revealed significance to explanation learning in “Environment and Food Life”(The achievement level).

  • PDF

웹 기반 실천적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cdot$학습 과정안 개발 -중학교 1학년 기술$\cdot$가정 과목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단원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lans for Web-Based Practical Problem-Solving Lesson - focused on "Food nutrition and diet of adolescents" unit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

  • 김해선;이혜숙;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3-56
    • /
    • 2004
  •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기술 $\cdot$ 가정과 $\ulcorner$청소년의 영양과 식사$\lrcorner$단원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웹 기반 실천적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 $\cdot$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식생활 영역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영양, 식품자원, 식품 선택의 3개의 영역에서 비만 음식쓰레기. 가공식품. 유전자조작식품. 수입식품의 5개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교수 $\cdot$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웹 기반 실천적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과정안은 문제인식. 정보수집 및 평가, 대안 및 최선의 행동 선택, 행동하기, 그리고 행동평가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보조 학습자료로 개별 학습지, 협동학습지, 비만도 검사, 애니메이션, 관련 사진자료, 모듈을 개발하여 함께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 $\cdot$학습 과정안은 현장 수업에서 직접 활용이 가능하여 가정과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전자변형식품 선택의 실천적문제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식생활 영역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Lesson Plan on Consumer Choice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 Focused on the 'Dietary Life'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

  • 강경화;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1-113
    • /
    • 201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기술 가정 교과의 가정생활문화 변화 단원의 식생활의 변화 중 유전자변형식품의 선택을 학습 주제로 선정하여 실천적문제중심의 가정과 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분석 단계에서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여 학습 목표와 내용을 추출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실천적문제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재구성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학생용 학습 활동지 17종, 학생용 읽기자료 17종, 교사용 읽기자료 3종)를 개발하였다. 1, 2, 3차시는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 및 문제해결방안, 4차시는 안전한 식품선택을 위한 소비자로서의 권리 이행과 실천의 학습내용으로 설계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경기도 분당시 소재의 S고등학교 6개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평가 단계에서는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학습방법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업적용 후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으며, 이는 식품구매에 대한 의식의 변화로 이어져 내가 먹는 식품이 유전자변형식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겠다는 학생 비율이 증가하여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태도와 마음가짐이 능동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방법 및 자료에 대하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천적문제중심 수업 방식이 가정과 교과의 성격에 부합되는 적절한 교수 학습 방법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PDF

식생활 단원에 적용한 가정과 실천적 추론 수업이 여고생의 도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applied to Food & Nutrition Units o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orality)

  • 문성희;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9-13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how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PRHEI) applied to food and nutrition units would impact on the morality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ample was drawn from the two freshman classes of \"M\" High School far Girls. located in the Pusan area. One classroom of 50 students was used as the test group and the other of 47 as the control group for the total of 97 students. Measuring the intellectual and behavioral morality scores followed the pre-post test design under which the PRHEI was administered to the test group during the period of eight weeks in a semester. Whereas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conventional lecture-oriented instruction during the same period. The effects of PRHEI on morality were measured using the system developed in 1972 by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and translated by Kim. Ahn-Jung in 1982. The system developed by Yang. Byung-Han in 1994 was utilized to measure the behavioral morality score. In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SPSS/WIN was used to generate means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 students who have been taught under the PRHEI score higher on the intellectual morality scale than the control group receiving the lecture-oriented instruction. Second. The test croup students do not show any notable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students receiving the lecture-oriented approach on the behavioral morality scale; however, the former d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latter in the sub-factor of honesty scoring higher means over the control group.

  • PDF

협동학습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협동학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가정과 중2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and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 Focused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 이재복;김영남;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1-14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The content of lesson was chosen from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The main structure of the lesson plan stems from $\boxDr$Lesson Plan Guide of Structuring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Teachers$\boxUl$ by D. Johnson. R Johnson and E. Holubec. Various kinds of references including media reading materials cooperative group activity reports and cooperative group activity checking lists were new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lesson. Eight hour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to test the effect of Johnson\`s cooperative learning method on students\` self-esteem. Students at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divided into two grouts, the three classes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hree classes as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WIN program. As a result, the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adopted (P.(001).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esteem. the global self-esteem and the social-peer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1 each). but the school-academic self-esteem score was not different (p> .05) According to the post-experiment free-style report. student as a dynamic subject could get initiatives and interests in home economics class more effectively by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tudents\` self-esteem and is considered to be a good teaching method of home economics subject.

  • PDF

대전지역 중학교의 기술.가정교과 "식생활단원"교육에 대한 교육실태 및 학습요구도 (Educational Status and Students' Educational Needs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at Middle Schools in the Daejeon Area)

  • 이준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59-569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status, students' recognition, educational needs and degree of difficulty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s. It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503(boys; 246, girls; 257) middle school students in 3rd grade in the Daejeon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preference for food and nutrition section was 58.5% of boys and 72.0% of girls.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is section, The highest cooking frequency was once a year(52.3%), but 12.9% of students had never done cooking practice. Generally, practice education was not enough in subjected schools. The education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was mainly conducted by lecture. For the behavioral change of students after learning this section, 'I can cook some simple foods' was the most(36.8%) than the other. The contents of high educational needs in this section were 'cooking foods' and ‘basic cooking methods'. A average degree of difficulty in this section was 2.89 points of the likert scale(1~5 point), particularly, 'change of food components by cooking' was the highest at 3.17 points of likert scale(1~5 point) in this degree. In relation to demographic background, the difficult degrees of this se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when their parent's education was under middle school and their fathers' had no occupation. It suggests an increase in cooking frequency, complementing contents needed in life and using various audio-visual education aids are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중학교 가정과 CAI 프로그램 개발 연구 -건강과 식생활 단원- (The Development of CAI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ing -In The Units of Health and Food Life-)

  • 이양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7-16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s on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CAI program and to develop the middle school students’CAI program for tutorial and instructional game. For these purposes, the learning and instructional theories and the developing phases and strategies for the program were reviewed to design the CAI program. And then the developing unit was selected and the CAI types and the developing direction were se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AI programs and related literatures on home economics teaching, The four phases-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The CAI porgram was developed on health and food life units. The program contains 12 classes on health and food life in two floppy diskettes. It consisted of total 9,000 lines and 76 frame and takes two hours to study this program. This program could be used in educational computers an could be utilized for unit learing tutorial. It was composed of three parts-unit learning, finding maze, and finding food. In the unit learning part, the learning contents in health and food life units were structured and presented. In finding maze and food part, the basic and the applied problems were presented with gam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rogram were as followings: (1)This program was able to bring learners’motivation due to the strategies of tutorial and instructional game and they can interestingly learn the program for themselves. (2) The learner could practive the learning contents repeatedly and unit learning while playing the gaming, (3) The learner himself can review and supplement the learning contents without teacher’s help. (4)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unit learning on health and food life, on the other hand so far many CAI programs for home economics teaching were developed for studying separate learning units. 2. To effectively utilize this program, the guide book for the student and the teacher was developed. It contained method of using the program, introduction of the program, review of the program, the program objectives,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keys to progress the program.

  • PDF

의생활자원 관점에서의 실과(기술ㆍ가정) 환경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rategy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Practical Arts(TechnologyㆍHome economics) Subject in a viewpoint of the Clothing & Textiles resources)

  • 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1-146
    • /
    • 2004
  • 본 연구는 의생활 영역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의생활자원관점에서 실과(기술ㆍ가정) 교과에서 환경교육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생활 자원의 소비, 의생활자원의 환경문제 및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규제와 기업의 섬유환경기술, 환경교육에 관한 자료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의생활 자원 관점에서의 환경교육 체제는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한 정부, 가정, 기업, 환경단체의 상호연계 체제로 이루어져야하며, 아울러 의생활 자원 관점에서 환경교육은 실과(기술ㆍ가정) 교과에서 담당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로, 실과(기술ㆍ가정) 의생활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환경교육내용을 '의생활 환경자원의 인식(섬유소비량 생산과 환경문제)', '의류의 마련과 계획 및 구매(계획, 구매)', '의류의 관리(피복재료의 이해, 인체와 환경, 세탁과 환경오염, 정리와 보관)', '의류의 재활용 및 폐기(기부, 리디자인, 리사이클, 폐기)'의 4개영역의 12개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실과(기술ㆍ가정) 의생활 영역 환경교육내용의 분석 준거로 삼았다. 셋째, 의생활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환경교육내용을 준거로 현행 실과(기술ㆍ가정)교과를 분석한 결과, 의생활과 관련한 환경 교육은 중학교 과정에서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생활과 관련한 환경교육 내용면에서는 초ㆍ중등 모두 재활용 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과(기술ㆍ가정) 교과에서의 의생활영역의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한 후 실과(기술ㆍ가정) 각 의생활 단원에서 다루어지지 않았거나 미흡한 내용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행동은 물론 과잉 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은 아동의 영양 관리 및 아동의 성장, 발달 및 행동과 학습 행동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여야 할 것이다.재 사용비율은 경기도, 충남에서는 거의 50% 수준에 육박한다. 골재 석산은 경기도, 경북, 경남, 충북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분포하며 오히려 전북에서의 골재 석산의 수는 적은 편에 속한다. 강원도가 골재석산의 수가 가장 적은 편이다.지렁이와 토양 미생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토양 중 반감기도 15일 이내로 토양 중에 노출 시 매우 신속하게 분해 소실되어 그 위해성은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며, 작물 재배지에서 밭고랑의 잡초 방제를 위해 비산방지 기구를 이용하여 살포할 경우에는 재배 작물에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0.65% 첨가했을 때 WG, SGR, FE, PER이 가장 높았으나, 이전의 실험(Takeuchi, 1980)과 동일한 수준인 n-3와 n-6를 각각 0.5%씩 첨가한 실험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렇게 볼 때, 뱀장어 치어의 필수지방산은 LNA (n-3), LA (n-6)이고, 그 적정수준은 각각 0.35-0.5%, 0.5-0.65%임을 보여준다.George W, Bush)가 새로운 지도자로 취임하여 얼마 되지 않은 2001년 9월 11일 사상 초유로 본토에서 알 카에다 테러리스트 조직에 의해 공격받게 되었다. 뉴욕의 세계무역센터 빌딩 2개가 완전히 붕괴되고, 펜타곤에 민간 여객기가 충돌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 당하고, 전체적으로 세계 80여 개국으로부터의 6천여 명이 살상되었다. 전 세계와

  • PDF